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 라이프 사이클에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이유,

문서에서 연구자들의 소셜미디어 이용 (페이지 32-37)

1) 연구에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이유

연구자가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그림 24>와 같다. 가 장 중요한 이유는 연구자 개인의 진취적 성향때문이다. 기술적으로 이들 소 셜 미디어 툴이 이용하기 쉽고 연구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소셜 미디어 툴을 이용했다.

<그림 24> 연구에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이유 (0 =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음, 4 = 매우 많은 영향을 끼침)

<그림 25>는 지금까지 봤던 것중에서 가장 복잡한 의사결정나무법이다.

연구환경에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연구자와 이용하지 않는 연구자에게 그 ‘이유’ 에 대해 물었다.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 질문들끼리 주요 관계를 파악했다.

<그림 25>에 의하면 연구자가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게 된 결정적인 동기 는 다른 기관에 있는 동료들의 요구이다. 다른 기관에 있는 연구자와 공동 연구를 수행할 때 연구조정, 관리,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 화나 이메일보다 더 발달된 새로운 솔루션이 분명히 필요하다. 외부 기관에 있는 동료의 요구를 별로 받지 않는 연구자가 소셜 미디어 툴을 이용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연구자 개인의 진취적 성향때문이다. 이 부분은 혁신자 와 초기 수용자가 소셜 미디어를 선도적으로 이용한다는 초기 결과와 거의

일치한다. 이들 연구자들이 이용하는 소셜 툴은 대부분 매우 직관적이며 제 3자에 의한 유지관리가 거의 필요없었다. 그래서 우리는 포커스그룹들로부 터 대학이 적절한 연구 라이프 사이클 관리 툴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에 서 ‘개인의 진취적 성향’이 긍정적인 것인지 아니면 부정적인 것인지 여부 를 찾아내고자 했다.

<그림 25> 연구에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게 된 이유 (의사결정나무법과 카이제곱 통계)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게 되는 세 번째 중요한 이유는 연구의 속도가 더 욱 빨라져야 한다는 신속성에 대한 인식 때문이었다. 연구자들간 경쟁에 대 한 압박이 그 어느 때보다 심하다. 그래서 연구자들은 연구 관리의 효율성 을 조금이라도 높일 수 있다면 기꺼이 받아들이고 이용한다.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게 된 ‘이유’가 학생들이나 같은 기관의 동료, 관리 자의 요구로 인한 것인지 질문했는데 이것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 요소가 아니었다.

2) 소셜 미디어 이용 편익

연구자들에게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여 얻은 혜택이 무엇인지 물었다(<그 림 26> 참조). 주요 혜택은 멀리 떨어져 있는 연구자들과 효과적으로 커뮤 니케이션 할 수 있다는 점을 들었다.

<그림 26> 연구에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할 때 얻는 혜택 (1 = 전혀 혜택이 없음, 5 = 매우 혜택이 많음)

이와 같이 연구자가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여 다양한 혜택을 얻는 것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 이용을 예측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혜택은 무엇인가? <그림 27>에 의하면 소셜 미디 어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혜택은 서로 다른 분야의 사람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임을 확실히 말하고 있다. 그 다음은 지리적 한계를 뛰어 넘을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림 27> 연구에 소셜 미디어 이용시 얻는 혜택 (의사결정나무법과 카이제곱 통계)

3) 연구에서 소셜 미디어 이용의 장애요소

연구에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데 장애 요인이 무엇인지 7가지를 연구자 들에게 물었다. 그 결과는 <그림 28>과 같다.

<그림 28> 연구에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장애요소 (0 =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음, 4 = 매우 영향을 끼침)

연구 환경에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것을 가로막는 가장 심각한 장애 요소는 연구자가 소셜 미디어를 이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혜택이 분명하 게 드러나지 않는 것이다(<그림 29> 참조). 많은 연구자들은 개인적 호기

심으로 시행착오를 거쳐 소셜 미디어의 혜택을 직접 찾아 나갔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를 이용할 것인지 여부를 아직 결정하지 못한 이들에게는 소셜 미디어를 이용해서 얻게 되는 혜택이 아직도 분명하지 않다는 것이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데 장애요소로 작용한다.

<그림 29> 연구에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장애요소 (의사결정나무법과 카이제곱 통계)

문서에서 연구자들의 소셜미디어 이용 (페이지 32-3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