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상담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자아정체감의 동질성 검증

자아정체감에 대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간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t검증을 한 결과는 <표 Ⅳ-1>과 같다.

<표 Ⅳ-1> 자아정체감 사전검사 비교

구분 N X SD t

자아정체감 상담집단 9 158.89 25.36 비교집단 9 149.33 18.65 .911

2) 상담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성가치명료도의 동질성 검증

상담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성가치명료도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 준편차를 산출하여 차이를 검증을 한 결과는 <표 Ⅳ-2>와 같다.

<표 Ⅳ-2> 성가치명료도 사전검사 비교

구분 N X SD t

성가치명료도 상담집단 9 124.22 14.78

1.156 비교집단 9 116.44 13.75

3) 상담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자아정체감 하위요인의 동질성 검증

자아정체감의 각 하위요인에 대한 두 집단 간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 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표Ⅳ-3>과 같다.

<표 Ⅳ-3>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검사 비교

구 분 N X SD t

안정성

상담집단 9 22.00 3.87

-.136 비교집단 9 22.22 2.99

목표지향성

상담집단 9 27.67 6.78

.563 비교집단 9 26.00 5.72

자기존재의 독특성

상담집단 9 26.67 2.24

.216 비교집단 9 26.33 4.06

자기수용

상담집단 9 27.89 6.19

1.649 비교집단 9 23.89 3.82

자기주장

상담집단 9 27.33 4.53

1.320 비교집단 9 24.67 4.03

대인역할 지각

상담집단 9 27.33 5.66

.446 비교집단 9 26.22 4.89

<표 Ⅳ-1>의 자아정체감 사전검사 비교 및 <표 Ⅳ-2>의 성가치명료도 사전검사 비교와 <표 Ⅳ-3>의 자아정체감 하위요인의 사전검사 비교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집단으로 간주되었다.

프로그램을 투입 받은 상담집단의 자아정체감과 성가치명료도 사후점수가 프 로그램을 투입 받기 전 자아정체감과 성가치명료도 사전점수와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한 결과는 <표 Ⅳ-4>와 같다.

<표 Ⅳ-4> 상담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차이 검증

구 분 N X SD t

안정성

사전 9 22.00 3.87

2.376 * 사후 9 24.44 3.05

목표지향성

사전 9 27.67 6.78

3.293 * 사후 9 32.44 4.61

자기존재의 독특성

사전 9 26.67 2.24

1.123 사후 9 28.22 4.18

자기수용

사전 9 27.89 6.19

3.225 * 사후 9 32.22 4.97

자기주장

사전 9 27.33 4.53 사후 9 27.44 5.48 .109

대인역할 지각

사전 9 27.33 5.66

3.654 **

사후 9 29.78 4.60

자아정체감 전체

사전 9 158.89 25.36

3.277 * 사후 9 174.56 19.58

성가치명료도

사전 9 124.22 14.78

4.403 **

사후 9 137.11 12.27

* : p<.05, ** : p<.01

위의 <표 Ⅳ-4>에서 상담집단의 자아정체감의 평균점수는 사전(X=158.89)과 사후(X=174.56)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3.277, p<.05). 이를 하위 영역별로 보면 안정성(t=2.376, p<.05), 목표지향성(t=3.293, p<.05), 자기수용(t=3.225, p<.05), 대인역할 지각(t=3.654, p<.01)은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자기존재의 독특성, 자기주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은 상담집단의 자아정체 감과 하위요인 중 안정성, 목표지향성, 자기수용, 대인역할 지각을 의미있게 높여 주고 있다.

상담집단의 성가치명료도 검사에서는 사전 평균점수(X=124.22)보다 사후 평 균점수(X=137.11)가 높아 사전과 사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t=4.403, p<.01). 이는 이미숙(1994)의 성가치교육 프로그램을 경 험한 집단의 성가치명료도 검사의 사후득점(F(1.24)=126.27, p<.001)이 사전득점 보다 높은 것과 일치한 결과이다.

프로그램을 투입 받지 않은 비교집단의 자아정체감과 성가치명료도 사후점수 가 프로그램을 투입 받기 전 자아정체감과 성가치명료도 사전점수와 차이가 있 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한 결과는 <표 Ⅳ-5>와 같다.

<표 Ⅳ-5> 비교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차이 검증

구 분 N X SD t

안정성 사전 9 22.22 2.99

-.902 사후 9 21.44 2.65

목표지향성 사전 9 26.00 5.72

사후 9 27.00 4.53 .840 자기존재의 독특성 사전 9 26.33 4.06

-.775 사후 9 24.89 3.48

자기수용 사전 9 23.89 3.82

-.093 사후 9 23.78 3.67

자기주장 사전 9 24.67 4.03

-.486 사후 9 24.22 3.67

대인역할 지각 사전 9 26.22 4.89

-.652 사후 9 25.67 3.43

자아정체감 전체 사전 9 149.33 18.65

-.512 사후 9 147.00 11.61

성가치명료도 사전 9 116.44 13.75 사후 9 119.11 12.88 .700

위의 <표 Ⅳ-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집단의 자아정체감의 총점과 각 하위 요인에서 사전과 사후점수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비교집단의 성가치명료도 평균점수도 사전과 사후점수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간에 통제가 잘 되었음을 의미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