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반언어적ㆍ비언어적 표현력의 변화

Ⅴ. 학습자의 변화 양상 분석

2. 반언어적ㆍ비언어적 표현력의 변화

총 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연극을 활용한 국어 학습을 실시하였으며, 자 기표현 검사지를 활용하여 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표현력 중 표현적 요소의 사전ㆍ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기표현 검사지에서 표현적 요소에 해당하는 질문 은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번에 해당하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 를 55점을 만점으로 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표 Ⅴ-5> 과 같 다.

*p<.05

30 32 34 36 38 40 42 44 46 48 50

사전 사후

평균

[그림 2] 반언어적ㆍ비언어적 표현력의 변화

검사 평균 표준편차 t p

사전 42.2222 4.99444

-4.130 .033* 사후 47.1111 3.10018

<표 Ⅴ-5> 자기표현력(반언어적ㆍ비언어적 표현력)에 대한 대응표본 t검정 결과

위의 분석에서 교육연극을 활용한 국어수업은 아동의 자기표현력 중 표현적 요 소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기표현력의 사전검사 평 균은 42.2222, 사후검사 평균은 47.1111로 평균 4.88889점 상승하였다. 이러한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활용한 결과 유 의수준 .05에서 유의확률 .033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C학생은 10번 문항 ‘나는 중얼거리지는 않지만 상대방이 알아듣기 어 려울 만큼 작은 소리로 말할 때가 가끔 있다’에서 ‘가끔 그렇다’라고 응답하였다. 1 학기 동안 C학생을 관찰한 결과, C학생은 발표를 하거나 공개적으로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이야기할 때 목소리가 작아 친구들에게 전달이 되지 않을 경우가 자주 있었 다. 그래서 수업시간에 교사가 C학생이 이야기한 것을 다시 한 번 다른 학생들에게 이야기해줄 때가 많았다. 그러나 의 경우 C학생은 9월 사전검사에서 ‘거의 그렇지 않다’로 응답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이후 12월 사후검사에서는 동일 문항에 대하여 ‘대체로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하였다. 즉 C학생은 10번 문항에 대하여 ‘가끔 그렇다→대체로 그렇지 않다’라 고 응답 결과의 변화를 보였다. 교육연극 활동의 도입 이후, C학생의 발표할 때의 목소리가 점점 커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C학생은 교육연극 수업뿐만 아니라 다 른 교과의 수업에서도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1월에 있었던 학예회 연극 무대에서도 큰 목소리로 또박또박 대사를 하여 맡은 배역을 훌륭하게 해내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1학기 동안의 관찰 결과, 이전까지 C학생은 친구들 앞에서 이야기를 할 때 긴장을 하는 편이었으며 손과 발의 위치를 어떻게 두어야 할지 어색해 할 때가 많 았다. 그래서 친구들 앞에서 발표를 할 때 몸을 꼰다거나 어색한 웃음을 짓곤 했었 다. C학생은 사전검사에서 19번 문항 ‘나는 말하는 도중에 손을 비비거나 발을 움직 일 때가 있다’ 및 20번 ‘나는 말할 때 몸이 굳어져서 어색하게 느껴질 때가 있다’에 서 두 문항 모두 ‘가끔 그렇다’라고 답하였다.

이후 사후검사에서는 19번 문항에는 ‘가끔 그렇다’, 20번 문항에는 ‘대체로 그렇 지 않다’라고 답하여 향상된 검사 결과를 보였다. 실제로 8단원 다양한 시각자료를 활용하여 발표를 하는 수업에서 C학생은 9명의 학생들 중 가장 적극적으로 수업에 임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보다 자연스러운 표정과 시선으로 발표를 하였다. 친구들

과 일상대화를 나눌 때처럼 자연스러운 표정을 지었으며 몸을 꼬지 않고 바른 자세 로 서서 발표 자료와 다른 학생들을 적절히 바라보며 이야기하였다. 물론, 완벽하고 능청스러울 정도로 발표를 잘하는 것은 아닐지라도 C학생에게 보인 가장 놀라운 변 화는 다른 사람들 앞에서 이야기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 한 변화는 C학생이 나에게 다가와 한 말에서 느낄 수 있었다. C학생은 1학기에는

“꼭 발표해야 돼요?”, “자기 자리에서 하면 안돼요?”라고 이야기하던 C학생이었다.

그러나 8단원 발표수업을 준비하면서 C학생은 나에게 와서 “선생님, 발표 수업 여 러 번 하면 안돼요?”, “선생님, 다른 과목도 저희가 발표하는 수업 해보고 싶어요.”

라고 이야기하는 모습을 보였다.

B학생 역시 사전검사에 비하여 이후 실시한 사후검사에서는 상승된 검사 결과를 보였다. B학생은 자신의 생각을 말과 글로 표현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학생이었다.

