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 목적

문서에서 2020 지역발전지수 (페이지 18-46)

❍ 이 연구의 목적은 2020 지역발전지수(RDI)를 통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는 것 임. 특별히 2020년에는 특별지수로서 지역소멸위험지수를 대체할 수 있도록 지역재생잠재력지수를 개발하였음.

- 첫째, 기존에 구축된 RDI의 재검토를 통해 지수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각 수치값을 신규 자료로 갱신함.

- 둘째, 수년간 축적된 RDI 자료를 통해 지역별·영역별로 순위 상승 지역의 특징과 사례, 시사점을 도출함. 행정구역상 기초지방자치단체에 속하는 시·군·구 중에서 특별시 및 광역시에 해당하는 구를 제외하고 159개 시·군 을 분석 단위로 하여 지역발전지수를 개발·평가함.

▪ 2012년 연기군과 공주시, 청원군의 일부 지역이 통합되어 세종특별자치 시로 출범함. 이로 인해 2014년의 RDI 대상은 특별시·광역시를 제외한 160개 시·군으로 개편

▪청주시와 청원군의 통합에 따라 2016년에는 특별시·광역시를 제외한 159개 시·군으로 RDI 대상을 개편

▪2016년 이후 시·군 단위에서 행정구역이 변한 곳이 없어 2020 RDI도 159개 시·군을 대상으로 구축

- 셋째, 2020년 특별지수로 지역재생잠재력지수를 개발하여 지역의 인구 성 장 잠재력을 측정하고 분석

▪고령화와 저출산이 가속화되자 지방의 인구 감소에 따른 위기론이 급부상 하고 있음. 이에 일부 연구에서는 일본의 지방소멸위험지수 등을 비판 없 이 빌려 공표함으로 지방의 위기감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음.

6

▪하지만 농촌은 귀촌·귀촌으로 인해 인구가 소폭 증가하고 출산율은 도시보다 높으며, 실업률이 도시보다 낮은 등 일본과는 다른 성장 경로를 겪고 있음.

▪따라서 부정적인 인식으로 지역의 위기감을 극대화할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인식을 불어넣어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촉진하는 것이 더욱 필요한 상황임.

▪이러한 이유로 2020년에는 특별지수로 지역의 인구 재생산 잠재력을 측 정할 수 있는 지역재생잠재력지수를 개발하여 정책적 지원을 통해 지역의 자생적인 성장 가능성을 탐색해보려 함.

제2장

2020 지역발전지수 구상

2020 지역발전지수 구상❙ 9

2020 지역발전지수 구상

2

1. 선행연구 검토

1.1. 국내 지역발전지수 관련 연구

❍ 이원섭·박양호(2002)는 인적자원, 재정기반, 경제기반, 보건·복지, 인프라의 5개 분야 15개 지표를 중심으로 232개 시·군·구 및 16개 광역자치단체를 대 상으로 지역 간 발전 수준을 평가함. 또한 김태환 외(2004)는 경제잠재력, 혁 신기반잠재력, 사회문화잠재력, 생활환경잠재력의 4개 분야 31개 지표를 사 용해 166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지역 간 지역발전 잠재력을 평가함. 이 두 연 구에서는 농촌 지역만이 지니는 특징을 나타내는 지표들이 매우 부족하였음.

❍ 강현수(2007)는 1개 군의 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해 삶터(8개 지표, 19개 평가 기준), 일터(8개 지표, 19개 평가기준), 놀터(3개 지표, 10개 평가기준), 숨터

10

(5개 지표, 12개 평가기준)로 변수들을 영역화한 후 83개 군단위 지역에서 해 당 군의 상대적 위치를 평가하는 방법을 취하였음. 그러나 24개 지표, 60개 세부변수 간의 다중공선성 문제가 해결되지 못했고, 종합적 판단을 위한 지수 개발 등의 측면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음.

