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미중 무역갈등의 본질은 단순히 무역불균형 해소를 위한 것만 아니라 세계패권경쟁이므로 단기적인 경 제적 손실을 감수한 ‘지위경쟁’이라 할 수 있음

◦ 지위경쟁에서는 경제적 손실을 보더라도 1등의 자리를 확보·유지하는 것이 관건

□ 우리나라로서는 자유민주주의 국가 대부분이 속한 미국 중심의 경제·정치 블록에서 이탈할 수 없기 때문에 중국 의존적 무역구조에서 야기되는 경제 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해야 하 는 전략적 상황에 직면

□ 결국 미국 주도의 국제무역질서 재편 흐름에 적극 적 동참(의사표명)하면서 구체적 실행은 탈중국으 로 인한 비용 최소화를 위해 점진적으로 추진할 필요

◦ 미국도 현재 국제무역 및 공급망 구조 하에서 는 정책의 급격한 실행은 사실상 어려운 상태

◦ 글로벌 대기업들의 얽히고 설긴 현재의 공급망 생태계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단기간에 완전히 배제하기는 사실상 불가능

□ 다자주의로의 복귀도 미국의 현재 추구하는 국제질 서 모습을 고려할 때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전망

◦WTO를 다자주의의 핵심 플랫폼이라고 보았을 때 합의를 전제로 하는 WTO 개혁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크며 오히려 현재의 양 자주의 혹은 상호주의 체제가 미국의 이해를 관철시키는데 유리한 상황

□ 우리나라로서는 다자주의 하에서 정해진 원칙에 따라 세계시장에 제한 없이 접근하는 것이 가장 선호되는 무역질서이므로 이 원칙의 설정(rule setting)에 우리나라의 이해를 최대한 반영하는 것이 중요

◦ 미국과 지속적인 의견조율을 통해 미국이 동의 하면서 우리나라의 이해도 반영하는 원칙 도출 에 최선을 다할 필요

□ 미·중 패권경쟁이 야기하는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 해서는 우리나라의 산업경쟁력 제고가 필수적이며 중국을 대체할 수 있으며 중국에 의해 대체되지 않을 정도의 경쟁력 확보가 필요

◦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공격적인 R&D 정 책이 필요하며 국제적으로도 불리하고 대기업에 대해 차별적인 현재의 R&D 세제 개선이 필요

◦ 특히 R&D 세제에 있어 현재와 같은 포지티브 시스템은 기술융합화 시대에 걸맞지 않으므로 네거티브 시스템으로 개선 필요

- 특히 포지티브 시스템은 보조금 관련 무역분쟁의 대상이 될 수 있음

□ 지원산업을 특정화하는 산업정책에 미온적이었던 미국까지 본격적인 산업정책을 추구함에 따라 국 가 간 산업정책 경쟁은 더욱 격화되므로 우리나라 의 산업정책의 성과 창출이 중요해진 상황

◦ 산업정책이 제대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산업 정책 프로세스 개선 필요

- 산업정책의 성과 평가를 철저히, 주기적으로 하여 산업정책의 내용과 수준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 드하며 정책의 연속성도 확보할 필요

□ 미국 주도의 공급망 재편에 대해서는 크게 Switching, Managing Risk/Cost, Upgrading 세 차원에서 대응

□ 미국의 공급망 정책에 따라 제조기지 이전 투자를 추진할 경우 큰 규모의 투자비용과 새로운 불확실 성에 노출되므로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점진적으로 추진

◦ 또한 공급망 조정과정에서 국내 기업환경을 개 선하여 리쇼어링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

- 노동시장 경직성, 규제개혁 미흡 등 국내 기업의 리쇼어링을 저해해 온 장애요인 철폐 필요

□ switching을 통한 공급망 정비를 하지 않은 경우 /또는 switching을 한 경우 예상되는 새로운 risk/cost를 관리할 수 있는 방안 마련

