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외국의 사례

문서에서 국립환경연구원 (페이지 121-126)

○ 해외 생물자원의 조사 발굴 추진

- 일본은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의 아시아 식물 자원 부국에 대해 생물자원에 대한 조사 연구를 국가적으로 지원

※일본 환경성 및 JAICA는 해외의 각종 생태 환경협력사업 지원

- 일본 도쿄대의 경우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 국가에

생태연구 분소를 설치하여 각종 생물자원 및 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집 - 미국의 경우 고유종이 많은 아프리카의 마다가스카르 지역에 연구 분소를

설치, 분류학자를 상주시키고 지속적으로 탐험대를 파견하여 이 지역의 식물을 연구

- 미국 Merck 社는 코넬대학과 계약하여 열대림에 존재하는 약 50만 종의 동식물을 조사하고 이들로부터 신약 25종을 10년 내에 개발하려는 프로 젝트 착수

- 영국은 국립자연사박물관, 큐식물원, 에딘버러식물원의 3개 기관이 협력하여 네팔식물을 조사하고 네팔 식물분류학자를 초청하여 연구비 전액 지원 - 독일은 정부 주도하에 “Natural Product Pool”을 1996년에 시작하고 천연물

성분물질을 수집하여 신의약품, 신농약 등을 개발하는 프로그램 시작 ○ 생물자원을 체계적으로 확보, 관리하는 자연사박물관 등 다수 기관 설립 - 자연사박물관의 경우 미국에 1,167개, 독일 607개, 일본 150개가 있으며

수용된 전문가 수는 국립박물관에 평균 75명, 사립기관 13명, 대학박물관 9명임.

- 미국 국립자연사박물관은 168명, 미국 뉴욕자연사박물관은 200명, 영국 국립자연사박물관은 석 박사급 전문가 664명이 생물자원 관리

○ 동식물지 발간 사업 추진

- 미국은 1990년 연방정부 장기사업으로 국가 차원의 북미식물지 편찬 사업에 착수하여 8권의 식물지를 발간해 왔으며 상당수의 지역별 식물 지들이 오래 전에 완성됨.

- 러시아는 30권에 달하는 식물지를 자국어와 영어로 완성하여 보유 중이 며 중국은 60여권에 달하는 식물지를 발간

- 북한도 식물에 관한 정보자료는 매우 다양하게 수집, 조사하였으며, 북한 식물지, 원색식물도감, 우리나라의 수생식물, 조선약용식물, 조선식물도감, 조선식물명집, 식물도감 등과 지역 식물지 평양식물지 등을 발간하였고, 조선식물지에만 3,585종이 수록되어 있음5).

표 1. 북한 식물지의 개요

제 목 저 자 출판년도 분량(쪽) 출판사

조선식물지 1 김현삼 외 5인 1972 277 과학원출판사 조선식물지 2 김현삼 외 5인 1974 393 과학출판사

조선식물지 3 김현삼 1974 273 과학출판사

조선식물지 4 김현삼 1976 563 과학출판사

조선식물지 5 김현삼 외 4인

조선식물지 6 (입수불가) 1976 311 과학출판사

조선식물지 7 과학원식물연구소 1976 657 과학출판사

조선식물지 부록 과학원식물연구소 1979 684 과학출판사

평양식물지 불명 1984 448 과학백과사전출판사

조선원색식물도감 고학수 1988 880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조선식물명집 1955

조선식물도감 과학원 1956

조선 약용식물 도봉섭, 임록재 1964

우리나라의 수생식물 양재환 1987

식물도감 도봉섭, 임록재 1988 1023 과학출판사

○ 생물자원의 소유자 이용자 이익공유 사례6)

- 말리에 자생하는 야생벼가 쌀병해충(흰빛잎마름병)에 저항성이 큰 것으로 밝혀져 필리핀에서 다양한 품종으로 개량‧보급. 미국의 UC Davis 대학은 유 전자 특허출원을 하였고, 유전자원 보상기금을 설립하여 특허 유전자의 상업적 이용에서 오는 이익을 말리의 종자 제공자와 다른 개발도상국과 공유함.

