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1. 연구 범위

이 연구는 지역단위 친환경농업 육성을 위한 농업환경자원의 효과 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사례지역(행정상의 군 단위로 경기 양평군과 충북 진천군)에 한정된 폐쇄적 농업환경모형을 구축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1

1 지역단위(regional unit)의 범위 설정과 관련하여 행정권역과 수계 등의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행정권역을 적용하는 경우 광역단위인 시도 단 위와 중규모인 군 단위, 소규모인 읍․면 단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지역단위의 구분에 있어 어떤 기준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연구범위와 내용이 크게 달라지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자료의 이용에

지역단위 농업생산활동으로는 작물생산 및 축산부문만을 포함시 켰다. 작물생산의 경우 영농 투입재 가운데 화학비료, 유기질 비료, 가축분뇨 퇴비․액비에 한정하였고, 농약투입의 경우는 사용실태 및 환경부하 정도 등을 파악하는 데 큰 어려움이 있어 분석대상에서 제 외하였음을 밝혀 둔다. 물질순환에 있어서는 양분순환에 초점을 맞 추어 비료 성분의 3대 필수원소인 질소․인산․칼리의 성분량 중심 으로 접근하였다.

축산 부문의 경우 농후사료 투입을 고려하였고, 한육우․젖소․돼 지․닭 등 주요 가축만을 대상으로 분뇨 발생량 및 양분환산량 등을 다루었다. 가축분뇨자원화를 통한 농경지 살포의 경우 분석대상 지 역단위의 경지로 한정하여 지역내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지역단 위 농업생태계의 유출로 간주하였다.

지역단위 물질순환 과정에 있어서 폐기물 발생 및 처리와 관련 폐 비닐, 폐플라스틱, 폐농약병, 폐농기계 등 폐농자재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음을 밝혀 둔다.

3.2. 연구 방법

이 연구는 지역단위 농업환경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허장, 정 은미, 김창길 2000)에서 제시된 기본 골격을 토대로 하고 있다. 연구 의 흐름은 <그림 1-1>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선행연구 검토, 지역단 위 환경부하 추정 및 분석을 위한 지표개발, 농업생태계 물질순환이 론을 기초로 투입-산출 모형의 체계화, 농업환경모형의 현장적용을 위한 사례 연구, 분석결과를 종합하는 지역단위 농업환경 적정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어 행정상의 군 단위기준을 적용하였음을 밝혀 둔다.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선행연구․관련자료의 검토

‧전문가․정책담당자․농업인 심층면담 조사

지역단위농업환경 적정관리방안 제시 농업환경 분석

지표개발

농업생태계 물질순환이론 정립

모형의 타당성 검정

지역단위 환경부하 추정 및 분석

물질순환 I/O 모형 체계화

농업환경모형적용 사례 연구

농업환경모형의 정교화와 체계화를 위해 농업과학기술원, 작물시 험장, 기타 유관기관 및 학계 등 관련 연구문헌을 검토하였다. 특히 농업과학기술원에서 발간된 「토양총설」, 「토양환경보전관리기술 종 합보고서」 및 「작물별 시비처방기준」 등을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외국의 지역단위 농업환경모형 개발과 관련해서는 일본의 농촌지역 질소순환 모형과 네덜란드의 ‘무기물 산정 모형’(mineral accounting system) 등을 참고하였다(松本成夫 1998; MANMF 2002).

농업환경모형의 체계화와 관련 질소균형, 양분관리, 토양관리 등 상당한 기술적 분야의 내용은 농업과학기술원, 농업기술센터 전문가 들과의 심층면담에 의해 정보를 수집하였다. 또한 지역단위 환경농 업 육성 정책 및 진단에 관해서는 해당 지역의 지방자치단체 농업환 경관리 담당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지역단위 경종-축 산을 연계하는 실천계획의 적절성 등에 관해서는 한 해당 지역 정책 담당자 및 선도농가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특히 농업환경모형의 실 용화를 위해 사례 지역으로 선정된 지역(양평군과 진천군)에 물질순 환모형을 적용하여 분석결과의 함축성을 도출하였고, 이를 기초로 지역단위 농업환경자원의 적절한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