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수행도를 파악하고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 기 위한 서술적 단면조사 연구(Cross-sectionaldescriptiveresearch)이다.

2.연구 대상

1)연구 대상자

본 연구의 대상자는 J도 소재 위치한 J시 지역 6개,S시 지역 6개,총 12개의 장기요양시설에서 1개월 이상 근무한 요양보호사를 편의표집 하였다.

2)연구 표본 크기 및 대상자 수

본 연구를 위해 G* power 3.1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출하였고(Faul, Erdfelder,Bucher,& Lang,2007)검정력(1-β)을 .95,유의수준(α)을 .05,중간 효과크기(medium effectsize)인 .15로 하였을 때 필요한 최소 표본크기는 184명 이었다.설문지 회수 시의 탈락률 10%를 고려하여 200명을 임의 표출하였고, 수집된 자료 중 설문지 작성이 불충분한 10부를 제외한 총 190부를 최종 분석 에 사용하였다.

3.연구 도구

본 연구 도구는 구조화 된 자가 보고형 설문지로,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문 항,직무관련 특성 7문항,감염예방 지식 42문항,감염관리 수행도 35문항의 총 8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연령,성별,교육정도 3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직무 관련 특성은 현 요양시설 근무경력,요양보호사 근무경력,감염예방 관리에 대 한 교육의 필요성,감염예방 관리 교육을 받은 경험 유무,감염예방 관리 교육 을 받은 횟수,감염예방 관리의 정기적 교육기간과 경로에 대한 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2)감염예방 지식

감염예방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류복미와 유성미(2010)에 의해 개발된 설문지 를 본 연구자가 간호학과 교수 2인,노인요양시설 간호과장 1인과 노인전문간호 사 1인,감염내과 교수 1인의 자문을 받아,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감염예방 지식은 감염의 일반적 개념 (4문항),소독과 멸균 (3문항),손 씻기와 장갑 착용 (8문항),호흡기 감염관리 (2문항),인공 도뇨관 관리 (3문항),위 장관 감염관리 (3문항),상처 감염관리 (2문항),잠재적 감염성 위험환자 관리 (3문항),환자의 배설물 관리 (3문항),환자방 청소 (5문항),세탁물 관리 (3문항),주방 및 기타 관리 (3문항),12개 영역으로 총 42문항으로 구성되었다.각 문항의 점수는 ‘정 답’은 1점,‘오답’과 ‘모른다’라고 답한 경우는 0점으로 처리하였다.점수범위는 최저 0점에서 최고 42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감염예방 지식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도구의 신뢰도는 개발 당시 Cronbach'sα는 .76이었고,본 연구에서 K-R 20(Kuder-Richardson20)은 .58이었다.

3)감염관리 수행도

감염관리 수행도는 김용순 등(1990)이 개발한 도구를 박은주 등(2011)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간호학과 교수 2인,장기요양시설 간호과장 1인과 노인전문간호사 1인,감염내과 교수 1인의 자문을 받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 다.감염관리 수행도는 5가지 영역으로 손 씻기 (12문항),개인위생 (6문항),요 로 감염관리 (4문항),호흡기 감염관리 (6문항),환경 관리 (7문항),총 35문항으 로 구성되었다.각 문항은 ‘거의 수행하지 않는다’1점으로부터 ‘항상 수행하고 있다’에 4점 척도로 측정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수행도가 높음을 의미한다.도구 신뢰도는 박은주 등(2011)의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6이었고,본 연구에서 Cronbach'sα는 .95이었다.

4.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1)예비조사

요양보호사 10명에게 예비조사를 시행하였고 예비조사 결과를 토대로 문항들 을 보다 이해하기 쉽고 명확한 문장으로 수정 보완하였다.

2)자료수집 절차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4년 5월 20일부터 2014년 6월 28일까지 자가 보고 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시행하였다.자료 수집을 시행하기 전에 국민건강보험공 단(www.longtermcare.or.kr)의 장기요양 보험기관에 등록된 J도의 62개 장기요 양시설 중 J시 지역 44개와 S시 지역 18개 시설에서 입소노인이 30인 이상인 시설을 선정하였다.본 연구자는 각 장기요양시설에 전화를 걸어,시설장으로부 터 자료 수집을 하도록 허락받은 J시 6개 시설과 S시 6개 시설을 방문하였다.

해당시설의 요양보호사에게 연구의 목적,방법,설문지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 고 이에 연구 참여를 허락한 요양보호사에게 서면동의서를 받았다.교대근무로 인해 부재중이었던 요양보호사는 설문지와 함께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밀봉 가능 한 봉투에 넣어 시설의 담당자를 통해 요양보호사에게 배포하여,연구 참여 동 의서와 설문지를 읽고 참여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하였다.대상자의 설문지와 연구 참여 동의서는 요양시설의 담당자를 통해 회수하였다.본 설문지 작성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 정도이었다.연구 협조에 대한 보답으로 대상자들에게 소정의 답례품을 제공하였다.

3)연구의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의 윤리적 보호를 위해 제주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 회의 연구승인을 받은 후 시행하였다(IRB-20140519-HR-010-01).자료 수집을 위해 설문지 작성 전 연구 대상자가 연구 참여 동의서와 설문지를 읽고 참여여 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하였다.연구 참여 동의서에는 연구목적과 내용,익명성과 비밀보장,연구대상자가 원하지 않을 경우 철회 가능성을 명기하고,연구자의 성명과 연락처,소속을 밝혔으며,연구 참여를 원할 때 대상자가 서명을 하도록 하였다.설문지의 첫 장에 다시 연구목적과 내용,윤리 관련 내용을 설명하였다.

대상자의 익명성과 비밀 보장을 위해 설문지는 밀봉된 봉투에 담아 회수하였다.

4)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AS WIN 9.2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유의수준은 p< .05로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1)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감염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수 행도는 기술적 통계를 사용하였다.

(2)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관 리 수행도의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 Duncantest로 분석하였다.

(3)요양보호사의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수행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 계수(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4)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단계 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multiple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문서에서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 (페이지 13-1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