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 내용과 방법

문서에서 2018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페이지 17-22)

2.1. 연구의 주요 내용과 방법

⃞ 정주 만족도 조사 개편

○ 2018년 정주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기에 앞서, 기존의 정주 만족도 조사 항 목을 점검하였다. 변화된 사회적 환경과 이슈에 맞추어 농어촌 주민의 삶의 질 실태를 제대로 파악하고자 일부 문항을 수정하거나 추가하였다.

○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를 더 세밀하게 측정하고자, 기존의 10점(1~10 점) 척도에서 11점(0~10점) 척도로 변경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 도시 및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비교

○ 도시 및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 하여 농어촌 주민 삶의 질의 현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도시 및 농어촌 주민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조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 7대 정책 부문별(보건·복지, 교육, 정주생활기반, 경제활동·일자리, 문화·

여가, 환경·경관, 안전) 삶의 질 여건에 대한 도시 및 농어촌 주민의 만족 도 조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 이 외에 7대 정책 부문에 대한 중요도, 이주의향 등에 대한 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농어촌 주민의 주관적 삶의 질 지수도 도출하였다.

⃞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조사 자료 분석

○ 그동안 축적된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조사 결과를 가지고, 시계열 분

석과 인구통계적 특성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 지역별 층화 추출 방식으로 표본을 구성하기 시작한 2014년 조사 결과부 터 2018년 조사 결과를 가지고 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 척도가 11점(0~10점)척도로 동일한 2014년과 2018년도의 결과를 중점적으로 비 교 분석하였고, 특히 도·농간의 격차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 2014년과 2018년 조사 결과를 가지고, 농어촌 주민의 인구통계적 특성별 로 정주 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특히 농어촌 주민 의 연령별, 농림어업종사 여부, 귀농·귀촌 여부에 따라 주관적으로 인지 하는 정주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확인하였다.

2.2. 조사 결과 분석 방법

⃞ 농어촌 주민의 조사 표본이 실제 농어촌 지역 거주민을 대표할 수 있도록 표본 보정 실시

○ 조사 방법(온라인 조사 및 전화조사)의 한계로 실제 조사된 농어촌 주민의 거주 지역별 분포와 연령별 비율 등이 모집단과 달랐다. 이를 보정하고자 17개 읍·면 인구 모집단의 연령 비율을 가지고, 조사된 표본에 가중치를 적 용하여 농어촌 주민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도출하였다.

- 2018년 조사 표본과 함께, 모집단과 실제 조사된 표본 사이에 차이가 큰 2017년 조사 표본에도 가중치를 적용하여 정주 만족도 결과를 재산출하였 다. 이 보고서에 언급된 2017년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조사 결과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재산출한 결과로, 작년 보고서의 수치와 다를 수 있다1.

1

2017년 조사 표본에 대한 가중치 적용 방식과 이에 따라 재산출한 정주 만족도 조사

결과는 <부록1> 참고

⃞ 2014년부터 2018년 정주 만족도 조사 결과 수치 재정리

○ 2018년 조사와 같이 지역별 층화 추출 방식으로 도시 및 농어촌 주민의 정 주 만족도 조사를 진행한 것은 2014년 조사부터이다2. 이 보고서에서는 2014년부터 5년간 이루어진 조사 결과 수치를 일관된 산출 방식으로 재정 리하고자 하였다.

- 유효숫자의 원칙에 적합한 방식으로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표기하였다.

소수점 표기 방식의 변화에 따라 라운드 에러(round error)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라운드 함수를 사용하여 수치를 재산출하였다.

- 여러 세부 항목들에 대한 평균을 구할 때는, 먼저 세부 항목별로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결과를 산출하고 나서, 해당 수치들에 다시 라운드 함수를 사용하여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평균점수를 산출하였다.

○ 이 보고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주 만족도 결과 수치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산출한 결과이다.

- 해당 방식으로 산출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도시 및 농어촌 주민의 정 주 만족도 조사 결과 수치를 <부록 3>에 종합하여 정리하였다.

