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Ⅰ. 서론

3. 연구 동향

최근 고지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역 학습을 위한 고지도 활용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고지도를 활용한 지역학습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지역․지역화 학습과 관련 한 연구, 지도를 활용한 교수학습방안 연구, 고지도를 활용한 교수학습방안 연구 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의 연구 동향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지역화 학습과 관련한 선행연구로 김오진7)은 제주도 지역에 대한 지역학습을 통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지리적 사고력을 함양시키기 위한 방 안을 모색하였다. 임춘훈8)은 초등학교 3학년 대상으로 보령지역을 사례지역으로 하는 지역화 학습을 설계․적용하여 지역화 학습에 있어서의 구성주의 이론의 적합성을 제시하고 있다. 김희선9)은 중학교 사회과 지리수업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수업모형으로 ICT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모형을 적용하여 제주도 지역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인터넷 정보 활용 능력 증진을 검증하였다. 임형신10)은 구성주의 관점에서 제주지역을 사례로 하는 지역학습 수 업모형을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지리 수업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윤옥경11)은 아산만 지역의 사례를 적용하여 지리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지역에 대 한 학습 내용을 구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소년12)은 사천시 지역의 지 역성을 파악하여 교사들에게는 지역 교재화의 한 방법을 제시하고, 학습자에게는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지역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제 공하였다. 이상의 선행연구들은 지리교육에 있어서 지역학습의 중요성을 부각시 켰으며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통해 지역학습을 위한 수업모형이 시도되었다.

7) 김오진(1996), 전게논문.

8) 임춘훈(2001), “구성주의적 접근을 통한 사회과 지역화 학습의 적용,”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 학원.

9) 김희선(2002), “ICT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의 실제와 그 효과 - 중학교 「사회Ⅰ」교과서 지리영역을 사 례로-,”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0) 임형신(2003), “구성주의에 근거한 지역학습의 설계 및 적용방안 연구 - 중학교 「사회1」<관광산업이 발 달한 제주도> 단원을 사례로-,”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1) 윤옥경(2003), “중학교 학생의 지역에 대한 인식과 지역학습,” 한국지리환경교육 학회지, 11(3).

12) 이소년(2006), “초등 사회과 지역학습을 위한 교재화 연구-사천시 지역의 사례,”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4(1).

둘째, 지도를 활용한 교수학습방안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권동희13)는 지도읽기를 중심으로 지리교육에서의 효율적인 지도 활용 방법을 모색하였다. 장 성구14)는 고등학교 지리교육에서의 백지도 활용 방안을 연구하여 백지도 사용이 학생들에게 지리 교과에 흥미와 관심을 증대시켰고, 지도에 관한 지식․기능면에 상당한 발전을 보여 지리 학습의 효과도 컸다고 분석하였다. 양혜연15)은 중학교 지도교육의 실태를 교과서와 교사의 지도 수업 실태, 그리고 학생들의 공간 인지 능력과 도해력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은희16)는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도해력 향상의 효과를 검증하여 중학생의 도해력 향상을 위한 구성주의 학습방법을 모색하였다. 이승옥17)은 지역 지도를 이용한 지역사회 학습을 실시하여 수업 현장에서 학습자들의 지도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고, 지리 학습에 흥미를 갖게 하기 위해 지역학습 방안을 설계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효율적인 지리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상의 선행연구들에선 교육현장에서 지 리교육을 위해 지도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었 다.

셋째, 고지도를 활용한 교수학습방안에 관한 선행 연구로 장재훈18)은 충청남도 연기 지역의 고지도를 통해 향토사 학습의 여러 가지 요소들을 추출하여 향토사 학습 방안을 모색하였고, 이상균19)은 고지도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1학년 사회 교 과서 국토인식 단원의 분석을 통해 교과서 재구성을 시도하였다. 권선정․최진 성20)은 고지도를 활용한 지역지리학습의 이론적 기초로서 그에 대한 해석적 접 근의 가능성을 제시한 후, 고지도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특성들과 관련된 지리 교육적 개념들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강래업21)은 청도 지역의 향토사 자료인 각종 지리지와 군읍지를 바탕으로 자연 지리적 내용과 인문 지리적 내용을 분석

13) 권동희(1994), “지도를 활용한 효율적인 지리교육 방안,” 지리학연구, 23.

14) 장성구(1995), “고등학교 지리교육에서의 백지도의 활용방안,”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5) 양혜연(2002), 전게논문.

16) 이은희(2002), “구성주의 학습방법이 중학생의 도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 육대학원.

17) 이승옥(2004), “지도를 활용한 지역학습의 설계 및 적용방안 - 중학교 「사회1」〈지역과 사회탐구를 중 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8) 장재훈(2002), 전게논문.

19) 이상균(2004), 전게논문.

20) 권선정·최진성(2004), “고지도를 활용한 지역지리 학습,”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2(3).

21) 강래업(2005), “향토 사료의 재구성과 활용 방안 연구 - 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 교 교육대학원.

하여 청도 지역 역사 지리 문헌자료의 전체적 현황을 분석한 후에 이를 항목별 로 재구성하여 향토사 학습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양한 매체를 통해 지역학습에 대한 연 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으며 지도학습과 관련해서도 다양한 지리적 개념들과 학습방법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교육현장에 있어 과거의 경험이나 삶의 체험과 관련된 정보, 즉 고지도와 관련된 지역학습의 적용은 그리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 고지도를 활용하여 지역학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