❍ 김영수·변창욱(2006)은 지역발전을 지역경제력 지수와 주민활력 지수로 나 누어 접근하였음. 지역경제력 지수는 소득수준, 산업발전, 혁신역량, 인력기 반, SOC/재정력으로 구성하였으며, 주민활력 지수는 주거생활, 근로여건, 교육여건, 의료복지, 문화 환경으로 구성하여 16개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지역발전지수를 산정하고 지역 간 발전격차를 분석하였음. 문제는 광역자치 단체만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있어 기초생활권 시·군의 발전 정도를 측정할 수 없다는 점임.

❍ 송미령 외(2007)는 140개 도농복합시·군을 대상으로 지역발전지수(RDI)를 개발하였음. 시·군을 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터로서 개념화하고 각 영역의 발전 정도에 따라 주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함. 송미령 외(2008) 는 기존 연구에서 일반시 25개를 추가하여 RDI를 산정함으로써 일반시, 도 농복합시, 군 간의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영역별, 지표별로 동일한 가 중치를 두고 지수를 재산정함.

- 연구보고서로는 공식 발간되지 않았으나, 2009년과 2010년 동아일보 기 획기사를 통해 163개 기초생활권을 중심으로 RDI를 산정하였음. 지역별 종합진단지표와 영역별 종합진단지표를 구성하였으며, 도시활력증진지 역, 성장촉진지역, 성장거점지역, 특수지역 등 기초생활권정책의 지역 유 형과 연계하여 각 지역의 여건 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유연한 지표 로 구성

2020 지역발전지수 구상❙ 11

❍ 송미령 외(2012), 심재헌 외(2014), 송미령 외(2018)는 기존 지역발전지수 의 개념과 틀은 유지하되, 활용 변수를 재검토하고 전문가 의견 및 최신의 통 계자료, 변화된 행정구역 등을 새롭게 반영하여 지역발전지수를 산출하였음.

❍ 김재훈 외(2020)는 국가균형발전 비전과 전략의 실행력 제고를 위해 국가균 형발전위원회에서 2019년에 개발한 균형발전지표를 핵심지표와 부문지표로 구성하여 지역발전 및 균형발전의 성과를 파악하고자 함.

- 핵심지표로 재정자립도와 인구증감률을 선정하고 지자체 단위로 지역을 구분하여 기준보조율의 차등화 방안 및 보조사업 중 가점 적용 방식(안)을 제시

- 8개 부문으로 구성된 객관적 균형발전지표 41개와 10개 부문으로 구성된 주관적 균형발전지표 22개를 검토하여 국가균형발전사업 성과 평가에 활 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1.2. 국외 지역발전 지표

❍ 세계적으로 지역의 발전 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제·물량 중심의 지표에서 삶의 질 중심의 지표로 전환하는 추세임.

- 기존의 물량 중심의 지표는 지역 주민이 체감하는 삶이나 발전 상황을 보여 주는 데 한계가 있었음.

- 특히, 물량 중심의 목표보다는 주민 삶의 질이 중요시되고 있음.

- 이에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주민 만족도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고 이러한 관점에서의 지수들이 다수 개발되었음.

▪부탄에서는 국민총행복(Gross National Happiness: GNH)지수를 개발 하였는데 이는 국민행복을 국가 정책의 최우선 순위에 두고 GDP를 대신

12 (Dwellings with basic

facilities) (Household net adjusted

disposable income)

(Personal earnings) 정규노동자의 연평균 소득 고용률 (Quality of support

network)

어려움이 처했을 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친척, 친구 또 는 이웃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

<표 2-1> OECD 더 나은 삶의 질 지수 구성

2020 지역발전지수 구상❙ 13

(Feeling safe walking alone at night) (Time devoted to leisure

and personal care)

통상적인 날에 여가 및 개인적인 돌봄(수면 및 식사 포함) 에 사용한 시간

장시간 근로자 (Employees working very

long hours)

주 50시간 이상 근무한 임금근로자의 비율(자영업자 제외)

(계속)

자료: OECD Better Life Index(http://www.oecdbetterlifeindex.org/, 검색일: 2020. 12. 16.).

❍ 마스다 히로야(2015)는 가임기의 젊은 여성인구가 현재와 같은 속도로 줄어 들면 향후 30년 이내 일본의 1,727개 시·구·정·촌 중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896개가 소멸할 위기에 있다는 미래상을 제시하였음.

