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동차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1.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및 현황

가.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평가대상 산업 분야

◦ 제조업 중 전후방 산업효과가 매우 크며,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2주기 때 대상 산업 으로 선정됨

◦ 3주기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에서는 ’15년 ‘자동차’ 분야 대상 요구분석 실시 후 분석 내용에 근거하여 ’16년에 해당 분야 평가를 추진할 예정임

나. 자동차 산업 현황

11)

자동차 산업 동향 분석

ㅇ 2012년 한국자동차산업은 수출 747억불, 수입 112억불로 역대 최고치인 635억불의 무역흑자를 달성하였으며, 30년 연속 무역흑자 행진하며 최대 무역수지 흑자산업으 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함

- 생산 : 생산차질 및 판매부진으로 인해 0.9% 소폭 감소 - 내수 : 경기 회복지연으로 인한 0.3% 감소

- 수출 : 원고-엔저로 4년만에 2.7% 감소세

- 수입 : 최근 수입차에 대한 소비자 인식 제고 등으로 국내 수입차 시장규모가 급 격히 증가하고 있음

2

<표 II-1> 자동차 산업 동향 통계표

[단위 : 천대,억불]

※ 자동차산업협회 자동차통계월보 , 무역협회 통계(자동차산업 동향 통계표)

(단위) gfedc생산(천대):좌측 막대그래프 gfedc내수(천대): 우측 막대그래프 g

f e d

c수출(억불): 상부 그래프 gfedc수입(억불): 하부 그래프

* 생산, 내수는 국내 완성차업계(현대, 기아, 한국지엠, 르노삼성, 쌍용 등)의 실적 집계이며, 수출, 수입은 통관 기준 금액임

※ 자동차산업협회 「자동차통계월보」, 무역협회 통계

<그림 II-1> 자동차 산업 동향

구 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생산(천대) 3,840 4,086 3,827 3,513 4,272 4,657 4,562 4,521 4,524 내수(천대) 1,164 1,219 1,154 1,394 1,465 1,475 1,411 1,383 1,463 수출(억불) 432.0 497.0 489.0 371.0 544.0 684.0 718.0 747.0 756.0 수입(억불) 58.1 71.7 76.4 58.7 84.9 101.1 101.6 112.2 215.0

ㅇ 자동차산업의 국민경제적 비중 : 2만여개 부품으로 생산되는 전후방 연관효과가 가 장 큰 산업

- 제조업 생산의 11.59%, 고용의 10.93% 및 부가가치의 11.06% 차지(통계청 광업 제조업통계 조사보고서(2012))

ㅇ 자동차산업의 무역수지 비교 : 2013년 기준 자동차산업의 무역수지는 635억불로서 선 박 및 석유화학 등 주력 기간산업과 비교해 볼 때, 국가 경제에 이바지 하는 바가 큼

<표 II-2> 주요 산업별 무역수지 비교

(단위 :억불)

국제간 비교

ㅇ 한국 자동차산업과 외국비교 : 2013년 기준 한국 자동차산업은 생산량 452만대로서 중국, 미국, 일본 등에 이어 세계 5위의 자동차생산국

<표 II-3> 한국 자동차산업의 생산량 비교

(단위 : 천대)

구 분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인도 브라질 세계총생산

생산량 22,117 11,066 9,630 5,877 4,522 3,874 3,737 87,805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통계

구 분 자동차 및 부품 선박해양구조물

및 부품 석유화학 석유제품

무역수지 635 335 314 232

* 무역협회 통계

미래 예측 및 정책방향

ㅇ 글로벌 경쟁 심화와 업계판도의 변화, 시장구조의 변화 예상

- 급부상하고 있는 한국, 구조조정에 성공한 빅3의 미국, 전통의 유럽 및 일본의 글 로벌 업체들이 신흥시장 전략강화, 중소형차 라인업 강화 등으로 경쟁 격화 -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시장의 비중 축소와 중국,인도,브라질,러시아 등 신흥시장

