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영어 성취도 수준별 문두(지시문, 질문) 및 선택지 언어 유형의 효과

문서에서 정책방안의 교육적 효과 연구 (페이지 41-51)

Ⅳ. 연구 결과

2. 영어 성취도 수준별 문두(지시문, 질문) 및 선택지 언어 유형의 효과

1 문두(지시문, 질문) 및 선택지 언어 차이의 효과

지시문, 질문, 및 선택지 언어 차이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기에 앞서 한국어 집단 과 영어 집단의 영어 성취도 수준 동질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즉 두 집단 간에 사전 영어 성취도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없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표 Ⅳ-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국어 집단의 사전 성취도 평균 점수는 1.61이었으며, 영어 집단의 사전 성취도 수준 평균 점수는 1.63이었다. 두 집단의 성취도 수준 평균 점수를 일변량 일원 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두 집단 간의 성취도 수준 평균 점 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F (1, 636) = .250, p= .617) 즉 이는 두 집단 간의 사전 성취도 수준에 있어 동질 한 집단임을 의미한다.

<표 Ⅳ-1> 한국어 집단과 영어 집단의 사전 성취도 수준

종속변수 집단 평균 표준편차 학생 수

성취도 수준 한국어 1.67 .617 332

영어 1.64 .654 306

<표 Ⅳ-2> 한국어 집단과 영어 집단의 사전 성취도 수준의 동질성 검증

독립변수 SS df MS F Sig.

언어 차이 .101 1 .101 .250 .617

오차 256.346 636 .403

전체 2001.000 638

* p< .05, ** p< .01

<표 Ⅳ-3>에서 전체 연구 참가 학생들의 읽기, 듣기 점수와 총 점수를 보여 주고 있다. 한국어 집단의 읽기와 듣기 점수가 각각 4.20, 13.81로 영어 집단의 3.31, 13.23 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총 점수에서도 한국어 집단이 18.01로 16.54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 시험의 지시문, 질문 및 선택지를 영어로 제시하는 정책방안의 교육적 효과 연구

<표 Ⅳ-4> 일원 분산 분석: 읽기, 듣기, 총 점수 각각의 문두 및 선택지 언어 유형 효과

종속변수 독립변수 SS df MS F Sig. η2

읽기 점수 언어 유형 123.982 1 123.982 31.630 .001** .047

오차 2504.764 639 3.920

듣기 점수 언어 유형 55.047 1 55.047 2.154 .143 .003

오차 16330.547 639 25.556

총 점수 언어 유형 344.254 1 344.254 8.229 .004** .013

오차 26733.424 639 41.836 5

* p< .05, ** p< .01

2 영어 성취도 수준별 문두(지시문, 질문) 및 선택지 언어 유형의 효과

학생들의 성취도 수준별 문두(지시문, 질문) 및 선택지 언어 유형에 따른 효과가 있는가 알아보기 위해, 연구 참가 학생들의 영어 성취도 수준을 우수, 보통, 기초, 기초미달로 나누었다. 그리고 각각의 성취도 수준에서 언어 유형에 따른 영어 읽기, 듣기, 총 점수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런데 기초미달의 성취도 수준으로 보고 된 학생의 수는 불과 4명에 불과하여 이 연구 질문을 위한 분석에서는 제외되었다.

가. 우수학력 집단

<표 Ⅳ-5>는 성취도 수준 우수학력 학생들의 읽기, 듣기, 총 점수를 한국어 집단 과 영어 집단으로 나누어서 보여주고 있다. 읽기, 듣기 두 영역 모두에서 한국어 집 단의 학생들이 각각 5.33, 17.27으로 4.13, 16.25을 획득한 영어 집단 학생들보다 높 은 점수를 보여 주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 시험의 지시문, 질문 및 선택지를 영어로 제시하는 정책방안의 교육적 효과 연구

나. 보통학력 집단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 시험의 지시문, 질문 및 선택지를 영어로 제시하는 정책방안의 교육적 효과 연구

<표 Ⅳ-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총 점수에서 영어 집단이 한국어 집단보다 높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 시험의 지시문, 질문 및 선택지를 영어로 제시하는 정책방안의 교육적 효과 연구

성취도 수준 461.915 2 230.958 72.930 .001** .188 언어유형*성취도 수준 33.652 2 16.826 5.313 .005** .017

오차 1988.766 628 3.167

듣기 점수

언어 유형 40.328 1 40.328 2.339 .127 .004

성취도 수준 5312.922 2 2656.461 154.044 .001** .329

언어유형*성취도 수준 4.742 2 2.371 .137 .872 .000

오차 10829.762 628 17.245

총 점수

언어 유형 116.400 1 116.400 4.171 .042* .007 성취도 수준 8880.189 2 4440.095 159.086 .001** .336 언어유형*성취도 수준 56.897 2 28.448 1.019 .361 .003

[그림 Ⅳ-1]은 성취도 수준별 한국어 집단과 영어 집단 간의 점수 변화 추이를 그

문서에서 정책방안의 교육적 효과 연구 (페이지 41-5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