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영유아기 부모의 부부갈등이 아동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표 Ⅳ-2-10> 부의 잠재집단별 거주 지역 분포 차이

가구 특성 잠재집단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전체 χ2(df)

거주지역 1차 (0세)

중수준 부부갈등 38.5 39.9 21.5 100(288)

2.624(4) 최하수준 부부갈등 41.6 40.2 18.2 100(264)

하수준 부부갈등 38.6 40.5 20.9 100(847)

1) 연구도구

가) 학업수행능력(11~13차)14)

이은해 외(2008)의 척도를 한국아동패널 연구진이 수정한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담임교사가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사회, 예체능 6개 영역과 전반적인 학업수행능 력에 대해 응답한 값의 평균을 사용하였다. 8차는 국어(4문항), 수학(5문항), 전반 (1문항), 9차는 국어(4문항), 수학(3문항), 예체능(3문항), 전반(1문항), 10차는 국 어(3문항), 수학(4문항), 과학(1문항), 사회(1문항), 예체능(3문항), 전반(1문항), 11 차, 12차는 국어(3문항), 영어(1문항), 수학(5문항), 과학(1문항), 사회(1문항), 예 체능(3문항), 전반(1문항), 13차는 국어(3문항), 영어(1문항), 수학(6문항), 과학(1 문항), 사회(1문항), 예체능(3문항), 전반(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Chronbach’s α는 11차 .97, 12차 .96, 13차 .98로 확인되었다.

나) 학업스트레스(11~13차)15)

한국청소년패널조사(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문항을 활용하여 학업스트레스 수 준을 확인하였으며, 11차(2018년)부터 13차(2020년)까지 동일한 3개 문항을 사 용하였다. 아동이 ‘그런적 없다’(1점)~‘항상 그렇다’(5점) 중 하나에 응답하였으 며, 문항은 ‘나는 숙제나 시험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다.’ 등으로 구성되어 있 다. Chronbach’s α는 11차 .79, 12차 .79, 13차 .80로 확인되었다.

14) 한국아동패널 홈페이지 도구프로파일(아동_학업수행능력_초등) https://panel.kicce.re.kr/pskc/boar d/view.do?menu_idx=42&board_idx=44564&manage_idx=161&old_menu_idx=0&old_mana ge_idx=0&old_board_idx=0&group_depth=0&parent_idx=0&group_idx=0&group_ord=0&vie wMode=NORMAL&search_type=title&search_text=%ED%95%99%EC%97%85&rowCount=10&

viewPage=1

15) 한국아동패널 홈페이지 도구프로파일(아동_학업스트레스) https://panel.kicce.re.kr/pskc/board/vie w.do?menu_idx=42&board_idx=44582&manage_idx=161&old_menu_idx=0&old_manage_id x=0&old_board_idx=0&group_depth=0&parent_idx=0&group_idx=0&group_ord=0&viewMo de=NORMAL&search_type=title&search_text=%EC%8A%A4%ED%8A%B8%EB%A0%88%EC%8 A%A4&rowCount=10&viewPage=1

다) 자아존중감(11차, 13차)16)

MCS(2012)에서 Rosenberg(1965)의 척도를 5문항으로 축소한 척도를 사용하 였으며, 11차(2018년), 13차(2020년)의 동일한 5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아동이

‘전혀 그렇지 않다’(1점)~‘매우 그렇다’(4점) 중 하나에 응답하였으며, 문항은 ‘나 는 소중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등이다. Chronbach’s α는 11차 .83, 13차 .90 로 확인되었다.

라) 삶의 만족도(11~13차)17)

한국아동청소년패널(2010) 문항을 활용하여 아동의 삶의 만족도 수준을 확인하 였으며, 11차(2018년)부터 13차(2020년)까지 동일한 3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아 동이 ‘그렇지 않다’(1점)~‘매우 그렇다’(4점) 중 하나에 응답하였으며. 문항은 ‘나 는 사는 게 즐겁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Chronbach’s α는 11차 .74, 12차 .66, 13차 .66로 확인되었다.