2

2014년도 정주 만족도 조사는 20개 행정리 마을 패널 대상의 조사(농어촌 주민 표본

679명)와, 지역별 층화 추출 방식의 도시 및 농어촌 주민 대상의 조사(농어촌 주민

표본 1,168명)를 함께 실시하였다. 이 보고서의 2014년도 수치는 지역별 층화 추출

방식으로 조사(농어촌 주민 표본 1,168명)된 결과이다. 이에 따라, 2014년 조사 결과

를 언급할 때 마을 패널 대상의 조사 결과를 활용했던 이전 보고서들과 수치가 다를

수 있다.

정주 만족도 조사 개편 방안

1. 조사 항목의 점검 및 개편 목적

○ 정주 만족도 조사 항목은 <표 2-1>과 같이 크게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농 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7대 부문별 중요도, 7대 부분별 삶의 질 여건에 대한 만족도, 이주의향, 응답자 특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 분 세부 항목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 포괄적 의미의 삶의 만족도(행복감) ○ 거주 지역에서의 생활 만족도

○ 거주하는 시‧군 및 마을의 발전 가능성 인식 ○ 주관적 웰빙 지수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7대 부문별 중요도

○ 중요도에 따른 1~3순위

※ 7대 부문: 3기 정책의 7대 부문

(보건‧복지, 교육, 정주생활기반, 경제활동‧일자리, 문화‧여가, 환경‧경관, 안전) 7대 부문별

삶의 질 여건에 대한 만족도

○ 7대 부문별로 3~5개 세부 여건에 대한 만족도

※ 7대 부문: 3기 정책의 7대 부문

(보건‧복지, 교육, 정주생활기반, 경제활동‧일자리, 문화‧여가, 환경‧경관, 안전) 이주 의향 ○ 이주 의향 ○ 이사하고자 하는 지역 및 그 이유

응답자 개인 및 가구 특성

○ 거주 지역 ○ 거주 기간

○ 성별, 연령, 학력, 직업, 건강 상태 ○ 가구 소득

○ 자가용 차량 소유 유무 ○ 가족 구성

○ 가정 생활에 대한 만족도 ○ 주택 형태, 주택 점유 형태

○ 가정 생활에 대한 만족도

○ 귀농‧귀촌 여부

○ 마을 일(행사나 모임)에 대한 참여도

<표 2-1> 도시와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조사 항목

○ 2012년부터 진행해왔던 정주 만족도 조사가 7년차에 접어든 시점에서 설문 문항을 전반적으로 점검하였다. 현 시점의 농어촌의 환경과, 최근 중시되고 있는 정책적 이슈를 정주 만족도 조사에 담을 수 있도록 개편하였다.

- 2012년부터 진행되어 왔던 정주 만족도 조사는 기존의 조사 항목을 유지 하면서, 매년 농어촌 주민의 삶의 질 실태를 확인하는 데 필요한 문항을 일부 추가하는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 그러나 그동안 농어촌의 사회적·문화적 환경이 변화하였고, 농어촌 주민 의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정책의 초점도 변화하고 있다. 정주 만족도 조 사가 이러한 농어촌 지역의 변화된 환경 속에서의 농어촌 주민의 삶의 질 실태와 정주 여건을 확인할 수 있도록, 조사 항목을 개편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 농어촌 삶의 질과 관련된 정책 이슈와 삶의 질 측정과 관련된 타 조사의 세 부 문항을 참고자료로 하여, 정주 만족도 조사의 세부문항을 점검하였다.

- 정책 이슈와 관련된 참고자료는 문재인 정부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과 국가균형발전 5개년 계획, 삶의 질 중점추진과제 설문조사 결과3 등을 활 용하였다(<부록 2> 참고).

- 참고자료로 활용한 타 조사는 통계청의 국민삶의질지표 세부문항, 농촌 진흥청의 농어업인 복지실태조사 세부문항 등이다(<부록 2> 참고).

○ 조사의 척도를 기존의 10점 척도(1~10점)에서 11점 척도(0~10점)로 변경하 였다. 척도를 세분화하여 만족도를 좀 더 세밀하게 측정하고자 했다.

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삶의질정책연구센터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로, 정부에

서 역점적으로 추진할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과제를 발굴하기 위해 실시하였

다. 2018년 7월 3일부터 10일까지 한 주간, 관련 전문가 100명, 농어촌 주민 201명을

대상으로 농어업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현 시점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책

과제가 무엇인지 답하게 하는 조사를 실시하였다.

문서에서 2018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페이지 1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