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대상자의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수행도

1)대상자의 감염예방 지식

본 연구 대상자의 감염예방 지식수준은 평균 0.83점으로 보통보다 높은 수준 으로 나타났으며,환자의 배설물 관리와 상처 감염관리가 0.99점으로 가장 점수 가 높았다.환자의 배설물 관리와 상처 감염관리 영역의 모든 문항에서 높은 점 수를 보였다.호흡기 감염관리 부분에서는 ‘기관 흡인 시 사용하는 카테터는 사 용 후 반드시 새것으로 교환해야한다’는 항목에서 지식 정답률이 낮았으며 흡인 병 세척에 대한 지식은 높았다.인공 도뇨관 관리에서 소변백을 만진 후 손 씻 기와 도뇨관의 위치에 대한 지식은 높았으나 도뇨관 삽입부위의 청결 유지관련 지식이 낮았다.세탁물 관리 영역에서는 감염환자의 세탁물 처리 방법과 소독제 에 대한 지식이 낮아 추가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환자방 청소 영역은 0.57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정답 률이 낮은 문항으로는 ‘빗자루를 사용하는 등의 먼지를 일으키는 것은 공기오염 의 원인이 됨으로 자제한다’가 20%로 가장 낮았으며,‘매일 강한 소독제를 사용 하여 철저히 소독해야 한다.’가 29.5%,‘청결지역보다 오염지역을 먼저 청소 한 다’가 45.8%로 50% 이하의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가정간호교육과정 중 감염관 리부분을 이수한 과정생을 대상으로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수준을 파악한 단면 적 실태조사 연구(정인숙,정재심,신용애,강규숙,김명자,조복희 등,2002)에서 환자방 청소에 대한 정답률은 86.4%로 높아 본 연구 결과와 차이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 대상자가 체계적인 청소 방법을 교육받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청소원리,청소방법 및 절차,환경소독제 선택 등에 대 한 청소지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청소는 오염이 적은 장소부터 시작하여 오

염이 심한 장소로 이동하고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진행해야 한다.공기와

가제에서 인증제도로 전환하여 노인요양병원 인증제도에 요양시설도 포함되도 록 점차 확대되어야 한다고 하였다.감염관리 및 업무의 효율성을 위해 충분한 인력확보와 함께 감염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손 씻기에 익숙해져야 하며,손 씻기에 적당한 시간과 오염 물질이 없을 때 알코올 소독제를 이용한 손 씻기 방법,오염물이 묻었을 때 물과 비누를 이용한 손 씻기 방법과 시간에 대해 멀 티미디어 등의 다양한 교육방법을 통하여 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α는

2)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

본 연구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 점수는 4점 척도 중 평균 3.60점이었으며 영역별로 보면 개인위생 3.79점,환경관리 3.76점,손 씻기 3.61점,요로감염관리 3.57점,호흡기 감염관리 3.28점 순으로 나타났다.박은주 등(2011)의 연구에서는 환경관리 영역(3.75)이 가장 높았으며,요로감염 영역(3.70),개인위생 영역(3.66), 호흡기 감염관리 영역(3.64),손 씻기 영역(3.59)순이었다.본 연구를 통하여 요 양보호사들이 ‘머리는 매일 또는 자주 감는다’와 ‘유니폼은 적어도 3일에 1번은 갈아 입는다’와 ‘손톱은 늘 짧게 깍아 청결히 한다’에서 높은 점수를 보여 개인 위생관리가 잘 수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환경관리영역도 3.76점으로 박은 주 등(2011)의 결과와 같이 높게 나타났다.요로감염 관리영역에서 ‘소변백은 어 르신의 방광보다 낮게 유지 한다’라는 문항에서 3.76점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으 며,‘요도가 무균적으로 유지되게 하기 위해 카테터로부터 소변백 끝까지 폐쇄 적으로 유지 한다’의 경우 3.27점으로 낮은 점수를 보여 요로 감염관리 지침 적 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호흡기 감염관리 영역은 3.28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박은주 등 (2011)의 3.64점과 차이를 보였다.본 연구의 호흡기 감염관리 하위영역은 ‘위관 영양 공급 시 흡인성 폐렴 예방을 위해 상체를 30∼40도 높이고 서서히 주입한 다’가 3.73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강 캐뉼라 또는 산소마스크는 어 르신마다 소독된 것을 사용한다’는 3.18점,‘흡인은 규칙적으로 시행하지 않고, 분비물이 많을 때만 시행한다’는 2.98점으로 나타났다.노인요양병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를 대상으로 한 이지현(2011)의 연구에서 ‘흡인은 특별한 이유 없이

주기적으로 하지 않는다’가 가장 낮게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하였다.종합병원

에 있어서 손 씻기의 중요성을 재고 할 수 있어야 하며 그 외에도 손 씻기 포 스터 개시 등과 같은 다양한 손 씻기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장려가 필요하다.