◦ 특히 공급망 정비에 따른 risk/cost 관리 능력 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경우 적절한 정부 지원 을 통하여 공급망 재조정을 도울 필요

□ 세계적 공급망 조정 과정에서 다른 기업에 의해 대체되지 않도록, 그리고 다른 기업(특히 중국 기 업)을 대체할 수 있는 산업경쟁력 확보 필요

◦ 특히 ATP(Advanced Technology Product) 수입 에서 미국은 중국을 배제할 가능성이 크므로 이 기회를 활용할 필요

- ATP 부문에서 중국을 대체할 수 있도록 R&D를 강화하고 중국에서 ATP를 미국으로 수출하는 비 중국 해외기업들을 국내로 유치하는 전략 수립 필요

◦ 미국의 공급망 지원정책을 공급망 재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우리나라 산업의 기회로 활용 할 필요

<참고 문헌>

김종규, 『리쇼어링 기업 지원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방 안』, 입법·정책보고서 국회입법조사처, 2020. 10 곽동철, “백투더퓨처: WTO 상소기구의 위기와 개혁 논

의”, KITA 통상리포트, VOL.02, 2020.

과학기술기획평가원, “미국의 脫중국화(去中國) 전략과 중 국의 대응”, 과학기술&ICT 정책·기술동향, NO.178, 2020.

이태규·임동원 , 『미·중 전략경쟁시대의 공급망 안정성 논의의 영향분석 및 대응방안』, 국민 경제자문회의 용역보고서 2021

외교통상부, 『WTO 이해하기』,2007

전경련, “민간 R&D 투자 현황과 주요국 지원제도 비교 - G5 vs. 한국” , Global Insight Vol. 41, 2021

Acemoglu, Daron, David Autor, David Dorn, Gordon H. Hanson, and Brendan Price. "Import Competition and the Great U.S. Employment Sag of the 2000s." Journal of Labor Economics 2016:

S141-S98.

Abbott et al. “Measuring the Trade Balance in Advanced Technology Products”, U.S. Bureau of the Census, 1989

Autor, David H., David Dorn, and Gordon H. Hanson.

2013. "The China Syndrome: Local Labor Market Effects of Import Competition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Economic Review 103 (6):

2121-68.

Charles, Hurst and Schwartz, “The Transformation of Manufacturing and the Decline in US Employment“

RESEARCH BRIEF, , 2018, Becker Friedman Institute

Justin R. Pierce and Peter K. Schott, “The Surprisingly Swift Decline of US Manufacturing Employment”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 2016, Vol. 106, pp. 1632-1662

Katherine Eriksson Katheryn Russ Jay C. Shambaugh, Minfei Xu, “TRADE SHOCKS AND THE SHIFTING LANDSCAPE OF U.S. MANUFACTURING”

NBER Working Paper 25646, 2019

Liang Bai and Sebastian Stumpner. “Estimating US Consumer Gains from Chinese Imports“ 2019, WP

#718 Banque de France

Lorenzo Caliendo, Maximiliano Dvorkin, and Fernando Parro, “Trade and Labor Market Dynamics: General Equilibrium Analysis of the China Trade Shock Econometrica, Vol. 87, Issue3 2019, pp. 741-835

Galina Hale, Bart Hobijn, Fernanda Nechio, and Doris Wilson, “How Much Do We Spend on Imports?”, FRBSF Economic Letter, Jan. 7, 2019 Gereffi1, Gary, Hyun-Chin Lim and Joonkoo Lee,

“Trade policies, firm strategies, and adaptive reconfigurations of global value chain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Policy, 2021

Germán Gutiérrez and Thomas Philippon, “Declining Competition and Investment in the U.S.” Mimeo, March 2017

Robert C. O’Brien “U.S. Strategic Framework for the Indo-Pacific” Assistant to President for National Security Affairs

Rodrik, D. “Industrial Policy for the twenty-first century”, Faculty Research Working Paper Series RWP04-047. 2004, Harvard University.

