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연구 방법

3. 연구 도구

연구에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연구 도구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명 의료에 대한 중환자 가족의 지식, 인식, 태도와 중환자실 간호사에 대한 역할 인식과 요구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결혼 상태, 종교, 최종 학력, 중환자와의 관계, 환자의 중환자실 재원 기간, 환자의 중환자실 입실 계기, 연명 의료 결정법에 대해 들어본 경험에 대한 9 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2) 연명 의료에 대한 중환자 가족의 지식

홍선우 등(2013)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임종기 치료, 연명 치 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측정을 위해 AD(advanced directives)와 관련된 개념을 정리하여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개발 한 도구를 원저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은 뒤 사용하였다. 개발 된 도구의 문항들 중 본 연구 주제와 관련이 적은 임종기 치료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는 문항을 제외하고, 연명 치료와 사전 의료 의 향서 문서 관련 지식에 대한 15개 문항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연명

22

의료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명 의료 결정법의 가장 중요한 개념인 사전 연명 의료 의향서 관련 지식과 연명 의료 에 대한 지식을 조사함으로써 대상자의 연명 의료 결정법 전반에 대한 지식을 함께 측정하고자 하였다.

지식을 측정하는 질문에 답변은 ‘아니오’, ‘예’, ‘모른다’로 구성되 며, 오답과 ‘모른다’는 0점, 정답은 1점으로 처리한다. 이는 사물에 대한 객관적 타당성을 요구할 수 있는 판단의 체계인 지식의 사전 적 정의와 김희진 등(2019), 장난순 등(2018)의 선행 논문에서 지 식 측정에 관한 도구 사용 내용을 참고하여 정답은 1점으로, 오답과 모른다는 0점으로 처리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구의 연명 의료에 대한 지식 점수의 측정 가능한 범위는 0-15점이며, 이때 점수가 높을수록 연명 의료 관련 지식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를 참고한 문헌에서 연명 의료 관련 지식의 점수는 0-6점이 었으며, Cronbach’s α= .83이었다. 사전 의료 의향서 문서 관련 지

식의 점수는 0-9점이었으며, Cronbach’s α=.85 였다. 본 연구에

서 연명 의료에 대한 중환자 가족의 지식 점수는 KR 20=.9851이 었다.

23

3) 연명 의료에 대한 중환자 가족의 인식

한성숙 등(2001)이 심폐소생술 금지와 관련된 간호사들의 경험, 인식 및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와 배종면 등(2009)이 한국 보건 의료 연구원에서 시행한 여론 조사를 참고하여, 이혜경 등(2010)이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도구를 저자에게 도구 사용 승인을 받은 뒤 연명 의료 결정법 시행 후 상황에 맞게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사용하였다.

이혜경 등(2010)은 보호자의 연명 치료 중단에 대한 인식 조사 를 위해 총 16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80 이었다. 16개

문항 중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주제와 거리가 먼 개방형 질문 1개 와 연명 의료 결정법이 시행된 후의 상황과 관련이 없는 3개 문항 을 제외한 연명 의료 중단과 설명의 필요성, 설명 제공 시점, 시행 대상자에 따른 연명 의료 중단의 결정에 관한 12개의 문항을 설문 에 사용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해당 내용 중 대상자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문항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조사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도구 의 신뢰도는 Cronbach’s α=.72 이었다.

4) 연명 의료에 대한 중환자 가족의 태도

박계선(2000)에 의해 개발되고, 변은경 등(2003)이 수정하여

24

대상자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분석을 위해 사용한 도구를 원저자 의 도구 사용 승인 후 사용하였다. 변은경 등(2003)에 의해 수정 보완되어 사용된 도구에서 질문 내용은 연명 치료의 중단에 대해 긍정적인 문항 15개와 부정적인 문항 4개로 구성하여 총 19문항으 로 구성되었으나, 본 연구의 목적과 연명 의료 결정법 시행 후의 시 기적인 부분에 부합하지 않는 7문항을 제외한 12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각 항목은 likert scale을 이용해 측정되었으며, 연명 의료의 중단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8문항은 ‘매우 그렇다’ 5점, ‘그렇

다’ 4점, ‘보통이다’ 3점, ‘그렇지 않다’ 2점, ‘매우 그렇지 않다’ 1점을

주어 점수화 하였다. 반대로 연명 의료의 중단에 대해 부정적인 태 도를 나타내는 4개의 역 문항(1번, 6번, 11번, 12번)에 대해서는 ‘매

우 그렇다’ 1점, ‘그렇다’ 2점, ‘보통이다’ 3점, ‘그렇지 않다’ 4점, ‘매우

그렇지 않다’ 5점을 주어 역으로 환산해 점수를 계산하였다. 본 연구

에서의 연명 의료에 대한 태도 점수 범위는 22-56점이었으며, 이 때 총 점수가 높을수록 연명 의료 중단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 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한 변은경 등(2003)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25

Cronbach’s α = .8839였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8485였다.

5) 중환자 가족의 간호사에 대한 역할 인식 및 요구

변은경 등(2003)이 개발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한 총 12문항을 간호사에 대한 역할 인식 측정을 위해 사용하 였다. 11개의 문항은 likert scale로, 제시된 중환자실 간호사의 역할 에 대해 ‘매우 그렇다’ 5점, ‘그렇다’ 4점, ‘보통이다’ 3점, ‘그렇지 않다’

2점,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을 주어 점수화하였다. 중환자실 간호사

의 적극적인 역할에 대해 긍정적인 12개의 문항과, 부정적인 문항 1개로 구성하여 부정적인 문항(6번)은 역으로 점수화하여 ‘매우 그

렇다’ 1점, ‘그렇다’ 2점, ‘보통이다’ 3점, ‘그렇지 않다’ 4점, ‘매우 그렇

지 않다’ 5점을 주어 역으로 환산해 점수를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

역할 인식에 대한 점수의 범위는 34-55점으로 총 점수가 높을수록 연명 의료 중단 결정 과정에서 중환자실 간호사의 적극적인 역할에 긍정적인 것으로 해석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설문지는 사전 조사 이 후 전문가 4인의 자문을 거쳐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도구 신뢰도는 Cronbach’s α=.8837 였다.

26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 가족의 간호사에 대한 역할 인식과 더불어 역할 요구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마지막 문항에 ‘위의 내용

중 연명 의료 결정 과정에서 중환자실 간호사에게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3가지 역할을 순서대로 위 문항 번호로 기입해주세요.’

라는 개방형 질문을 추가하여, 앞에서 likert scale로 측정한 11개의 간호사 역할 인식에 대한 문항을 바탕으로 1순위부터 3순위까지 자 유롭게 기입하도록 하였다.

또한 각 항목마다 지성애 등(2004)의 임상 간호사 역할 정립에 관한 연구를 참고하여 항목에 대한 간호사 역할을 명명하였으며, 이 를 통해 중환자 가족이 중환자실 간호사에게 요구하는 역할에 대해 범주화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72이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