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남, 여 성별에 따른 문두(지시문, 질문) 및 선택지 언어 유형 효과

문서에서 정책방안의 교육적 효과 연구 (페이지 57-63)

Ⅳ. 연구 결과

4. 남, 여 성별에 따른 문두(지시문, 질문) 및 선택지 언어 유형 효과

<표 Ⅳ-18>은 연구 참가 학생들의 성별로 읽기, 듣기, 총 점수의 한국어 집단, 영 어 집단 간의 점수 차이를 보여준다.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읽기, 듣기 두 영역 모두에서 다소 높은 점수를 보여 주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 시험의 지시문, 질문 및 선택지를 영어로 제시하는 정책방안의 교육적 효과 연구

로, 즉 언어 종류에 의해서 그들의 읽기 시험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 시험의 지시문, 질문 및 선택지를 영어로 제시하는 정책방안의 교육적 효과 연구

44

문, 질문, 선택지의 언어 종류에 의해서 그들의 읽기 시험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받 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영어 듣기 시험에서는 언어 종류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20> 일원 분산 분석: 남학생의 읽기, 듣기, 총 점수 각각의 문두 및 선택지 언어 유형 효과

종속변수 독립변수 SS df MS F Sig. η2

읽기 점수 문두 84.498 1 84.498 20.409 .001** .066

오차 1200.690 290 4.140

듣기 점수 문두 35.981 1 35.981 1.583 .209 .005

오차 6589.800 290 22.723

총 점수 문두 230.758 1 230.758 6.329 .012* .021

오차 10573.471 290 36.460

* p< .05, **p< .01

다. 성별과 문두(지시문, 질문) 및 선택지 언어 유형 효과와의 상호작용

학생들을 성별과 문두(지시문, 질문) 선택지 차이 효과와의 상호작용을 알아보 기 위해, 읽기, 듣기, 총 점수를 각각 종속 변수로 일변량 이원 분산 분석을 실시 하였다.

<표 Ⅳ-21> 이원 분산 분석: 성별과 문두 및 선택지 언어 유형 효과

종속변수 독립변수 SS df MS F Sig. η2

읽기 점수

언어 유형 128.316 1 128.316 32.974 .001** .049

성별 21.703 1 21.703 5.577 .018* .009

언어유형*성별 5.026 1 5.026 1.292 .256 .002

오차 2478.838 637 3.891

듣기 점수

언어 유형 57.869 1 57.869 2.281 .131 .004

성별 170.441 1 170.441 6.719 .010* .010

언어유형*성별 1.557 1 1.557 .061 .804 .000

오차 16159.588 637 25.368

총 점수

언어 유형 358.529 1 358.529 8.647 .003** .013 성별 313.782 1 313.782 7.568 .006** .012

언어유형*성별 12.177 1 12.177 .294 .588 .000

오차 26411.942 637 41.463

* p< .05, **p< .01

<표 IV-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읽기, 듣기, 총 점수 모두에 있어서 학생들의 성 별과 문두(지시문, 질문)및 선택지 언어 유형 효과와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F (2, 637) = 1.292, p= .256; F (2, 637) = .061, p= .804; F (2, 637) = .294, p= .588).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 시험의 지시문, 질문 및 선택지를 영어로 제시하는 정책방안의 교육적 효과 연구

46

[그림 Ⅳ-3] 성별과 문두 및 선택지 언어 유형에 따른 점수 변화 추이

[그림 Ⅳ-3]은 남녀별 한국어 집단과 영어 집단 간의 점수 변화 추이를 그래프로 잘 보여주고 있다. 읽기, 듣기, 총 점수에 해당하는 그래프를 보면 언어유형변수의 효과크기가 일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성별 변수와 문두 및 선택지 언어 변수 간에 서로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있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는 앞선 이원 분산 분석의 결과 <표 Ⅳ-21>에서도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음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문서에서 정책방안의 교육적 효과 연구 (페이지 57-6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