Rodrik, D. 2008. “Industrial Policy: Don't ask Why, Ask How”, Middle East Development Journal, 2008, Demo Issue: 1-29.

Simone Cigna, Philipp Meinen, Patrick Schulte, and Nils Steinhoff, “The impact of US tariffs against China on US imports: evidence for trade diversion?” Working paper No. 2503, 2020 European Central Bank

Scott, Robert E. and Zane Mokhiber, “Growing China trade deficit cost 3.7 million American jobs between 2001 and 2018: Jobs lost in every U.S.

state and congressional district”, Economic Policy Institute, Jan. 30, 2020

USTR, Report on the Appellate Body of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Feb. 2020

The White House, Building Resilient Supply Chains, Revitalizing American Manufacturing, and Fostering Broad-Based Growth: 100-day Reviews Under Excutive Order 14017, June 2021.

<부록>

<부표 > 행정명령 14017에 따른 100일 평가의 정책제안

정책제안 주요 내용

1. 생산과 혁신능력의 재건

<산업생산 재건과 공급망 강화를 위한 법적 노력>

- 반도체 생산과 R&D에 대한 최소 500억 불 투자

- 전기자동차(EV) 수요 활성화를 위한 소비자 보조금 및 세제 혜택: 연방차량의 EV화를 위해 50억 불 투자 및 충전시설 건설 등 인프라 투자 150억 불

- 배터리 셀과 팩 제조 전 공정에 대한 금융지원

- 공급망 회복 프로그램(Supply Chain Resilience Program) 신설 - 국방물자생산법(Defense Production Act)의 적극적 활용 <R&D에 대한 공공투자 증대 및 핵심상품의 상업화>

- 차세대 배터리에 대한 투자 - 신약제조 및 공정개발에 대한 투자

<중소기업 및 숙련노동자들이 포함된 생산자와 혁신가의 생태계 발전을 위한 지원>

- 산업계 및 노동계와 협력하여 양질의 고용과 노동조합의 자유를 보장하는 통로 확보(이를 위해 섹터-기반 전문대와의 협력 및 직업훈련 필요)

- 중요 공급망 상의 중소기업과 불리한 여건에 처한 기업을 지원 - 국내 생산을 지원하기 위한 미 수출입은행(EXIM)의 능력 점검

2. 인적자본, 지속가능성, 질적 향상에 대한 투자를 위한 시장의 발전

- 중요 광물(critical minerals)의 추출 및 가공에 있어 21세기 표준 제정 - 중요 광물의 미국 내 생산 및 가공 지역 확보

- 약품 공급망의 투명성 제고

3. 핵심상품의 수요자 및 투자자로서의 정부의 역할 강화

- 미 공급망 강화를 위한 공공조달 활용

- 과학 및 기후 관련 R&D에 대한 정부 보조에 있어 국내 생산 조건 강화 - 미 국내 비축물자(관리)에 대한 개혁

- 정부지원을 받은 미국 내 차량용 배터리 생산에는 높은 수준의 노동 스탠더드 부여 4. 공정무역 집행 메카니즘을 포함한 무역 룰

강화

- 불공정 무역 감시를 위한 무역기동대(trade strike force) 창설

- 네오디미니움 자석(neodymium magnet) 수입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여부 판단

5. 동맹국과의 협력으로 글로벌 공급망의 취약점 보강

- 동맹국과의 글로벌 공급망 협력을 위해 ‘대통령 포럼(Presidential Forum)’ 창설

- 공급망 회복력 강화를 위한 미 개발금융회사(Development Finance Corporation) 등 정책금융기구의 지원 강화

6. 코로나19 이후 경제회복기의 공급망 혼란 모니터링

- 가까운 장래에 예상되는 공급망 혼란에 대처하기 위한 공급망 태스크포스(Supply Chain Disruptions Task Force) 창설

- 가까운 장래에 예상되는 공급망 취약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데이터 허브 창설 자료: 100일 조사 결과 보고서(The White House, June, 2021), 저자 정리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