의 확대

ㅇ 고유가와 환경규제 강화로 소형차 및 친환경 그린카로 무게중심이 이동

- 고연비 소형차와 친환경 그린카 개발 판매에 있어서 경쟁이 치열해 질것으로 예상 ㅇ 향후 내수는 금리인상으로 인한 가계부담 가중, 고유가 지속 등의 요인들이 크게 개선 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내수활성화 정책추진에 따른 경제성장세 지속, 차량 노후 화에 따른 대체 수요발생, 신차효과 등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됨 ㅇ 향후 수출은 원화절상에 따른 가격경쟁력 약화, 해외생산 확대 등의 추세에도 불구

하고, 국산자동차의 품질 및 브랜드 이미지 상승, FTA 발효로 인한 가격경쟁력 및 신뢰도 향상, 수출전략차종 투입확대 등의 요인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2.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가. 직무단위의 구분 및 정의

자동차 분야 직무단위와 관련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는 아래 <표 II-4>와 같이 구분하여 분석됨(2015년 기준). 아래 분석에 대해 보완 진행 중. 상세 내용은 국 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 (http://www.ncs.go.kr/ncs/page.do?sk=P1A2_PG01_001) 참조

<표 II-4> 국가직무능력표준 자동차 부문 분석 현황

( 2015 기준 )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15.

기계

06.자동차

제조 01.자동차설계 01.자동차설계

01.자동차 패키지 설계 02.자동차 차체 설계 03.자동차 의장 설계 04.자동차 무빔파트 설계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5.자동차 전장 설계 06.자동차 엔진 설계 07.자동차 동력전달장치 설계 08.자동차 조향장치 설계 09.자동차 현가장치 설계 10.자동차 제동장치 설계 11.자동차 엔진부대장치 설계 12.자동차 공조장치 설계

02.자동차시험·평가

01.동력성능 시험평가 02.연비배출가스 시험평가 03.충돌안정성 시험평가 04.구조신뢰성 시험평가 05.진동소음성능 시험평가 06.자동차재료 시험평가 07.제동계 시험평가 08.조종안정성 시험평가 09.열성능 시험평가 10.전기전자장치 시험평가

02.자동차제작

01.자동차조립

01.자동차 공정관리 02.자동차 차체 조립 03.자동차 도장 04.자동차 엔진 조립 05.자동차 동력전달장치 조립 06.자동차 전의장 조립 07.자동차 섀시 조립 08.자동차 후의장 조립 09.완성차 조립검사 10.자동차 공구점검 11.자동차 품질검사

02.자동차성능검사

01.주행안전 성능시험 02.동력성능시험 03.조향성능시험 04.현가성능시험 05.제동성능시험 06.배출가스성능시험 07.소음진동성능시험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8.연비성능시험

09.신뢰성 평가시험 10.환경성능시험

03.자동차정비

01.자동차전기·전 자장치정비

01.충전장치 정비 02.시동장치 정비 03.냉·난방장치 정비 04.전기·전자회로 분석 05.편의장치 정비 06.등화장치 정비 07.주행안전장치 정비 08.네트워크통신장치 정비 09.하이브리드 고전압장치 정비 10.전기자동차 전기장치 정비

11.자동차 전기·전자장치 정비 고객상담 12.자동차 전기·전자장치 정비 고장진단 13.자동차 전기·전자장치 정비공정 수립 14.자동차 전기·전자장치 정비 작업환경

관리

15.자동차 전기·전자장치 정비 유지보수

02.자동차엔진정비

01.엔진 본체 정비 02.냉각 장치 정비 03.윤활장치 정비 04.연료장치 정비 05.엔진점화장치 정비 06.흡·배기장치 정비 07.과급장치 정비

08.가솔린 전자제어장치 정비 09.LPG/LPI 전자제어장치 정비 10.디젤전자제어장치 정비 11.CNG 전자제어장치 정비 12.배출가스장치 정비·검사 13.하이브리드전기장치 정비 14.자동차 엔진정비 고객상담 15.자동차 엔진정비 장비 유지보수 03.자동차섀시정비 01.클러치 정비

02.수동변속기 정비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3.자동변속기 정비 04.무단변속기 정비 05.드라이브라인 정비 06.휠·타이어 정비 07.차동장치 정비 08.유압식 현가장치 정비 09.전자제어 현가장치 정비 10.조향장치 정비