마) 학교적응(11~13차)18)

학교적응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초등학교 4학년 시기(11차)는 지성애, 정대현

16) 한국아동패널 홈페이지 도구프로파일(아동_자아존중감_초등) https://panel.kicce.re.kr/pskc/board/

view.do?menu_idx=42&board_idx=44562&manage_idx=161&old_menu_idx=0&old_manage _idx=0&old_board_idx=0&group_depth=0&parent_idx=0&group_idx=0&group_ord=0&view Mode=NORMAL&search_type=title&search_text=%EC%9E%90%EC%95%84%EC%A1%B4%EC%

A4%91%EA%B0%90&rowCount=10&viewPage=1

17) 한국아동패널 홈페이지 도구프로파일(아동_삶의 만족도) https://panel.kicce.re.kr/pskc/board/vie w.do?menu_idx=42&board_idx=44579&manage_idx=161&old_menu_idx=0&old_manage_id x=0&old_board_idx=0&group_depth=0&parent_idx=0&group_idx=0&group_ord=0&viewMo de=NORMAL&search_type=title&search_text=%EB%A7%8C%EC%A1%B1%EB%8F%84&rowCou nt=10&viewPage=1

18) - 한국아동패널 홈페이지 도구프로파일(아동_학교적응_초1-4) https://panel.kicce.re.kr/pskc/boar d/view.do?menu_idx=42&board_idx=44721&manage_idx=161&old_menu_idx=0&old_man age_idx=0&old_board_idx=0&group_depth=0&parent_idx=0&group_idx=0&group_ord=0

&viewMode=NORMAL&search_type=title&search_text=%EC%A0%81%EC%9D%91&rowCou nt=10&viewPage=1

- 한국아동패널 홈페이지 도구프로파일(아동_학교적응_초5-6) https://panel.kicce.re.kr/pskc/boar d/view.do?menu_idx=42&board_idx=44596&manage_idx=161&old_menu_idx=0&old_man age_idx=0&old_board_idx=0&group_depth=0&parent_idx=0&group_idx=0&group_ord=0

&viewMode=NORMAL&search_type=title&search_text=%EC%A0%81%EC%9D%91&rowCou nt=10&viewPage=1

(2006)의 척도, 초등학교 5학년부터 6학년 시기(12, 13차)는 민병수(1991)의 척 도를 수정 보완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문항을 활용하였다. 초등학교 4학년 시 기(11차)는 학교생활적응(11문항), 학업수행적응(11문항), 또래적응(8문항), 교사 적응(5문항)의 4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등학교 5, 6학년 시기(12, 13차)는 학습활동(5문항), 학교규칙(5문항), 교우관계(5문항), 교사관계(6문항)의 4요인으 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의 초등학교 4학년 시기는 5점 리커트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5=‘매우 그렇다’)로, 초등학교 5, 6학년 시기는 4점 리커트 척도(1=‘전혀 그 렇지 않다’~4=‘매우 그렇다’)로 응답하였다.

문항은 초등학교 4학년 시기(11차)의 학교생활적응 ‘실외활동시간에 질서를 잘 지킨다.’, 학업수행적응 ‘과제를 잘해오며 준비물을 잘 챙겨온다.’, 또래적응 ‘과제 를 잘해오며 준비물을 잘 챙겨온다.’, 교사적응 ‘필요로 할 때 선생님께 도움을 청 한다.’, 초등학교 5, 6학년 시기(12, 13차) 학습활동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을 잘 알고 있다.’, 학교규칙 ‘휴지나 쓰레기를 버릴 때 꼭 휴지통에 버린다.’, 교우관계

‘친구가 교과서나 준비물을 안 가져왔을 때 함께 보거나 빌려 준다.’, 교사관계 ‘선 생님과 이야기하는 것이 편하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Chronbach’s α는 11차 학교생활적응 .95, 학업수행적응 .95, 또래적응 .94, 교사적응 .81, 12차 학습활동 .73, 학교규칙 .75, 교우관계 .69, 교사관계 .89, 13차 학습활동 .70, 학교규칙 .77, 교우관계 .64, 교사관계 .88이다.