- 이상호(2018)는 이를 차용하여 해당 지역의 20~39세 가임여성 인구수를

14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지방소멸위험지수’를 개발하였으며, 소멸위험 지수가 0.5 미만인 지역을 ‘소멸위험지역’으로 보고, 0.2 미만인 경우 ‘소 멸고위험지역’으로 구분함.

- 하지만 이러한 지수는 귀농·귀촌 인구 유입 및 시·군의 높은 합계출산율 등 지역이 가지고 있는 다른 잠재력은 고려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음.

2020 지역발전지수 구상❙ 15

2. 2020년 지역발전지수 개요

2.1. RDI 기본 구조

❍ 기존 RDI의 기본 개념과 틀은 유지하되, 지표 일부를 수정·보완함.

<그림 2-1> 지역발전지수의 개념도

자료: 송미령 외(2008). 󰡔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를 위한 정책 재편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시·군을 ‘삶터’, ‘일터’, ‘쉼터’, ‘공동체의 터’로서 개념화하고 각 영역의 발 전 정도에 따라 주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함.

- 각 영역별 발전 정도를 객관적 통계 자료를 토대로 지수를 구성해 지역별로 진단하고 상호 비교를 시도함.

16

❍ 시·군 종합진단지표로서 지역발전지수(RDI)의 개념은 다음과 같음.

- 지역발전지수(RDI)는 위의 4가지 영역별 지수의 합으로 정의됨.

- (생활서비스 지수 + 지역경제력 지수 + 삶의 여유공간 지수 + 주민활력 지수) ▪ 삶터: 생활서비스 지수

▪ 일터: 지역경제력 지수 ▪ 쉼터: 삶의 여유공간 지수 ▪ 공동체의 터: 주민활력 지수

- 전문가 조사 등을 통해 객관적 통계자료로 구축이 가능한 영역별 세부 변수 21개를 채택

- 영역별 지표를 합산한 종합지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변수의 값은 선형 표준 화를 수행

- 2020년에는 기존 가중치의 변경을 위해 전문가 조사를 통해 영역별 지수 의 가중치를 반영하여 종합지수 도출

2020 지역발전지수 구상❙ 17

18

2020 지역발전지수 구상❙ 19

20

❍ 삶터(생활서비스) 영역의 가중치가 0.321로 가장 높고, 일터(지역경제력) 영 역이 0.269, 공동체의 터(주민활력) 0.250, 쉼터(삶의 여유공간) 0.161로 가 장 낮았음.

- 전체 중요도의 순위 변화는 없으나 2012년에 비해 삶터 및 쉼터의 중요도 는 소폭 하락하였고, 일터 및 공동체의 터 영역의 중요도가 소폭 증가한 것 으로 나타남.

<그림 2-4> 2020년 영역별 가중치

자료: 저자 작성.

2.2.3. 표준화 방법2)

❍ 선형 변환 방법을 통해 표준화를 수행

- 선형 변환 방법은 크게 값이 증가할수록 좋은 지표를 나타내는 변수에 적용

2) 송미령 외(2018)의 내용과 같으나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보고서에 수록

2020 지역발전지수 구상❙ 21 하는 최댓값 표준화(1), 값이 증가할수록 나쁜 지표를 나타내는 변수에 적 용하는 최댓값 표준화(2) 방식 등이 있음.

식 (1)  

max min

 min

×  혹은 식 (2)   

max min

max 

× 

❍ 표준화된 값은 0에서 1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21개 지표 중 값이 증가할수 록 나쁜 영향을 가지는 지표로 노후주택 비율(%), 고령화율(%)은 식 (2)의 표 준화 방식을 적용하였고 나머지 지표에는 식 (1)의 방식을 적용

❍ 표준화 값의 ‘100’이라는 값은 절대적인 100점이 아니라, 지표별로 가장 좋

❍ 표준화 값의 ‘100’이라는 값은 절대적인 100점이 아니라, 지표별로 가장 좋

문서에서 2020 지역발전지수 (페이지 18-4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