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구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

M SD M SD

시술 이유

화장시간 절약 4.03 0.69 3.92 0.69

콤플렉스 보완 4.11 0.60 3.85 0.72

유행스타일 4.18 0.53 3.80 0.76

이미지 관리 4.02 0.68 3.72 0.72

F(p) .986

(.399)

1.116 (.343)

시술 의향 여부

그렇다 3.69 0.67 3.66 0.66

보통 3.81 0.60 3.74 0.52

그렇지 않다 3.99 0.71 3.79 0.73

F(p) 2.324

(.101)

.322 (.726)

시술 의견

시술자 조언 3.98 0.65 3.76 0.49

나의 의견 3.81 0.73 3.81 0.71

시술자와 공동 3.91 0.66 3.72 0.72

F(p) .740

(.479)

.313 (.731)

중감은 삶의 만족(r=.602, p<.01)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Table 11. Correlations among the research variables

변인

서비스품질

자아 존중감

삶의 시술 만족

기술

시술 전문가

시술 절차

시술 제품

서비스 품질

시술기술 1

시술전문가 .791** 1

시술절차 .825** .802** 1

시술제품 .818** .756** .841** 1

자아존중감 .527** .516** .532** .518** 1

삶의 만족 .537** .490** .525** .507** .602** 1

**p<.01

(2) 연구 가설의 검증

가설 1. 반영구화장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품질은 반영구화장 피시술자 의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1. 반영구화장에 대한 시술기술 요인은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자아 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2. 반영구화장에 대한 시술전문가 요인은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자 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3. 반영구화장에 대한 시술절차 요인은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자아 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4. 반영구화장에 대한 시술제품 요인은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자아 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반영구화장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자아존중감 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는 Table 12와 같다. 우선 분석 전에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VIF는 3.329~4.759로 10보다 작게 나타나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에 문제는 없었다. 그리고 D/W값은 1.691로 2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 잔차들 간에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반영구화장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자아존중감 을 설명하는 설명력 정도는 =.321로 나타나 32.1%의 설명력이 확인되었고, F=59.480으로 나타나 유의수준 =.001에서 회귀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 다. 반영구화장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품질의 하위 요인 중에서 시술기술(

=.159, p<.05), 시술전문가(=.164, p<.05), 시술절차(=.162, p<.05)는 자아존중 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영향력은 시술 전문가, 시술절차, 시술기술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반영구화장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 설 1-1, 1-2, 1-3은 채택되었고, 가설 1-4는 기각되었다.

Table 12.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for semi permanent makeup on self-esteem

요인 B SE  t p VIF

(상수) 2.033 .134   15.179 .000  

시술기술 .119 .056 .159 2.123* .034 4.166 시술전문가 .128 .052 .164 2.450* .015 3.329 시술절차 .128 .063 .162 2.024* .044 4.759 시술제품 .090 .053 .127 1.704 .089 4.146 종속변수 : 자아존중감

=.321, Adjusted =.315, F=59.480***, p=.000, D/W=1.691

*p<.05, ***p<.001

가설 2.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에 정(+)의 영 향을 미칠 것이다.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 과는 Table 13과 같다.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을 설명하는 설명력 정도는

=.362로 나타나 36.2%의 설명력이 확인되었고, F=288.251로 나타나 유의수준

=.001에서 회귀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자아 존중감(=.602, p<.001)은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 는 영향에서 가설 2는 채택되었다.

Table 13. The effect of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요인 B SE  t p

(상수) 1.200 .155   7.730 .000

자아존중감 .647 .038 .602 16.978*** .000 종속변수 : 삶의 만족

=.362, Adjusted =.361, F=288.251***, p=.000

***p<.001

가설 3. 반영구화장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품질은 반영구화장 피시술자 의 삶의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1. 반영구화장에 대한 시술기술 요인은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삶의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2. 반영구화장에 대한 시술전문가 요인은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삶 의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3. 반영구화장에 대한 시술절차 요인은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삶의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4. 반영구화장에 대한 시술제품 요인은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삶의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반영구화장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삶의 만족 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는 Table 14와 같다. 우선 분석 전에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VIF는 3.329~4.759로 10보다 작게 나타나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에 문제는 없었다. 그리고 D/W값은 1.438로 2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 잔차들 간에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반영구화장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삶의 만족 을 설명하는 설명력 정도는 =.314로 나타나 31.4%의 설명력이 확인되었고, F=57.740으로 나타나 유의수준 =.001에서 회귀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 다. 반영구화장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품질의 하위 요인 중에서 시술기술(

=.259, p<.01), 시술절차(=.173, p<.05)는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영향력은 시술기술, 시술절차 순으로 나타났 다. 결론적으로 반영구화장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반영구화장 피시술자 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설 3-1, 3-3은 채택되었고, 가설 3-2, 3-4 는 기각되었다.