2) 분석방법

영유아기 어머니와 아버지가 지각한 부부갈등 변화 궤적에 기초한 잠재집단별 초등학교 시기의 아동 발달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BCH 보조변수 (Auxiliary)를 사용하였다(Asparouhov & Muthén, 2014).

나. 모의 부부갈등 잠재집단에 따른 아동 발달 특성 차이

영유아기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 변화 궤적에 기초한 잠재집단별 초등학교 시기의 아동 발달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BCH 방법(BCH Method) 을 사용하였다.

1) 학업수행능력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 변화 궤적에 기초한 잠재집단별 차이 분석 결과, 학업 수행능력의 경우 초등학교 4학년 시기(11차)는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집단 순으로, 그리고 ‘중수준 부부갈등 감소’ 집단이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집단보다 점수가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초등학교 5학년(12차) 때는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 ‘최하수준 부부 갈등 유지’ 집단이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집단보다 학업수행능력이 더 좋게 보고 되었다. 초등학교 6학년 시기(13차)는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이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집단보다 점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Ⅳ-3-1> 모의 잠재집단에 따른 아동의 학업수행능력 차이

종속변인 잠재집단 N M S.E. χ2 사후 검증

학업수행능력 11차 (초등4)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792 4.196 0.049

24.202*** 4<1<2;

4<5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565 4.416 0.047

상수준 부부갈등 유지 80 3.927 0.192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253 3.838 0.148 중수준 부부갈등 감소 140 4.304 0.119

학업수행능력 12차 (초등5)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792 4.229 0.055

14.323** 4<1,2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565 4.368 0.052

상수준 부부갈등 유지 80 4.083 0.176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253 3.918 0.131 중수준 부부갈등 감소 140 4.209 0.146

학업수행능력 13차 (초등6)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792 4.235 0.058

4.485 4<2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565 4.250 0.062

상수준 부부갈등 유지 80 4.319 0.175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253 3.989 0.116 중수준 부부갈등 감소 140 4.290 0.136

주: BHC 보조변수 분석 결과로 일부 표에서 전체 검증(overall test)에서 유의하지 않더라도, 개별 그룹 비교(group comparison)에서는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

** < .01, *** < .001.

2) 학업 스트레스

초등학교 4학년(11차) 시기의 학업스트레스 점수는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집 단에서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보다 높게 보

고되었다. 초등학교 5학년(12차) 시기는 전체 검증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개별검증 에서는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 ‘중수준 부부갈등 감소’ 집단이 ‘최하수준 부 부갈등 유지’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6학년 시기(13차)에는 ‘중수준 부 부갈등 증가’ 집단이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보다 학업 스트레스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Ⅳ-3-2> 모의 잠재집단에 따른 아동의 학업 스트레스 차이

종속변인 잠재집단 N M S.E. χ2 사후

검증

학업 스트레스 11차 (초등4)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792 2.038 0.040

16.596** 1,2<4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565 1.933 0.044

상수준 부부갈등 유지 80 2.123 0.111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253 2.289 0.092 중수준 부부갈등 감소 140 2.115 0.113

학업 스트레스 12차 (초등5)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792 2.175 0.040

9.358 2<1,5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565 2.030 0.043

상수준 부부갈등 유지 80 2.193 0.115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253 2.106 0.088 중수준 부부갈등 감소 140 2.301 0.103

학업 스트레스 13차 (초등6)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792 2.268 0.044

11.205* 2<4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565 2.194 0.048

상수준 부부갈등 유지 80 2.445 0.145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253 2.427 0.088 중수준 부부갈등 감소 140 2.411 0.106

주: BHC 보조변수 분석 결과로 일부 표에서 전체 검증(overall test)에서 유의하지 않더라도, 개별 그룹 비교(group comparison)에서는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

* < .05, ** < .01.