11.전자제어 조향장치 정비 12.휠 얼라인먼트 정비 13.제동장치 정비

14.전자제어 제동장치 정비 15.공압식 제동장치 정비 16.자동차 섀시 고객상담 17.자동차 섀시 고장진단 18.자동차 섀시 정비공정 수립 19.자동차 섀시 작업환경 관리 20.자동차 섀시 장비 유지보수

04.자동차차체정비

01.차량파손 분석 02.차체 변형계측작업 03.차체수리계획 04.차체 수정 05.차쳬 용접·접합 06.차체 패널 수정·교환 07.볼트 온 패널 단품 교환

08.차체 방음·방청·방진·방수 작업 09.차체 신소재 부품 수리·교환 10.차체 수리 마무리점검 11.차체정비 고객상담 12.차체정비 작업환경 관리 13.차체정비 장비 유지

05.자동차도장

01.도장계획 수립 02.구도막 제거작업 03.프라이머 작업 04.퍼티작업

05.프라이머-스페이서 작업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6.조색 작업

07.마스킹 작업 08.상도 도장 작업 09.블랭딩 도장 작업 10.건조 작업

11.도장 후 마무리 작업 12.도장 작업환경 관리 13.도장 장비 유지보수

06.자동차정비검사

01.동일성확인 02.관능검사 03.기기검사 04.검사기기관리 05.검사결과판정 06.배출가스 검사

07.소규모 제작사 차량안전검사 08.구조변경·업무

09.중고차 성능·상태점검 10.자동차 정비검사 작업환경 관리

04.자동차정비 관리

01.자동차정비경영 관리

01.회계·재무관리 02.고객관리 03.홍보·마케팅 04.인사관리 05.사업장 운영관리 06.판매·재고관리 07.교육지원관리 08.보험·보증관리 09.사업장 배출물 관리

02.자동차정비현장 관리

01.현장작업 일정관리 02.시설관리 03.장비관리 04.에너지 관리

05.대기·수질·소음 환경관리 06.폐기물 관리

07.장비안전 08.시설안전 09.산업안전보건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개발 중인 틀과 자동차 산업 관련학과 현행 교육과정을 고 려하여 <표 Ⅱ-5>와 같이 직무군과 직무단위를 구분함

<표 Ⅱ-5> 자동차 분야 직무단위 구분

직무군 직무단위 직무 세 부 직 무 내 용 비고

(2012년 비교)

연구 개발

공통업무

전략/기획/법규 기술개발, 제품개발 전략 및 기획, 법규

대응(배기규제, 지적재산, PL등) 추가 프로세스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인증 추가 파이롯트 파이롯트차량 및 부품 개발, 품질확보, 양산성

검증  

시작 시작부품 시작/시작차 개발/ 설계품질 확인  

차량설계/

평가

차체설계 차체 스트럭쳐, 무빙시스템, 메커니즘 SYS

상세설계  

의장(내·외장)설 계

자동차 내·외장트림, 시트, 의장Safety, 공조

상세설계  

샤시설계 서스펜션, 제동, 구동, 조향, CONTROL, 냉각,

연료, 흡배기장치 상세설계  

플랫폼설계 차체 스트럭쳐 및 샤시 선행설계, 샤시 신기술

개발  

레이아웃 설계 패키지 LAY-OUT, 차량분해분석, 설계도면 검증   설계개선·품질 신차 양산후 설계개선 진행/對연구소 설계관련

창구/해외공장 설계지원  

차량시험 내구신뢰성, 상품성 평가, 감성품질평가   기능시험 충돌/안전/진동소음/환경/공력시험 및 개선  

파워트레인

엔진/변속기설계 가솔린/디젤 엔진 및 수동/자동 변속기 상세설계   엔진/변속기시험 엔진/변속기 성능, 내구 시험 및 엔진

EMISSION 시험 평가업무  

엔진/변속기선행  

엔진/변속기시작 엔진시작품 제작 계획 수립 및 문제점 분석   HEV/EV 설계 모터/인버터/컨버터/배터리 상세설계 추가 HEV/EV 시험 모터/인버터/컨버터/배터리 기능, 성능, 내구

시험 및 평가 추가

HEV/EV 선행 모터/인버터/컨버터/배터리 선행 신기술 추가 HEV/EV 시작 모터/인버터/컨버터/배터리 시작품 제작 및

문제점 분석 추가

성능시험 차량 Emission 개발/연비/동력성능/운전성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