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완주군의 특성과 지역공동체의 당면과제

문서에서 주 최 : 농어촌지역정책포럼 (페이지 55-59)

2.1. 완주군은?

2.1.1. 인구 8만 5천의 도농복합도시

○ 65만 전주의 배후도시/ 예산 연 5천억원, 재정자립도 23.5%

○ 전북 지역 중 인구증가 지자체 ('06말 83,199명→ '10. 10월 85,119명)

2.1.2. 노령산맥과 호남평야 접경, 만경강 발원 청정지역

○ 만경강 상류에 위치, 산, 계곡, 하천, 평야가 다양하게 분포

○ 대둔산, 모악산, 대아저수지, 대아수목원, 고산휴양림

○ 만경강 발원지 생태관광자원화 : 무궁화테마식물원, 다목적캠핑장, 만경강생태문화탐 방로, 생태숲, 자생식물단지조성 등 11개 사업 370억원 규모 투자

2.1.3. 산업단지 및 미래 신산업인 첨단소재산업의 발달

○ 완주산업단지 : 자동차, 기계, 전기전자, 화학, 영상통신장비 등 77개 기업

○ 전북과학산업단지 : 신재생에너지, 전자 및 기계부품, 바이오 관련 200여 기업

○ 테크노밸리산업단지 조성 : 40만평 조성(1,500억원, ‘08년-’12년)

○ 미래 신성장동력산업 유치/조성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북분원 조성

­고온플라즈마 응용연구센터 조성

※ 지역 총생산액 : 2조 6,585억원 (전라북도의 17%)

2.2. 완주 지역공동체의 당면과제

2.2.1. 지속가능한 농업환경을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가?

○ 완주군 지역농업 현황은 농가호수 1만(3만여명), 전업농 58.4%, 1ha미만 농가 63.6%, 친환경면적과 규모는 592ha(752호)다. 다품목 소량생산구조가 기본

○ 다품목 소량생산의 특징을 살린 지속가능한 농업환경 조성

2.2.2. 농산촌지역의 인구감소 및 고령화(활력저하),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15,136명으로 전체인구수 대비 18%

○ 농산촌지역의 급속한 인구감소(경천면 476세대 1,027명/ 동상면 555세대 1,184명)

○ 지역 내 귀농귀촌인구유치 및 인구감소지역의 사회적서비스 필요성 증대

○ 인구는 2007년도를 기점으로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음

구분 2005. 12 2006. 12 2007. 12 2008. 11 2010. 12 인구수(명) 84.561 83,199 82,972 83,851 85,119

○ 고령화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읍면별 편차가 심함.

구분 2005. 12 2006. 12 2007. 12 2008. 11 2010. 12 고령화비율(%) 15.82 16..37 17.67 17.83 18.11

※ 우리나라 고령화 비율 : 11% (2010. 7월)

10.95

33.74

25.8 28.41 32.77 30

23.87 24.61

17.77 16.35 17.44 16.63

18.11

21.82

10 14 18 22 26 30 34 38

평균 삼례읍 봉동읍 용진면 상관면 이서면 소양면 구이면 고산면 비봉면 운주면 화산면 동상면 경천면

2007년도 2008년도 2010년도

­ 봉동읍을 제외한 다른 읍면의 고령화 비율은 모두 증가추세임.

­ 8개 面(소양면, 구이면, 고산면, 비봉면, 운주면, 화산면, 동상면 경천면)은 이미 초고 령 사회에 진입하였으며, 특히 비봉면, 운주면, 경천면은 30% 를 초과하고 있으며 고령화 비율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음.

2.2.3. 특색있는 읍면발전계획을 어떻게 만들고 군 전략과 연계할 것인가?

○ 구도심 권역(삼례, 봉동)/ 농산촌 권역(고산6개면)/ 대도시 접경권역(용진, 소양, 구이, 상관)/ 혁신도시권역(이서면) 등으로 구분

○ 읍면-거점마을-자연부락을 연계하는 효율적인 서비스전달체계 확립

○ 주민이 수립하고, 주민의 힘으로 완성해가는 지역발전계획의 수립

○ 읍면단위 종합발전을 기초로 군 정책과 예산의 수립 (포괄보조금 제도 활용)

2.2.4. 산적해 있는 농촌 및 지역공동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 지역커뮤니티의 육성-일자리 발굴-공동체보육프로그램-사회적 기업

○ 특히 교육, 복지, 문화, 보건, 경관 등 다양한 분야의 과제 해결

문서에서 주 최 : 농어촌지역정책포럼 (페이지 5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