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직무관련 특성

조사 대상 중소종합병원 간호사는 241명으로,평균 32.51세(±7.65)이었으며,25

∼34세가 142명(58.9%)으로 가장 많았고,그 다음 35∼44세가 49명(20.3%),45세 이상이 27명(11.2%),25세 이하 23명(9.5%)순이었다.미혼자가 123명(51.9%)으로 기혼자 114명(48.1%)보다 조금 더 많았으며,대상자의 73.7%(174명)가 3년제 졸

업자이었다.대상자 중 공립병원과 사립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각각 96명 (39.4%),146명(60.6%)이었으며,평균 임상경력은 9.60년(±6.40)으로,5∼10년 미 만의 경력자가 75명(31.1%)으로 가장 많았고,그 다음 5년 미만이 67명(27.8%), 15년 이상의 경력자 52명(21.6%),10-15년 미만의 경력자 47명(19.5%)순이었으 며,대부분의 대상자들이 5년 이상의 경력자들이었다(72.2%).

대상자의 74.4%(177명)가 일반간호사이었고,내과계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96명 (39.8%)으로 가장 많았으며,그 다음 외과계,특수부서,외래 순이었다.대부분의 대상자가 교대근무자(192명,81%),정규직 근무자(239명,96.6%)이었고,간호사 대비 환자수의 비율은 중위수 3.78명 기준으로 상ㆍ하 두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근무하는 동안 간호사 1인 담당 환자수는 평균 3.90명(±2.08)이었다.또한 안전간 호관리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간호사가 167명(78.4%)이었으며,이들 의 평균 교육 횟수는 3.40회(±0.30)이었다.‘자신이 근무하는 병원내에 환자안전관 리위원회가 설치되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83명(39.3%)의 대상자가 근무 병원내에 환자안전관리위원회가 있다고 응답하였다(Table1).

2.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수행 정도

대상자들의 환자안전문화인식 정도는 평균 3.32점(±0.29)이었다.하부영역 중 의료과오 보고 정도에 대한 인식 영역이 가장 높았고(3.84±0.63),다음으로 직속 상관/관리자의 안전의식(3.61±0.51),의료과오 보고에 대한 의사소통의 개방성과 절차(3.34±0.39), 환자안전관련 병동근무환경(3.32±0.31), 전반적인 환자안전도 (3.21±0.76),병원의 환자안전 환경(3.01±0.44)순이었다(Table2).최근 12개월 동 안 의료과오(medicalerror),근접오류(near-miss)및 본인의 과오 유무와 관계없 이 사건을 보고한 비율은 각각 77.8%,76.0%,79.3%이었으며,이들의 보고 횟수 는 각각 3.28회(±0.29),3.45회(±0.29),3.32회(±0.25)이었다(Table3).

Table1.DemographicandJob-relatedCharacteristicsoftheSubjects Type of hospital Public 95(39.4) Private 146(60.6)

Table2. LevelofPerceivedPatientSafetyCultureand SafetyCareActivity N=241

Subfactor Mean±SD Range

Patient

feedbackaboutreportingmedicalerror 3.34±0.39 Levelofreportingmedicalerror 3.84±0.63 Overallevaluationofpatients'safety 3.21±0.76 OperationorInvasiveprocedure 2.08±0.76

Preventingfalldown 2.23±0.76 Preventinginfection 2.14±0.68 Staffsafety 2.09±0.65 Firefighting 2.09±0.65 Medicalequipments 2.04±0.69

Total 2.11±0.53 ortheirco-workers(n=92) (times)

Yes 73(79.3)

3.32±0.25 (1∼10) No 19(20.7)

3.인구사회학적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정도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연령,병원유형,직위,근무부서,간호사 1인 담당 환자수, 병원환자안전관리위원회 유무 인식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45세 이상과 25세 미만의 간호사들이 다른 연령 군에 비하여 환자안전문화인 식 정도가 높았다(F=4.01,p=.008).사립병원 근무간호사가 공립병원의 간호사보 다 환자안전문화인식 정도가 높았고(t=-2.61,p=.010),책임간호사 이상이 일반 간 호사에 비해 환자안전문화인식 정도가 높았다(t=-2.05,p=.042).특수부서 근무 간호사가 다른 부서에 근무하는 간호사 보다 환자안전문화인식 정도가 높았으며, 사후검정 결과 특히 내과계 간호사 보다 높았다(F=4.36,p=.014).간호사 1인 담 당 환자수가 적을수록 환자안전문화인식 정도가 높았고,근무병원내에 환자안전 관리위원회가 설치되어 있다고 응답한 간호사군에서,환자안전문화인식 정도가 높았다(t=2.42,p=.016)(Table4).