- 남미의 볼리비아, 콜롬비아, 에쿠아도르, 페루, 베네주엘라 5개국은 안데스 협약을 맺어 유전자원과 그 파생물에 대해 주권적 권리를 지역 국가차원 에서 행사함.

- 코스타리카의 INBio(Instituto Nacional de Biodiversidad)는 INBio는 미국의 제약회사인 Merck社와의 1997년 계약을 통해 생물시료를 제공하고 Merck는 선행 투자, 기술이전 및 제공된 자원의 산업적 응용으로 파생 되는 이익을 코스타리카와 공유

4. 대처 방안

○ 한국 고유 생물종의 발굴 및 관리

- 고유종 DB 구축 및 표본 확보, 해외 유출방지 등 ○ 한국 생물지 발간 추진

- 5개 분류군별 4억 소요 예상

○ 해외 생물자원 확보 및 관련 정보수집

- 동구권, 러시아, 일본에 유출된 우리나라 표본(북한산 포함) 확보 및 관련 정보 체계화

- 열대 생물자원 DB 구축 및 유용자원 탐색

- 개도국 지원을 통한 생태연구의 해외 거점 확보 및 전문인력 육성 - 한 아세안 협력사업 등을 통한 국내 생태학자들과 동남아시아 국가 연구

기관 간 협력사업의 지속적 추진

○ 국립생물자원관 설립(2006년 완공)에 따른 인프라 구축 - 생물분류전문가 등 전문인력 및 예산 확보

- 소장 표본 확보 및 수장고 관리 운영 시스템 구축

- 전국자연환경조사 등을 통한 지속적인 생물종 발굴 ○ 국내 생물유전자원에의 접근 규제 제도화

- 생물자원의 채집 이용에 관한 상호협약 체결

- 생물자원이 국외로 반출될 경우 정부 기관과 지역주민의 동의 제도 정착 - 생물자원이 산업적으로 이용될 경우 로열티의 지급 등 이용에 대한 보상제공 - 생물자원의 소유자 이용자 간의 이익공유 사례 및 제도 연구7)

○ 생물자원 정보교환 및 분류능력 제고를 위한 국제사업 주도

- 생물다양성협약 지구분류학사업(Global Taxonomy Initiative)의 적극 참여 및 분류 능력 제고를 위한 대책 수립 시행

- DIWPA (Diversitas Western Pacific and Asia) 등 생물다양성 지역정보 교환 체계의 활성화 및 국제협력 증진

- 세계 120개 이상 국가에서 1,000개 이상의 분류연구소를 연결하여 구성된 BioNET-INTERNATIONAL 네트워크 참여 및 국내 네트워크 구축

5. 향후 전망

○ 2006년 개원 예정인 생물자원보전관의 내실화 ○ 해외 생물자원 연구기능 활성화 및 교육 거점 확보 ○ 생물자원 확보에 따른 국내 생물산업 육성

○ 생물분류인력 육성 및 관련 기초학문 활성화

6. 참고문헌

1) Ten Kate, K. and Laird, S.A., The Commercial Use of Biodiversity: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Sharing. Earthscan Publishing Ltd. London (1999) 2) 김태규, 김기대, 노환춘, 김말희, 이은영, 이병윤, 이민효, 오경희, 유전자원 접 근 및 이익공유에 관한 국제 동향과 생물다양성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 16(3):169-180(2003)

3)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1980)

4) 한국곤충학회, 한국응용곤충학회, 한국곤충명집, 건국대학교 출판부(1994) 5) 임록재, 조선식물지(증보판), 과학기술출판사(1999)

6) 오경희 외, 생물유전자원의 주권 확보 및 관리기법 연구(I), 국립환경연구원(2002) 7) 이병윤 외, 생물유전자원의 주권 확보 및 관리기법 연구(II), 국립환경연구원(2003)

작성자 : 생물자원과 오경희(khoh@me.go.kr)

문서에서 국립환경연구원 (페이지 121-12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