특히 친구들 앞에서 발표를 할 때 눈을 잘 마주치지 못하여 시선이 흔들리고 바닥 을 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목소리 크기는 친구들에게 잘 들릴 만큼 적당하였으 나, 몸을 꼬고 다리를 계속 움직였으며 어색한 웃음을 계속 지으며 이야기를 하였 다. 또한 1학기 개별 상담 시간 중 “학교생활에서 어려운 점이 없니?”라는 연구자의 질문에 B학생은 “저는 발표할 때 떨려서 잘 못하겠어요. 다른 사람들 앞에서 이야 기하면 두근두근 거려요.”라고 이야기하였다. 이로 인하여 교육연극을 도입한 초기 국어수업에서는 쑥스러움과 어색함에 대사를 아주 빠른 속도로 해버리고 연극 시연 을 끝내버리는 경우가 많으며, 앞을 잘 바라보지 못하고 다른 곳을 바라보거나 진지 한 장면에서도 계속 웃음을 띠며 이야기하곤 하였다. 또한 교육연극 활동 도입 초기 인 <1단원 이야기를 간추려요>의 5-6차시 핫시팅 수업에서는 수업 소감에 “등장인 물이 없는데 있다고 해야 해서 바보가 된 기분이었다.”라고 표현하며 교육연극 활동 에 어려움을 겪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B학생의 가장 놀라운 변화는 모든 교육연극 활동이 끝난 12월 학예회 준 비에서 관찰될 수 있었다. 학예회 준비 단계에서 B학생은 비중이 높은 역할에 스스 로 자원하여 참여하였으며, 연습 과정에서 적절한 속도로 대사를 하는 모습을 보였 다. 상대 배역 학생들을 똑바로 바라보며 이야기를 하였으며 표정과 동작 또한 어색 하지 않고 자연스러웠다. B학생뿐만 아니라 8명의 학생들 모두 학예회 연극 준비 단계에서 표현적 요소에서의 향상된 변화 모습을 보였으며 최종 공연을 본 동료교

사는 “4학년 아이들 맞아? 그동안 교육연극 해서 그런가, 깜짝 놀랐어. 엄청 잘하네.

A학생의 사전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학생은 내용 전달에 영향을

B학생의 사전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B학생의 반언어적 표현력은 3

C학생의 사전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C학생은 비교적 발음이 정확하

Ⅵ. 결론

수업 현장을 둘러보면 다른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것을 어 려워하는 아이들을 많이 볼 수 있다. 특히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많은 아이들이 발표하는 것을 꺼려하며 몇몇 아이들의 발표 위주로 수업이 이루어지곤 한다. 또 한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제대로 잘 전달하지 못하고, 타인을 고려 하지 않으며 의사표현을 하는 등 잘못된 방법으로 표현하는 아이들도 늘어만 가 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아이들에게 자연스럽게 자 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주기 위한 방법으로 교육연극 기법을 국어과 교수학습에 적용해보았다. 즉 본 연구는 교육연극을 활용한 국어 과 수업 방안을 개발하여 학습자의 자기표현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표현력을 ‘타인을 배려하고 존중하면서 자신의 생 각, 느낌, 감정을 언어적, 비언어적인 표현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전달하는 능력’이 라 정의하고 내용적요소 및 표현적 요소를 고루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연극 기법 및 수업 모형을 통합한 국어과 수업 방안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기표현력의 개념과 구성요소, 교육연극의 개념과 다양한 교육연 극 기법, 자기표현력과 교육연극의 상관성을 분석한 후, 현재 학생들의 자기표현 력 정도를 알아보고 2009개정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을 분석하여 본 연구의 목 표를 설정하였다. 목표 달성을 위해 적합한 학습 내용과 이를 적용할 교육연극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소규모 초등학교 4학년 학생 9명을 대상으로 총 24차의 수업을 진행하였고 수업 진행 전과 후의 검사를 실시, 그 차이를 양적 및 질적으 로 비교·분석하였다.

적용결과, 수업에 대한 반응 측면 및 자기표현력의 신장 측면에서 변화가 나타났 다. 학생들은 기존의 국어수업에 비해서 교육연극을 활용한 수업 활동에 흥미를 느 끼며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교육연극 활동이 도입된 후, 국어수업을 기다리는 학 생들이 생겨났으며 보다 활발하게 표현활동에 임하는 모습을 보였다. 1학기까지만 하여도 작은 목소리로 이야기하던 학생들, 친구들 앞에서 발표를 할 때면 시선을 어 디로 둘지 몰라 바닥만 쳐다보던 학생들 등 표현활동에 소극적이던 학생들이 점점 긴장감을 풀고 표현활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또한 교육연극 활동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으며, 학급회의를 통해 9명 모두의 만장일치로 2학기 말에 학교행사로 이루어 진 학예회에 ‘연극’ 무대를 올리기로 결정되기도 하였다.

또한 모둠 친구들과 토의를 통해 교육연극 활동을 계획하는 의사소통과정을 경 험하면서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는 능력 및 자신의 의견을 조리 있게 표현하는 능

또한 모둠 친구들과 토의를 통해 교육연극 활동을 계획하는 의사소통과정을 경 험하면서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는 능력 및 자신의 의견을 조리 있게 표현하는 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