•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이 자녀의 학교폭력 경험에 미치는 영 향을 탐구하려는 것이었다. 관련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 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 수준에 따라 자녀의 권위주의 성향은 어떠 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 수준에 따라 자녀의 학교폭력 경험은 어떠 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 하위요인별 수준에 따라 자녀의 학교폭력 하위요인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 :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과 자녀의 학교폭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 가?

그리고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 수준에 따라 자녀의 권위주의 성향은 유의한 차 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 수준에 따라 자녀의 학교폭력 경험은 유의한 차

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 하위요인별 수준에 따라 자녀의 학교폭력 하위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과 자녀의 학교폭력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제주시내 6개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년별로 각 1개 학급씩 선정하였다. 설문대상은 남자 341명, 여자 364명 총 705부의 설문지를 배 포하고 그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669부(남 320부, 여 349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권위성향과 자기 자신의 권위성향 을 알아보기 위해 Adrno 등(1950)이 제안한 9개의 하위요인들에서 얻어진 문항 들을 한국 상황에 맞는 문항만을 분석하여 민경환(1989)이 번안한 것을 바탕으로 김종준(2003)이 일부문항을 수정하여 중학생 수준에 맞게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 다.

학교폭력실태 조사는 이춘화와 이경은의 질문자료를 참고하여 도기봉(1998)이 직접 작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이 자녀의 학교 폭력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이를 위해 SPSS for windows 12.0k를 이용하여 권위주의 성향 점수를 상․하 집단(각 30%)으로 구 분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 (Pearson's Linear Correlation Coefficient)을 통하여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권 위주의 성향과 자신의 학교폭력 경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 수준에 따른 자녀의 권위주의 성향은 유의미한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19.36, p<.001).

둘째,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 수준에 따른 자녀의 학교폭력 경험의 차이를 살펴 보면 전체(t=4.58, p<.001), 가해(t=3.98, p<.001), 피해(t=3.91, p<.001)에서 유의미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경험에서는 언어적 폭력(M=6.77)이 가장 많았으며, 심리적 폭력(t=4.14, p<.001), 언어적 폭력(t=3.57, p<.001), 금품갈취(t=2.91, p<.01)에서 유의미한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경험에서는 금품갈취(M=6.38)가 가장 많았으며, 신체적 폭력(t=3.14, p<.01), 심리적 폭력(t=3.69, p<.001), 언어적 폭력(t=3.18, p<.01), 괴롭힘(t=2.13, p<.05), 금품갈취(t=2.65, p<.01)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 하위요인별 수준에 따른 자녀의 학교폭력 경험 하 위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신체적 폭력과의 관계는 인습주의(t=2.01, p<.05), 권위주의적 공격성(t=2.08, p<.05), 권력과 강인함에 대한 믿음(t=3.14, p<.01), 파괴주의와 냉소주의(t=2.14,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폭력과의 관계는 인습주의(t=2.55, p<.05), 권위주의적 복종(t=3.42, p<.001), 권위주의적 공격성(t=3.60, p<.001), 반 내성주의(t=3.03, p<.01), 미신성 과 고정관념적 사고(t=4.77, p<.001), 권력과 강인함에 대한 믿음(t=5.58, p<.001), 파괴주의와 냉소주의(t=4.40, p<.001), 투사성(t=2.38, p<.05), 성(t=2.70, p<.01) 모 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적 폭력과의 관계는 권위주의적 복종(t=2.28, p<.05), 권위주의적 공격성 (t=4.00, p<.001), 반 내성주의(t=3.52, p<.001), 미신성과 고정관념적 사고(t=3.77, p<.001), 권력과 강인함에 대한 믿음(t=4.87, p<.001), 파괴주의와 냉소주의(t=3.97, p<.001), 성(t=2.10,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괴롭힘과의 관계는 권위주의적 복종(t=2.07, p<.05), 미신성과 고정관념적 사고 (t=2.24, p<.05), 권력과 강인함에 대한 믿음(t=2.14,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품갈취와의 관계는 인습주의(t=2.80, p<.01), 권위주의적 복종(t=3.21, p<.01), 권위주의적 공격성(t=2.38, p<.05), 반 내성주의(t=2.97, p<.01), 미신성과 고정관념 적 사고(t=3.66, p<.001), 권력과 강인함에 대한 믿음(t=2.79, p<.01), 파괴주의와 냉소주의(t=3.54, p<.001)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과 자녀의 학교폭력 경험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습주의에서는 심리적 폭력(r=.114, p<.01), 금품갈취(r=.122, p<.01)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권위주의적 복종에서는 심리적 폭력(r=.152, p<.001), 언어적 폭력(r=.115, p<.01), 금품갈취에(r=.125, p<.01)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권위주의적 공격성에서는 신체적 폭력(r=.081, p<.05), 심리적 폭력(r=.169, p<.001), 언어적 폭력(r=.142, p<.001), 금품갈취(r=.095,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 내성주의에서는 신체적 폭력(r=.088, p<.05), 심리적 폭력(r=.157, p<.001), 언어적 폭력(r=.150, p<.001), 금품갈취(r=.117,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미신성과 고정관념적 사고에서는 심리적 폭력(r=.187, p<.001), 언어적 폭력 (r=.156, p<.001), 금품갈취(r=.160,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 를 보였다.

권력과 강인함에 대한 믿음에서는 신체적 폭력(r=.101, p<.01), 심리적 폭력 (r=.185, p<.001), 언어적 폭력(r=.171, p<.001), 금품갈취(r=.106, p<.01)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파괴주의와 냉소주의에서는 신체적 폭력(r=.114, p<.01), 심리적 폭력(r=.234, p<.001), 언어적 폭력(r=.202, p<.001), 금품갈취(r=.171,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투사성에서는 심리적 폭력(r=.145,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 계를 보였다.

성에서는 심리적 폭력(r=.094,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