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요약 및 논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1-64)

Ⅳ. 논의 및 제언

다음으로 ‘관찰하기’또한 탐구과정을 활용한 식물 기르기 활동에 참여했던 실험 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이는 식 물을 기르는 경험을 하는 동안 유아들 스스로 자연스럽게 학습하고 관찰활동에 주 도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는 오윤란(2006)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부분이다.또한 자연환경 구성활동을 통해 유아 스스로 보고,만지고,냄새를 맡고,열매를 먹어보 는 등의 활동들이 유아의 관찰능력 향상을 가져왔다고 보는 이윤정(2006)의 연구결 과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관찰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유 아교육현장에 유아들이 쉽게 자연물들을 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줄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제시해준다.다음 하위항목인 ‘분류하기’를 살펴보면 탐구과정을 활용 한 식물 기르기 활동에 참여했던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 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이러한 결과는 과학적 탐구활동을 통해 유아들이 직접 보고,듣고,만지면서 자연스럽게 식별 · 분류하는 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다는 장영미(2002)의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또한 유아들이 자연물들의 특성을 비 교해보고,유사점과 차이점을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해보면서 분류능력이 증진되었 다고 한 신미숙(2008)의 연구결과와도 유사하다.이는 유아들이 자연물들을 관찰, 탐색하는 과정 중에 유사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고,이를 기준으로 자연물들을 나누 어 봄으로써 유아들의 분류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따라서 분 류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탐구과정을 활용한 식물 기르기 활동을 통해 유아들이 보다 자연물들을 많이 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할 것이다.

다음 항목인 ‘측정하기’또한 탐구과정을 활용한 식물 기르기 활동에 참여했던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연환경구성활동을 통하여 유아들이 식물을 관찰,비교,탐색하면 서 실제 활동과 연계된 측정활동을 통해 측정능력이 향상되었다는 이윤정(2006)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이는 식물 기르기 활동을 통해 유아들이 자연물을 탐색,분 류하고 자연물의 크기,무게에 대한 궁금증을 여러 사물과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해 결함으로써 측정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시사해준다.따라서 측정능력의 향상을 위해 서는 유아들로 하여금 탐구 과정을 활용한 실제적인 측정활동을 보다 많이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마지막으로 ‘토의하기’도 탐구과정을 활 용한 식물 기르기 활동에 참여했던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 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이는 유아들과 자연과의 만남이 증가하면서 서 로 의사소통을 많이 하게 됨으로써 유아들의 토의하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

었다는 신미숙(2008)의 견해와 맥을 같이 한다.이는 유아들의 토의능력 향상을 위 해서는 교사와 유아가 활발한 의사소통을 통해 함께 계획하고 구성해 나가는 과정 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해 주고 있다.

둘째,탐구과정을 활용한 식물 기르기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정서지 능이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이미 혜(2009)의 유아가 자연에서 자유롭고 편안하게 호기심을 충족시키고,자연활동을 통해 자연과 하나 됨을 느끼면서 정서지능을 발달시킨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따라서 유아들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해서는 유아들이 보다 쉽게 자연체험의 기회 를 갖을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할 것이다.정서지능의 하위항목별로 구체적인 연구결 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먼저 ‘자기인식능력’은 탐구과정을 활용한 식물 기르기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자연친화적인 활동은 자기인식능력에 영향이 있음을 연구 한 김신영(2006)의 연구와 일치한다.또한 숲 체험활동을 통해 자기인식능력에 영 향이 있음을 연구한 김효진(2005)의 연구결과 와도 뜻을 같이한다.이는 자연을 통 한 체험 활동이 유아들이 자기 자신을 인식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을 의미한다.따라서 유아들의 자기인식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유아들에게 다양한 자연 친화적 체험활동을 접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할 것이다.

다음 ‘자기조절능력’은 탐구과정을 활용한 식물 기르기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 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자 연놀이과정에서 유아가 자연과 교감하고,다양한 상호작용을 이루어가는 과정 속에 서 유아들 스스로 자연에 감정을 이입 · 조절하였다는 임은정(2013)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이는 자연과의 교감이 감정을 발견 · 표현 할 수 있고,이런 과정 속에서 유아들이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는 점을 제시해준다.다음으로 ‘타인인식 능력’또한 탐구과정을 활용한 식물 기르기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 다.이러한 결과는 유아들이 꽃과 채소 가꾸기 활동을 통해 자연과의 교류를 직 · 간접적으로 경험을 하게 되고,자연스럽게 타인인식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김정옥 (2012)의 연구와 맥을 같이 한다.이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들로 하여금 보다 자 연과의 직접 적인 소통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마지막으로 ‘타인조절능력’에서도 탐구과정을 활용한 식물 기르기 활동을 한 실 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이는

유아들이 산책활동을 통해 자연과 친숙해지려 노력하고,스스로 마음을 열고,타인 을 이해하게 되면서 자기 정서의 변화를 가져온다고 말한 임은정(2013)의 연구 결 과와 유사하다.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유아들에게 자연이 유아들과 친숙 한 존재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자연체험의 기회를 많이 제공해줘야 한다는 점을 제언해 줄 수 있다고 본다.

이와 같이,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탐구과정을 활용한 식물 기르기 활동은 유아 들의 과학적 탐구능력 향상과 유아들의 정서지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1-6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