2.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관 리 수행도의 차이

본 연구 대상자의 감염예방 지식은 연령과 감염예방 교육 경험에 따라 유의 한 차이가 있었으며,대상자의 연령이 40대와 50대인 경우가 20대에 비해 감염 예방 지식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요양시설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감염예방 관리 지식수준을 조사한 선행연구가 없어 직접적인 비교는 할 수 없었으나,간 병인을 대상으로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김종규(2009)의 연구에 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손 씻기와 개인위생 및 의복관리 영역이 인지도가 높아 진 특성을 보였다.송순영(2013)의 가정간호 주 돌봄 제공자의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수준은 연령보다는 근무기간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근무기간에 따라 차이 가 없었던 본 연구의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본 연구의 20대 요양보호사의 경 우 40∼50대에 비해 감염예방 지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20대가 40∼50대에 비해 노인에 대한 기초지식이 적고 간호의 부양부담이 높은 것(조은 숙,2010)과 관련이 있다고 사료된다.따라서 감염 예방지식 수준을 높이기 위하 여 각 연령 별 수준과 특성을 고려한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본다.류복미와 유성미(2010)의 요양보호사 교육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감염예방지식이 감 염교육을 받은 후에 유의하게 증가한 바와 같이 잘 준비된 교육은 요양보호사 의 감염예방 지식에 중요하다.

연구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는 감염예방관리 교육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간병인을 대상으로 한 김종규(2009)의 연구에서도 감염예방교육 을 경험한 간병인에서 병원감염관리의 인지도와 수행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와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본 연구 대상자의 94%가 감염예방 교육의 필

요성을 인지하고 있어 교육의 동기는 충분한 것으로 파악되며,요양보호사들의 근무조건을 고려하여 교육시간 및 장소를 배려하고 교육 참여를 증대할 수 있 도록 함으로써 감염관리 지식과 수행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장기 요양시설 요양보호사들이 언제든지 손쉽게 감염관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표준화된 지침이 필요하며 감염관리 지침서를 제공함으로써 신규 요양보 호사들이 직무교육시간 외에도 지침서를 참고하여 감염관리에 대한 기초교육을 실무에 적용하여 수행 할 수 있도록 지식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본다.

감염예방 관리 교육은 요양보호사의 지식과 수행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요인 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나 감염예방관리 교육에서 요양보호사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교육 내용과 방법에 따라 수행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므로 감 염예방관리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요양보호사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 해 이해하기 쉬운 내용위주로 진행하거나 실습시간을 충분하게 배정하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 될 것이다.

 

3.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연구에서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수행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감염관리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간호사를 대상으 로 한 연구(박형미,2004;이덕자,2013)와 간병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김종규, 2009)의 결과와 유사하였다.또한 고유미(2014)의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에 대 한 인지도 및 수행도 연구에서도 인지도가 높을수록 수행도가 높았다고 하여 지식과 인지도는 수행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사료된다.박영례 (2007)의 연구는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지식,태도 및 자신감이 수행도와 순 상 관관계를 보여 간호학생들을 위한 감염관리교육이 병원감염관리를 수행하는 자 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김종규(2009)의 연구에서도 간병인의 감염예방교육 경험이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따라서 감염 예방 교육을 통해 감염예방 지식수준을 높이고 요양시설의 감염관리에 대한 수 행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실무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의 감염 예방 관리에 대한 교육 욕구 및 필요성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전문성 강화 및 업무 능력강화에 중점을 두고 직무교육을 실시하여 감염관리 수행도를 증진 시 켜야한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도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은 감염예방 지식 으로 나왔고,이것은 감염관리 수행도를 1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요양 보호사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감염 예방지식 외에도 다

본 연구에서도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은 감염예방 지식 으로 나왔고,이것은 감염관리 수행도를 1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요양 보호사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감염 예방지식 외에도 다

문서에서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 (페이지 32-3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