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2절 각 영역이 전반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삶의 질을 측정하는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농어촌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삶의 질의 영역을 전반적 영역, 경제적 영역, 사회적 관계 영역, 환경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다양한 만족도를 종속 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절에서는 삶의 질을 측정하는 대부분 의 선행연구의 종속변수가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임을 고려하여 농어촌 결혼이주여성의 전반적 삶의 만족도에 경제적 영역, 사회적 관계 영역, 환경 영역 중 어떠한 영역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2단계 분석을 통 해 알아보고자 한다. 1단계 분석1)에서는 OLS 추정법을 통해 제5장 제1 절에서 사용한 독립변수를 바탕으로 영역별 추정을 실시하여 경제적 영 역, 사회적 관계 영역, 환경 영역의 적합값을 추정하였다. 1단계에서 추 정한 영역별 적합값을 바탕으로 2단계에서는 순위 프로빗 모형을 이용 하여 어떠한 영역이 전반적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5-17>과 같다.

도시와 농어촌 지역 모두 경제적 영역, 사회적 관계 영역, 환경 영역 이 전반적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 지위변화가 클수록,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차별경험 정도가 적을수록 전반적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5-18>과 <표 5-19>는 도시와 농어촌 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전반 적 삶의 만족도의 각 범주에 대한 선택확률이 독립변수의 변화에 따라 얼마나 달라지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계효과를 계산한 것이다. 전반 적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변동을 미치는 영역은 도시와 농어촌 모두 환경 영역으로 나타났다. 도시와 농어촌 모두 차별경험정도가 증가할수 록 전반적 삶의 만족도를 ‘매우 불만’을 선택할 확률이 ‘만족’을 선택할 확률에 비해 15% 중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어촌 지역의 결혼 이주여성의 경우 차별경험정도가 증가할수록 전반적 삶의 만족도를

1) 1단계 분석결과는 부록에 제시한다.

변수 구분

도시 농어촌

경제적 영역

(사회경제적 지위변화) 0.38   (0.06) 0.17   (0.06) 사회적 관계 영역

(가족관계 만족도) 0.24   (0.03) 0.34   (0.04) 환경 영역

(차별경험정도) -1.33   (0.08) -1.67   (0.11) cut1 -2.93 (0.21) -3.47 (0.30) cut2 -2.14 (0.21) -2.60 (0.30) cut3 -0.75 (0.21) -1.14 (0.30) cut4 0.30 (0.21) -0.22 (0.29) Log likelihood -8298.53 -5131.77

LR 829.90 657.09

N 6,866 4,273

<표 5-17> 각 영역이 전반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순위 프로빗 모형 추정결과(종속변수=전반적 삶의 만족도)

‘매우 불만’을 선택할 확률이 ‘만족’을 선택할 확률에 비해 56% 증가하 는 것으로 나타나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농어촌 지역의 결혼 이주여성의 경우 경제적 영역에 비하여 사회적 관계 영역이 전반적 삶 의 만족에 더 큰 변동을 미치는 영역으로 나타난 반면, 도시의 경우 그 렇지 않았다. 농어촌 지역의 경우 가족관계 만족도에 따라 전반적 삶의 만족도의 ‘매우 불만족’의 선택확률과 ‘만족’의 선택확률의 차가 3%로 나타났으며 ‘매우 불만’의 선택확률과 ‘매우 만족’의 선택확률의 차는 12%로 나타났다. 반면, 도시의 경우 ‘매우 불만의 ’선택확률과 ‘만족’의 선택확률의 차는 3%로 농어촌과 동일한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매우 불만’의 선택확률과 ‘매우 만족’의 선택확률의 차는 9%로 농어촌에 비해 낮았다. 아울러, 사회경제적 지위변화는 농어촌 지역의 결혼이주여성의 전반적 삶의 만족도의 ‘매우 불만’과 ‘매우 만족’의 선택확률의 차가 6%

로 나타난 반면, 도시거주 결혼이주여성의 경우 12%로 나타나 가족관 계 만족도에 비해 더 큰 변동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 ( )안의 값은 표준오차를 나타냄.

2)   ,  ,은 각각 1%, 5%, 10% 유의수준에서 유의함.

변수   



  



  



  



  

경제적 영역

(사회경제적 지위변화) -0.01 -0.03 -0.11 0.03 0.11 사회적 관계 영역

(가족관계 만족도) -0.01 -0.02 0.07 0.02 0.07 환경 영역

(차별경험정도) 0.03 0.11 0.38 -0.12 -0.39

<표 5-18> 각 영역이 전반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계효과-도시

변수   



  



  



  



  

경제적 영역

(사회경제적 지위변화) -0.00 -0.01 -0.05 0.01 0.06 사회적 관계 영역

(가족관계 만족도) -0.01 -0.03 -0.10 0.02 0.11 환경 영역

(차별경험정도) 0.03 0.13 0.49 -0.12 -0.53

<표 5-19> 각 영역이 전반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계효과-농어촌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