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활동종사자 주관적 안전보건 평가에 따른 분포 및 연관성

Ⅲ. 연구 결과

2. 연구활동종사자 주관적 안전보건 평가에 따른 분포 및 연관성

가. 연구활동종사자의 일반특성과 연관성

안전보건 평가의 특성에 따른 연구활동종사자의 일반적 분포를 보면 남성이 총 76.6%로 대부분을 차지 하였다. 신분은 석사과정이 총 57.1%로 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경력은 1년 이상이 총 66.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6개월미만 경력이 총 9.8%로 나타났다. 1일 실험시간은 2시간이상 4시간미만이 전체의 45.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연구활동종사자 요인 즉, 성별, 신분, 경력, 1일 실험시간 항목은 연구활동 종사자의 소속 연구실 안전보건 평가의 특성에 따라서 유의하지 않았다 (P<0.05)(표 7).

표 7. 주관적 안전보건 평가에 따른 연구활동종사자의 분포 주관적 안전보건 평가

상 중 하 N p 값

연구활동종사자

성 별 남자 107(76.7) 25(71.4) 9(69.2) 141(76.6) 여자 29(21.3) 10(28.6) 4(30.8) 43(23.4) 0.53 학부과정 55(40.4) 17(48.6) 5(38.5) 77(41.9)

나. 안전보건 교육의 일반특성과 연관성

안전보건 평가의 특성에 따른 안전보건 교육의 일반적 분포를 보면 연간 안 전보건 교육은 8시간 미만이 전체의 81.5%로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 률에 따른 연간 12시간에 절반 이상이 미치지 못하였다. 강사 항목은 안전관 리자가 43.0% 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방법은 강의식이 56.5%로 대부분을 차 지하였다. 교재 비치여부 항목은 있음(50.5%)군과 없음(49.5%)군이 1.0% 차이 를 보였다. 연구실 안전보건 교육요인 즉, 연간 교육시간, 강사, 방법, 교재 항목은 안전보건 평가의 특성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다(P<0.05)(표 8).

최근 1년내 사고경험 항목은 있음군이 총 4.9%를 보였으며, 상,중,하 평가 에서 모두 사고경험 있음군이 10%이내를 차지했으며 유의하지 않았다(P<0.05)

표 8. 주관적 안전보건 평가에 따른 안전보건 교육의 분포

2h-4h 57(41.9) 14(40.0) 7(53.9) 78(42.4)

5h-8h 19(14.0) 3 (8.6) 1 (7.7) 23(12.5) 8h ≦ 19(14.0) 6(17.1) 1 (7.7) 26(14.1) 받지않음 4 (2.9) 3 (8.6) 1 (7.7) 8 (4.4)

강 사

외부강사 26(19.1) 7(20.0) 5(38.5) 38(20.7) 지도교수 30(22.1) 11(31.4) 2(15.4) 43(23.3) 0.48 안전관리자 59(43.4) 15(42.9) 5(38.5) 79(43.0) 기 타 21(15.4) 2 (5.7) 1 (7.6) 24(13.0) 방 법 강의식 79(58.1) 21(60.0) 4(30.8) 104(56.5) E-런닝 57(41.9) 14(40.0) 9(69.2) 80(43.5) 0.15

교 재 있음 68(50.0) 17(48.6) 8(61.5) 93(50.5) 없음 68(50.0) 18(51.4) 5(38.5) 91(49.5) 0.71 1년내

사고경험

경험있음 6 (4.4) 2 (5.7) 1 (7.7) 9 (4.9)   130(95.6) 33(94.3) 12(92.3) 175(95.1) 0.56 계 136 (100) 35 (100) 13(100) 184

다. 안전보건 의식의 일반특성과 연관성

안전보건 의식 요인 중 연구실 안전환경조성법의 인지 필요성은 안전보건 평가 수준인 하군이 총 40.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연구 책임자의 안전보건 경영방침은 상군이 총 52.7%이고 하군이 총 25.5%를 차지했다. 연구책임자의 안전보건경영방침의 자세한 검증이 필요하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사고발생 위험요소 항목은 사고발생 위험요소를 잘 알고 있다고 답변한 상 군이 총 87.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소속 연구실이 위험하다고 인지한 안 전보건 평가 하군에서 사고발생 위험요소를 잘 알고 있다고 답변한 상군이 중 군과 하군에 비해 3배 이상을 차지했으며 유의하였다(P<0.05).

안전보건교육 도움 정도 항목은 도움이 된다는 상군이 87.5%로 대부분을 차 지했다. 안전보건 평가 정도에서 소속 연구실이 위험하다고 인지하는 하군에 서 총 87.5% 중 3.9%를 차지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실험전 보호구 착용 항목은 불의의 사고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최소한의 의식으로 반드시 착용이 필요하다는 상군은 총 83.2%를 차지했고 소속 연구실 이 위험하다고 인지하는 하군에서 총 83.2% 중 1.6%를 차지했으며 유의하였다 (P<0.05)(표 9).