Table 14.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for semi permanent makeup on life satisfaction

요인 B SE  t p VIF

(상수) 1.713 .145   11.846 .000  

시술기술 .208 .061 .259 3.436** .001 4.166 시술전문가 .063 .056 .076 1.125 .261 3.329 시술절차 .147 .068 .173 2.155* .032 4.759 시술제품 .070 .057 .093 1.234 .218 4.146 종속변수 : 삶의 만족

=.314, Adjusted =.309, F=57.740***, p=.000, D/W=1.438

*p<.05, **p<.01, ***p<.001

가설 4. 반영구화장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있 을 것이다.

가설 4-1. 반영구화장에 대한 시술기술 요인이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가설 4-2. 반영구화장에 대한 시술전문가 요인이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삶 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가설 4-3. 반영구화장에 대한 시술절차 요인이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가설 4-4. 반영구화장에 대한 시술제품 요인이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반영구화장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품질과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삶의 만족 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

여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1단계는 반 영구화장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품질을 독립변수로 자아존중감을 종속변수로 회 귀분석을 하였고, 2단계에서는 반영구화장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품질을 독립변 수로 삶의 만족을 종속변수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3단계에서는 반영구화 장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품질과 자아존중감을 독립변수로 삶의 만족을 종속변 수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변수 검증과정에서 1단계와 2단계의 회귀계수는 모두 유의해야 하며, 3 단계에서는 매개변수의 회귀계수는 유의하지만 독립변수의 회귀계수는 유의하 지 않거나 최소한 2단계 모형의 회귀계수보다 감소해야 매개효과가 있다고 한 다. 3단계 모형에서 독립변수의 회귀계수가 유의하지 않을 경우를 완전 매개변 수라고 하고, 독립변수의 회귀계수가 유의할 경우 부분 매개변수라고 한다.

1단계에서 독립변수인 시술기술(=.159, p<.05), 시술전문가(=.164, p<.05), 시 술절차(=.162, p<.05)는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32.1%의 설 명력을 지니고 있다.

2단계에서 독립변수인 시술기술(=.259, p<.01), 시술절차(=.173, p<.05)는 삶 의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53.8%의 설명력을 지니고 있다.

매개효과 검정의 마지막 단계인 3단계에서는 매개변수인 자아존중감(=.422, p<.001)는 삶의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에서 시술절차(=.105, p>.05)는 삶의 만족에 유의하지 않으며, 회귀계 수가 .173에서 .105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은 시술절차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완전 매개한다. 또 시술기술(=.192, p<.01)은 삶 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은 시술기술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반영구 화장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품질과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삶의 만족과의 관계 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4-1, 4-3은 채택되었고, 가설 4-2, 4-4는 기각되었다.

Table 15.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service quality for semi permanent makeup and life satisfaction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 (삶의 만족)

ttt

시술기술 .159 2.123* .259 3.436** .192 2.789**

시술전문가 .164 2.450* .076 1.125 .007 .106 시술절차 .162 2.024* .173 2.155* .105 1.431 시술제품 .127 1.704 .093 1.234 .039 .570

자아존중감 .422 10.370***

.321 .314 .435

F 59.480*** 57.740*** 77.463***

*p<.05, **p<.01, ***p<.001

반영구화장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품질과 반영구화장 피시술자의 삶의 만족 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계수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Sobel 검정에서 z값은 매개효과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절댓 값 1.96보다 클 경우 매개효과 계수가 유의한 것으로 판단한다. 독립변수인 시 술기술, 시술절차와 삶의 만족에 대하여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z값은 각각 2.081, 1.993으로 나타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Table 16. Sobel test for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 SE z p

시술기술→자아존중감 .119 .056 2.081 .037

시술절차→자아존중감 .128 .063 1.993 .044

자아존중감→삶의 만족 .453 .04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