3)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의 경우 초등학교 4학년, 6학년 시기(11차, 13차)에 공통적으로 ‘하 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이 ‘중수준 부부갈등 증 가’ 집단보다 점수가 높았다.

<표 Ⅳ-3-3> 모의 잠재집단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 차이

종속변인 잠재집단 N M S.E. χ2 사후 검증

자아존중감 11차 (초등4)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792 3.534 0.021

10.031* 4<1,2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565 3.533 0.023

상수준 부부갈등 유지 80 3.445 0.068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253 3.397 0.052 중수준 부부갈등 감소 140 3.468 0.061

자아존중감 12차 (초등6)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792 3.356 0.029

10.877* 4<1,2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565 3.338 0.031

상수준 부부갈등 유지 80 3.233 0.075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253 3.184 0.060 중수준 부부갈등 감소 140 3.265 0.063

주: BHC 보조변수 분석 결과로 일부 표에서 전체 검증(overall test)에서 유의하지 않더라도, 개별 그룹 비교(group comparison)에서는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

* < .05.

4) 삶의 만족도

삶의 만족도의 경우 초등학교 4학년 시기(11차)에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이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집단보다 점수가 높았다.

초등학교 5학년 시기(12차)에는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이 ‘중수준 부부갈등 감소’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고하였다. 반면, 초 등학교 6학년 시기(13차)에는 전체 검증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개별검증에서는 ‘최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이 ‘중수준 부부갈등 감소’ 집단보다 점수가 높은 것으 로 확인되었다.

<표 Ⅳ-3-4> 모의 잠재집단에 따른 아동의 삶의 만족도 차이

종속변인 잠재집단 N M S.E. χ2 사후 검증

삶의 만족도 11차 (초등4)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792 3.537 0.022

12.711* 4<1,2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565 3.562 0.024

상수준 부부갈등 유지 80 3.447 0.079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253 3.420 0.054 중수준 부부갈등 감소 140 3.420 0.072 삶의 만족도 12차

(초등5)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792 3.365 0.023

12.016* 5<1,2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565 3.363 0.027

상수준 부부갈등 유지 80 3.277 0.076

주: BHC 보조변수 분석 결과로 일부 표에서 전체 검증(overall test)에서 유의하지 않더라도, 개별 그룹 비교(group comparison)에서는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

* < .05.

5) 학교적응

초등학교 4학년 시기(11차)의 학교생활적응은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이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집단보다 점수가 높았다. 학 업수행적응과 또래적응은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 ‘중수준 부부갈등 감소’ 집단이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집단보다 점수가 높 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사적응의 경우 잠재집단에 따른 점수 차이가 없었다.

초등학교 5학년 시기(12차)의 학습활동은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이 ‘하 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 ‘상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집단, ‘중수준 부부갈등 감소’ 집단보다 높았고,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이 ‘중 수준 부부갈등 증가’ 집단보다 점수가 높게 보고되었다. 학교규칙은 ‘최하수준 부 부갈등 유지’ 집단이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집단,

‘중수준 부부갈등 감소’ 집단보다 점수가 높았다. 교우관계는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집단 순으로, 그 리고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이 ‘중수준 부부갈등 감소’ 집단보다 점수가 높 게 나타났다. 교사관계는 전체 검증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개별검증에서는 ‘최하수 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이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집단보다 점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등학교 6학년 시기(13차)의 학습활동은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 ‘하수 준 부부갈등 유지’ 집단,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집단 순으로 점수가 높았다. 학교

종속변인 잠재집단 N M S.E. χ 사후 검증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253 3.279 0.056 중수준 부부갈등 감소 140 3.186 0.064

삶의 만족도 13차 (초등6)

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792 3.131 0.029

6.723 5<2 최하수준 부부갈등 유지 565 3.156 0.031

상수준 부부갈등 유지 80 3.022 0.077 중수준 부부갈등 증가 253 3.116 0.051 중수준 부부갈등 감소 140 3.014 0.06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