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상담집단의 하위요인별 득점에 대한 차이 검증

가설2 : 성가치명료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은 비교집단보다 자아 정체감의 하위요인이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

(1) 안정성에 대한 차이 검증

가설 2-1 : 안정성이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

성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의 사후검사에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간의 안정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 하여 분석한 결과는 <표 Ⅳ-7>과 같다.

<표 Ⅳ-7> 안정성의 사후검사 비교

구 분 N X SD t

안정성

상담집단 9 24.44 3.05

2.229 * 비교집단 9 21.44 2.65

* : p<.05

위의 <표 Ⅳ-7>에서 상담집단( X=24.44)과 비교집단(X=21.44)의 안정성 평 균점수는 사후검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2.229, p<.05). 이는 성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기다움을 인식하고 가 치가 명료해짐에 따라 어떠한 상황에서도 일관되게 지속적으로 행동함으로써 상 담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안정성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목표지향성에 대한 차이 검증

가설 2-2 : 목표지향성이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

성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의 사후검사에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간의 목표지향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 출하여 분석한 결과는 <표 Ⅳ-8>과 같다.

<표 Ⅳ-8> 목표지향성의 사후검사 비교

구 분 N X SD t

목표지향성

상담집단 9 32.44 4.61

2.527 * 비교집단 9 27.00 4.53

* : p<.05

위의 <표 Ⅳ-8>에 의하면 상담집단(X=32.44)과 비교집단(X=27.00)의 목표 지향성의 평균점수는 사후검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t=2.527, p<.05). 이는 성가치명료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은 총체적 인 자기모습을 이해하고 자신의 역할을 인식함으로써 비교집단에 비하여 목표지 향성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다.

(3) 자기존재의 독특성에 대한 차이 검증

가설 2-3 : 자기존재의 독특성이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

다음 <표 Ⅳ-9>은 성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의 사후검사에서 상담집 단과 비교집단간의 자기존재의 독특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 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는 <표 Ⅳ-9>와 같다.

<표 Ⅳ-9> 자기존재의 독특성의 사후검사 비교

구 분 N X SD t

자기존재의 독특성

상담집단 9 28.22 4.18

1.839 비교집단 9 24.89 3.48

위의 <표 Ⅳ-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담집단(X=28.22)과 비교집단(X

=24.89)의 자기존재의 독특성의 평균점수는 사후검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청소년 초기에는 신체적, 정서적으로 매우 불 안정하고 아직 부모나 또래의 영향으로부터 심리적인 독립이 이루어지지 못한 청소년기의 특징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4) 자기수용에 대한 차이 검증

가설 2-4 : 자기수용이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

성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의 사후검사에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 간 의 자기수용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는 <표 Ⅳ-10>과 같다.

<표 Ⅳ-10> 자기수용의 사후검사 비교

구 분 N X SD t

자기수용

상담집단 9 32.22 4.97

4.102**

비교집단 9 23.78 3.67

** : p<.01

위의 <표 Ⅳ-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담집단(X=32.22)과 비교집단(X

=23.78)의 자기수용의 평균점수는 사후검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4.102, p<.01). 이는 성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기의 실체와 성격적 특성 및 취약점을 사실대로 인정하고 받아들임으로써 자기수용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다.

(5) 자기주장에 대한 차이 검증

가설 2-5 : 자기주장이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

다음 <표 Ⅳ-11>은 성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의 사후검사에서 상담집 단과 비교집단간에 자기주장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평균 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는 <표 Ⅳ-11>과 같다.

<표 Ⅳ-11> 자기주장의 사후검사 비교

구 분 N X SD t

자기주장

상담집단 9 27.44 5.48

1.466 비교집단 9 24.22 3.67

위의 <표 Ⅳ-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담집단(X=27.44)과 비교집단(X

=24.22)의 자기주장의 평균점수는 사후검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 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청소년 초기에는 성적, 심리적으로 불안하여 사회적 압 력이나 타인의 기대에 구애됨이 없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솔직하게 표출하 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6) 대인역할 지각에 대한 차이 검증

가설 2-6 : 대인역할 지각이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

성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의 사후검사에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간에 대인역할 지각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는 <표 Ⅳ-12>와 같다.

<표 Ⅳ-12> 대인역할 지각의 사후검사 비교

구 분 N X SD t

대인역할 지각

상담집단 9 29.78 4.60

2.149* 비교집단 9 25.67 3.43

* : p<.05

위의 <표 Ⅳ-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담집단(X=29.78)과 비교집단(X

=25.67)의 대인역할 지각의 평균점수는 사후검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t=2.149, p<.05). 이는 성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타인을 배려하 고 자신과 다른 사람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인식하에 자신의 가치를 형성해감으로 써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데서 대인역할 지각이 향상된다고 볼 수 있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표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성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의 사후검사에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자아정체감 총점과 하위요인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평 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는 <표 Ⅳ-13>과 같다.

<표 Ⅳ-13>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의 자아정체감 사후검사 차이 검증

구 분 N X SD t

안정성 상담집단 9 24.44 3.05

2.229 * 비교집단 9 21.44 2.65

목표지향성 상담집단 9 32.44 4.61

2.527 * 비교집단 9 27.00 4.53

자기존재의 독특성

상담집단 9 28.22 4.18

1.839 비교집단 9 24.89 3.48

자기수용 상담집단 9 32.22 4.97

4.102 **

비교집단 9 23.78 3.67 자기주장 상담집단 9 27.44 5.48

1.466 비교집단 9 24.22 3.67

대인역할 지각 상담집단 9 29.78 4.60

2.149 * 비교집단 9 25.67 3.43

자아정체감 전체 상담집단 9 174.56 19.58

3.632 **

비교집단 9 147.00 11.61

* : p<.05, ** : p<.01

위의 <표 Ⅳ-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후 검사에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자아정체감 총점과 하위요인별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로 자아정체감 총점(t=3.632, p<.01)과 6개 하위요인 중 안정성(t=2.229, p<.05), 목 표지향성(t=2.527, p<.05), 자기수용(t=4.102, p<.01), 대인역할 지각(t=2.149, p<.05)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성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은 상담 집단에 참여한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하위요인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 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기존재의 독특성과 자기주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이지 않은 것은 안정된 정체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신체적, 성적 성숙, 추상적 사고, 정서적 안정이 필 요하며 동시에 부모나 또래의 영향권에서 벗어나야 하는데 이러한 모든 조건들 이 청년 후기에 가서야 비로소 갖추어진다(조복희 외, 1991)는 주장과 관련하여 아직은 부모나 또래로부터 심리적인 독립이 이루어지지 못한 청소년기의 특징 에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