표 9. 주관적 안전보건 평가에 따른 안전보건 의식의 분포

상 32(23.5) 4(11.4) 4(30.8) 40(21.7)

0.146 중 53(39.0) 11(31.4) 6(46.2) 70(38.0)

하 51(37.5) 20(57.1) 3(23.1) 74(40.2) 책임자안전보건

경영방침

상 66(48.5) 25(71.4) 6(46.2) 97(52.7)

0.049 중 31(22.8) 7(20.0) 2(15.4) 40(21.7)

하 39(28.7) 3 (8.6) 5(38.5) 47(25.5) 비상응급

조치계획

상 121(89.0) 29(82.9) 9(69.2) 159(86.4)

0.149 중 13 (9.6) 6(17.1) 4(30.8) 23(12.5)

하 2 (1.5) - - 2 (1.1) 사고발생

위험요소

상 126(92.7) 25(71.4) 10(76.9) 161(87.5)

0.002 중 10 (7.4) 9(25.7) 3(23.1) 22(12.0)

하 - 1 (2.9) - 1 (0.5) 안전보건

교육도움

상 83(61.0) 16(45.7) 4(30.8) 103(56.0)

0.011 중 52(38.2) 16(45.7) 8(61.5) 76(41.3)

하 1 (0.7) 3 (8.6) 1 (7.7) 5 (2.7) 실험전

보호구 착용

상 114(83.8) 31(88.6) 8(61.5) 153(83.2)

0.004 중 22(16.2) 2 (5.7) 4(30.8) 28(15.2)

하 - 2 (5.7) 1 (7.7) 3 (1.6) 안전수칙 준수

상 97(71.4) 26(74.3) 5(38.5) 128(69.6)

0.057 중 38(27.9) 9(25.7) 7(53.8) 54(29.4)

하 1 (0.7) - 1 (7.7) 2 (1.1) 유해물질 환기

상 119(87.5) 28(80.0) 11(84.6) 158(85.9)

0.468 중 14(10.3) 7(20.0) 2(15.4) 23(12.5)

하 3 (2.2) - - 3 (1.6)

라. 안전보건 태도의 일반특성과 연관성

보호구착용 착용 116(85.3) 26(74.3) 11(84.6) 153(83.1)

0.296 미착용  20(14.7) 9(25.7) 2(15.4) 31(16.9)

타인과협조

상 118(86.8) 32(91.4) 11(84.6) 161(87.5)

0.876 중 14(10.3) 3 (8.6) 2(15.4) 19(10.3)

하 4 (2.9) - - 4 (2.2) 실험전

정리정돈

상 113(83.1) 33(94.3) 8(61.5) 154(83.7)

0.074 중 19(14.0) 2 (5.7) 4(30.8) 25(13.6)

하 4 (2.9) - 1 (7.7) 5 (2.7) 위험발견시

즉시조치

상 124(91.2) 32(91.4) 10(76.9) 166(90.2)

0.242 중 12 (8.8) 3 (8.6) 3(23.1) 18 (9.8)

하 - - -

-계 136 (100) 35 (100) 13 (100) 184

마. 안전보건 지적 건수의 일반특성과 연관성

안전보건 지적건수 요인 즉, 소화기 지적사항 유무항목에서 2.38 (95% 신뢰 구간 1.16-4.88)의 교차비를 보였으나 후드배기장치, 안전보건표시, 방화용캐 비닛, 전선손상및노출, 가스누출경보기, 기계 방호장치 항목은 유의하지 않았 다(P<0.05)(표 11)(표 12).

표 11. 주관적 안전보건 평가에 따른 안전보건 지적건수의 분포

  주관적 안전보건 평가

상 중 하 N p 값

안전보건 지적건수 (N=184건)

후드배기장치 있음 64(47.1) 16(45.7) 3(23.1) 83(45.1) 72(52.9) 19(54.3) 10(76.9) 101(54.9) 0.25

안전보건표시 있음 98(72.1) 30(85.7) 8(61.5) 136(74.0) 38(27.9) 5(14.3) 5(38.5) 48(26.1) 0.14

소화기 있음 72(52.9) 26(74.3) 9(69.2) 107(58.1) 64(47.1) 9(25.7) 4(30.8) 77(41.9) 0.06

방화용캐비닛 있음 86(63.2) 24(68.6) 7(53.9) 117(63.6) 50(36.8) 11(31.4) 6(46.2) 67(36.4) 0.63

전선손상노출 있음 32(23.5) 10(28.6) 3(23.1) 45(24.7) 104(76.5) 25(71.4) 10(76.9) 139(75.5) 0.81 있음 20(14.7) 6(17.1) 2(15.4) 28(15.2)

표 12. 주관적 안전보건 평가에 따른 안전보건 지적건수와의 관련성 주관적 안전보건 평가 Crude Adjusted OR 95% CI OR 95% CI 안전보건 지적 건수

국소배기장치 있음 1 1

0.69 (0.35-1.33) 0.70 (0.36-1.38)

안전보건표시 있음 1 1

1.34 (0.62-2.91) 1.33 (0.59-2.96)

소화기 있음 1 1

2.33 (1.14-4.78) 2.38 (1.16-4.88)

방화용캐비닛 있음 1 1

1.01 (0.51-1.97) 1.04 (0.52-2.06)

전선손상및노출 있음 1 1

1.17 (0.56-2.48) 1.16 (0.47-2.47)

가스누출경보 있음 1 1

1.14 (0.47-2.7) 1.16 (0.47-2.82)

방호 장치 있음 1 1

1.09 (0.26-4.4) 1.19 (0.28-4.93)

바. 안전보건 수준과 연관성

주관적 안전평가 특성에 따른 안전보건상태를 살펴보기위해 카이제곱 검정 (P<0.05)과 평가자간 일치도를 실시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표 13).

표 13. 주관적 안전보건 평가에 따른 안전보건 수준의 분포 주관적 안전보건 평가

상 중 하 N χ² Kappa

안전보건 수준

2 등급 60(44.1) 11(31.4) 6(46.2) 77 (4.9)

0.3 0.076 3 등급 51(37.5) 20(57.1) 5(38.5) 76(41.3)

4 등급 25(18.4) 4(11.4) 2(15.4) 31(16.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