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아동기 또래집단 특성과 학교 생활 태도와의 관계를 분석하 는데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기 또래집단 형성요인에 따른 학교생활태도는 어떠한가?

2. 아동기 또래집단의 유형별로 학교생활태도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구명하기 위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또래집단의 형성요인과 학교생활태도간에는 성별, 지역별에 따 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다.

1-1. 또래집단의 근접성 요인과 학교생활태도간에는 성별, 지역 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다.

1-2. 또래집단의 유사성 요인과 학교생활태도간에는 성별, 지역 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다.

가설 2. 또래집단의 유형과 학교생활태도간에는 성별, 지역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다.

2-1. 또래집단의 친구 수와 학교생활태도간에는 성별, 지역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다.

2-2. 또래집단의 우두머리 유무와 학교생활태도간에는 성별, 지

역별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다.

2-3. 또래집단의 도당성 여부와 학교생활태도간에는 성별, 지역 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다.

본 연구는 제주도 전지역의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7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로 조사하고 회수된 689부의 질문지를 연구분석의 자료로 삼 았다. 측정 도구로는 또래집단 형성요인과 또래집단 유형을 측정하기 위 해 최세영(1996)이 고교생을 대상으로 사용했던 것을 초등학생에 맞도록 문장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고, 학교 생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 된 도구는 김길순(1995)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사용했던 문항을 재구성 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F검증(다원 변량 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집단 형성요인과 학교생활 태도간의 관계 검증에서는, 근접 성 요인에 따른 또래집단간에 학교생활태도의 평균점수 차이는 유의한 수 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유사성 요인에 따른 또래집단간에 학교생활태도의 평균점수 차이는 학교 적응도와 수업 충실도에 유의한 수 준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P<0.05). 따라서 또래집단의 형성요인과 학교 생활태도간에는 성별, 지역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라는 가 설 1은 부분적으로 긍정되었다.

근접성 요인에 따라 분류된 집단과 학교 생활 태도의 하위영역과의 관 계를 보면, 학교 적응도와 수업 충실도에서는 남녀 어린이 모두, 그리고 지역별로도 대체로 동일거주지를 중심으로 한 또래집단이 점수가 높게 나 타나고 있으며, 교사에 대한 평가에서는 남녀 어린이 모두, 그리고 지역별 로 보아도 다른 요인들보다 같은 학교나 반 친구로 형성된 또래집단이 보 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이한 것은 서귀포 지역인 경우 학교 적응도나 수업 충실도나 교사에 대한 평가 모든 학교 생활 태도 영역에서 동일 거주지를 중심으로 한 또 래집단이 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래집단의 근접성 요인과 학교생활태도간에는 성별, 지역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라는 가설 1-1은 하위 영역에서 부분적으로만 수용되고 있다.(P<.01)

유사성 요인에 따라 분류된 집단과 학교 생활 태도의 하위영역과의 관 계를 보면, 학교 적응도와 수업 충실도에서는 학교 성적이 유사한 또래집 단이 의의있게 점수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P<0.05), 교사에 대한 평가 는 가정 환경이 유사한 집단이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의의있 는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

특이한 것은 서귀포 지역인 경우 학교 적응도와 수업 충실도가 취미나 특기가 유사한 또래집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북제주군의 경우는 학교 적응도, 수업 충실도, 교사에 대한 평가 모두에서 가정 환경 이 유사한 또래집단이 높은 점수를 보여 주고 있다.

또래집단의 유사성 요인과 학교생활태도간에는 성별, 지역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라는 가설 1-2는 평균점수(P<.05)와 하위영역 (P<.01, P<.05)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긍정되었다.

둘째, 또래집단 유형과 학교 생활 태도간의 관계 검증에서는 친구수는 한명인 단짝 집단이 학교적응도, 수업충실도, 교사에 대한 평가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보이며 특히 학교 적응도는 의의있게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 다 (P<0.01). 그리고 집단내 우두머리가 있는 집단이 집단내 우두머리가 없는 집단에 비해 학교 적응도, 수업충실도, 교사에 대한 평가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는데, 이중 학교 적응도와 수업 충실도는 의의있는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다(P<0.01). 한편 도당성 여부에 따라서는 학교생 활태도 하위 영역 모두에서 의의있는 점수차가 나타나고 있는데 도당성이 없는 집단이 학교적응도, 수업 충실도(P<0.01), 그리고 교사에 대한 평가 (P<0.05) 모두에서 의의있게 높은 점수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또래집 단의 유형과 학교생활태도간에는 성별, 지역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 타낼 것이라는 가설 2는 연구결과 모두 긍정되었다.

친구수에 따른 또래집단과 학교생활 태도의 하위 영역과의 관계를 보 면 세가지 영역 모두에서 남녀 어린이 모두, 그리고 모든 지역에서 친구 가 1명인 또래집단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고 그 다음은 친구가 없는 외 톨이이거나 2명 내지 5명 이내의 친구로 형성된 또래집단이 긍정적인 점 수를 보이고 있다. 즉 친구수가 5명 이하로 많지 않을 경우가 더 학교 생활 태도가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또래집단의 친구수와 학교생활태도 간에는 성별, 지역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라는 가설 2-1은 연구결과 긍정되었다. (P<.01)

집단내 우두머리 유무에 따른 또래집단과 학교 생활 태도의 하위 영역 과의 관계를 보면, 학교 적응도와 수업 충실도에서는 남녀 어린이 모두 그리고 제주도 전 지역에서 우두머리가 있는 집단이 의의있게 높은 점수 를 나타내고 있으며, 교사에 대한 평가인 경우 제주시와 남제주군만 우두 머리 없는 집단이 점수가 높고 다른 지역은 우두머리를 가진 집단이 역시 긍정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래집단의 우두머리 유무와 학 교생활태도간에는 성별, 지역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라는 가설 2-2도 연구결과 긍정되었다. (P<.01)

또래집단의 도당성, 즉 비행성 여부와 학교 생활 태도의 하위 영역과 의 관계를 보면 학교 적응도, 수업 충실도, 교사에 대한 평가 모든 영역에 서 남녀 어린이 모두, 그리고 제주도 전 지역에서 도당성이 없는 집단이 의의있는 높은 점수를 보여 주고 있다. 또래집단의 도당성 여부와 학교 생활태도간에는 성별, 지역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라는 가 설 2-3도 연구결과 모두 긍정되었다. (P<.01, P<.05)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설정했던 가설을 전반적으로 지지해 주 는 것으로서 아동기의 또래집단 특성에 따라 학교생활 태도에 성별, 지역 별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아동들은 자신이 속해 있는 또 래집단을 형성하게 된 물리적 요인, 심리적 동기, 그렇게 해서 형성된 또 래집단의 유형에 따라 학교 생활 태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또래집단 특성에 따라 학교 관련 태도에 차이가 있다고 보고한 최세영(1996)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며, 아동기가 또래에의 지향과 동조가 강한 시기로 또래집단이 구성 원들의 태도, 가치, 성격형성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여러 학자들의 주장과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결과는 제주도내의 초등학생들의 또래집단 특성과 또 그에 따 른 학교생활 태도에 대한 하나의 실증적인 자료를 제시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