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연구 방법

3. 연구 도구

가. 자기표현 검사지

본 연구에서는 자기표현력을 측정하기 위해 Rakos와 Schroeder(1980)가 개발 한 자기 표현 검사지를 변창진․김성희(1980)가 재구성한 자기표현평정 척도를 본 연구의 대상에 알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이 검사지는 총 20문항으로 구 성되어 있으며 이는 내용, 음성, 비언어적 표현의 3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9개 문항은 말한 내용 자체에 어느 정도 자기 표현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평정하는 문항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기표현력의 내용적 요소 중 언어적 표 현으로 분류하였다. 7개 문항은 음성에 어느 정도 자기 표현 요소가 나타나는지 를 평정하는 문항이며 본 연구에서는 자기표현력의 표현적 요소 중 반언어적 표 현으로 분류하였다. 나머지 4개의 문항은 말할 때의 표정이나 손발의 움직임 등 과 같이 비언어적인 면에 어느 정도 자기 표현 요소가 반영되어 있는가를 평정하 는 문항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기표현력의 표현적 요소 중 비언어적 표현으로 분 류하였다.

각 문항은 항상 자기표현을 할 수 있으면 5점으로 하고 자기표현을 하는 빈도 에 따라 4점, 3점, 2점, 1점을 주어 평정한다. 자기 표현 척도의 점수 분포는 최고 100에서 최하 20점까지 나타나게 된다.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표현을 바람직하게 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점수가 낮을수록 자기표현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나타 낸다.

신뢰도는 김성희(1982)가 실시한 자기표현평정 척도에서 .80의 반분 신뢰도를 나타냈고 김미경(1992)은 재검사 신뢰도에서 .79를 제시했다. 자기표현능력 검사

반언어적 표현력

Ÿ 수업 시간에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자신의 생각 을 표현해야 할 경우 자신감이 부족하여 작은 목소리로 중얼거리는 경우가 많음.

비언어적 표현력 Ÿ 친구들과의 대화 속에서 배려하고 존중하는 태 도가 배어 있음.

의 문항구성 내용은 다음 <표 15>와 같다.

나. 면담법

본 연구에서는 자기표현력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표현 검사지와 더불어 면담법 을 사용하였다. 면담은 사전에 정해진 문항을 질문하고 대상 학생들이 대답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면담은 5분 정도 소요되었고, 면담 과정은 피면담자의 허락 을 받고 비디오 촬영을 하였다. 일상생활 속에서의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하여 자 기표현력의 변화 정도를 알아보고자 중간놀이 시간 및 점심시간을 활용하여 일대 일로 대화를 나누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대화 속에서 아동들의 자 기표현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문제 상황을 일상적인 대화 상황으로 선정하여 비구 조화된 면담으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1학기 때부터 연구자가 아이들과 해왔던 ‘주 말에 있었던 일 이야기하기’를 면담의 질문으로 선정하였다.

교육연극을 활용한 국어수업 적용 전과 후로 나누어 9월과 12월, 총2회로 면담 을 실시하였다. 녹화된 비디오를 통해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면담에 따른 자 기표현력 분석 관점은 본 연구에서 정리한 자기표현력의 구성요소에 따라 다음

<표 Ⅲ-4>와 같이 선정하였다.

문항번호 언어적 표현 1, 2, 3, 4, 5, 6, 7, 8, 9 반언어적 표현 10, 11, 12, 13, 14, 15, 16 비언어적 표현 17, 18, 19. 20

<표 Ⅲ-3> 자기표현능력 검사의 문항 구성

분석 요소 분석 관점

언어적 요소

내용의 풍부성 Ÿ 말하고자 하는 내용이 풍부한가?

어휘선택의

적절성 Ÿ 내용에 대한 어휘선택이 적절한가?

내용의 명료성 Ÿ 말하고자 하는 생각이나 느낌을 명료하게 표현하는가?

반언어적 요소

성량 Ÿ 목소리의 크기가 적절한가?

발음의 명료성 Ÿ 발음의 명료하게 잘 들리는가?

말의 속도 Ÿ 말의 속도가 빠르거나 느리지 않고 적절한가?

비언어적 요소

표정, 시선 Ÿ 말할 때의 표정과 시선이 어색하지 않고 자 연스러운가?

자세, 몸짓 Ÿ 말할 때의 자세와 몸짓이 어색하지 않고 자 연스러운가?

언어와의 조화 Ÿ 표정과 몸짓 등의 비언어적 표현이 말하는 내용에 알맞은가?

<표 Ⅲ-4> 자기표현력 분석 관점

다. 관찰법

본 연구에서는 자기표현력의 변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관찰법의 연구방법 을 도입하였다. 수업시간에 관찰대상아동들이 보이는 반응을 기록하였으며 수업 시간에 이루어지는 교육연극 활동 장면을 녹화하여 위의 <표 Ⅲ-4>에서 제시한 관찰 분석 기준에 따라 사후 관찰지를 작성하였다. 또한 본 연구자가 일상생활 속에서 기록한 교사일지를 바탕으로 생활 속에서 관찰되는 아이들의 변화 양상을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