4.인구사회학적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안전간호활동수행 정도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안전간호활동수행 정도 차이 를 분석한 결과,연령,임상근무 경력,직위,고용형태,간호사 1인 담당 환자수, 안전간호관리교육 경험 유무와 횟수에 따라 안전간호활동수행 정도에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45세 이상의 대상자가 25∼34세 다른 군에 비하여 안 전간호활동수행 정도가 높았으며(F=3.75,p=.003),임상근무 경력 15년 이상의 간 호사들이 다른 연령군에서 보다 안전간호활동수행 정도가 높았고,특히 5∼10년 미만의 경력자에 비하여 높았다(F=4.35,p=.005).직위는 책임간호사 이상이 일반 간호사보다 점수가 높았고(t=-2.70,p=.007),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높았으며 (t=2.58,p=.011),안전간호관리교육 경험이 있는 군이 없는 군보다 점수가 높았다 (t=3.71,p<.001).또한 안전간호관리교육 횟수는 10회 이상 받은 군이 교육을 한 번도 교육을 받지 않은 군보다 점수가 높았으며,교육 횟수 별로 사후검정을 실

시한 결과,전혀 받지 않은 군과 10회 이상 받은 군 간에는 서로 차이를 보였다

Safetyeducationexperience (times) Perceivedthepresenceofthe

patientsafetymanagement committee

Table5.SafetyCareActivityby DemographicandJob-relatedCharacteristics

Safetyeducationexperience (time) Perceivedthepresenceofthe

patientsafety management committee

5.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수행 간의 관계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안전간호활동수행 정도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 과,전체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수행 사이에는 정적인 상관관 계가 있었다(r=.29,p<.001).안전간호활동수행과 환자안전문화 하부영역들 간에 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직속상관/관리자의 안전의식과 안전간호활동 간 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Table6).

Table 6.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Activity

N=241 Safetycareactivity

r(p) Patientsafetyculture .29(.001)

Patientsafetyenvironmentofworkingunit .23(.001) Supervisor/managers'safetyattitude .13(.058) Communicationopenness&

feedbackaboutreportingmedicalerror .23(.001) Levelofreportingmedicalerror .20(.002) Overallevaluationofpatients'safety .22(.001) Patientsafetyhospitalenvironment .24(.001)

안전간호활동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구사회학적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안전간호활동수행 정도에 차이가 있었던 연령,임상근 무경력,직위,고용형태,안전간호관리교육 경험 유무 및 횟수,간호사 1인 담당 병상수와 환자안전문화의 6개 하부영역을 독립변수로 하였으며,직위나 고용형태 등 명목변수들은 더미변수로 변환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독립 변수에 대한 회귀분석의 가정에 대한 분석 결과,오차의 자기상관 검증에서는 Dubin-Watson통계량이 1.869로 나와 자기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다중공

선성의 문제에서는 공차한계(tolerance)가 .938∼.977로 나와 모두 1.0이하로 나타 났다.분산팽창인자(variation inflationfactor,VIF)도 1.024∼1.066으로 모두 10.0 이하로 나타나 다중공선성 문제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한상숙과 이상철,2006). 중소종합병원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전반 적인 환자안전도이었으며,이는 안전간호관리교육 경험 유무,간호사 대 환자수, 고용형태,의료과오 보고 정도에 대한 인식과 함께 전체 안전간호활동수행 정도 의 20.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7).

Table7.PredictorsonSafetyCareActivityintheNurses*

N=241 Variables B S.E β t(p) AdjR2 F(p) Overallevaluationof

patients'safety 0.146 0.048 0.219 3.00(.003)

.203 8.83 (.001) Safetyeducation

experience -0.219 0.088 -0.186 -2.50(.013) Patient-to-nurseratio 0.218 0.076 0.213 2.87(.005) Employmentstatus -0.631 0.211 -0.219 -2.99(.003) Levelofreporting

medicalerror 0.130 0.057 0.165 2.26(.025)

*Adjustedwithaboveallvariables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