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상자의 부서이동태도, 직무만족도, 직무스트레스 정도

연구대상자의 부서이동태도, 직무만족도,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표 2>와 같다. 연구대상자의 부서이동태도 총점은 5점 만점에 평균평점 2.97±0.39점 이었으며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개인의 발전이 3.93±0.81점으로 가장 높았고 전문직발전 3.32±0.56점, 행정관리 2.95±0.45점, 직장인 공통욕구 2.81±0.69 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관리가 2.59±0.55점으로 가장 낮았다. 직무만족도 는 총 5점 만점에 평균평점 2.89±0.35점이었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상호작 용이 3.38±0.5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보수가 2.12±0.79점으로 가장 낮았다.

직무스트레스는 총점 5점 만점에 평균평점 3.82±0.54점이었다. 하위영역을 살 펴보면, 업무량과중이 4.18±0.60점으로 가장 높았고 부적절한대우 4.08±0.66 점, 밤 근무 3.99±0.96점이었으며 심리적 부담감이 3.36±0.81점으로 가장 낮 았다.

< 표 2 > 대상자의 부서이동태도, 직무만족도, 직무스트레스 정도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서이동태도의 차이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서이동태도의 차이는 <표3>과 같다.

자발적 부서이동과 정기적인 부서이동 희망여부에 따라 부서이동태도가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발적인 부서이동을 시행한 대상자(3.13±0.33)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 (2.83±0.39)보다 부서이동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t=4.96, p<.001).

또한 정기적인 부서이동에 동의한 대상자(3.12±0.37)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 (2.91±0.39)보다 부서이동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t=2.92, p=.004).

특성 항목 % M±SD t or F p

자발적 예 71 3.13±0.33 4.96 <.001 부서이동 아니오 84 2.83±0.39

이동시 일반병동 28 3.06±0.40 2.32 .077 희망부서 특수부서 50 2.97±0.39

외래 77 2.97±0.40

정기적부서 예 41 3.12±0.37 2.92 .004 이동여부 아니오 114 2.91±0.39

적절한 2년미만 8 3.02±0.37 1.95 .123 이동주기 3-4년 48 3.06±0.40

5-6년 57 2.96±0.42 7년이상 42 2.86±0.32

적응시기 6개월미만 25 3.06±0.40 1.66 .178 1년 87 2.98±0.37

2년 31 2.93±0.33 3년이상 12 2.77±0.58

D.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표4>와 같다. 학 력, 임상 총 경력, 자발적 부서이동, 이동 시 희망부서에 따라 직무만족도가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원 졸업한 대상자(3.04±0.31)가 3년제 졸업한 대상자(2.74±0.44) 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4.99, p=.008). 임상 총 경력은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사후검정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20, p=.025). 또한 자발적 부서이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사후검 정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51, p=.013). 희망하는 부서가 일반병동 (3.02±0.34)인 대상자가 특수부서(2.88±0.32)인 대상자 보다 직무만족도가 유 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2.98, p=.033).

< 표 4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

자발적 예 71 2.97±0.32 2.51(.013) 부서이동 아니오 84 2.83±0.37

이동시 일반병동a 28 3.02±0.34 2.98(.033) a>b 희망부서 특수부서 b 50 2.88±0.32

외래c 77 2.88±0.38

정기적 예 41 2.86±0.31 -0.69(.495) 이동여부 아니오 114 2.90±0.37

적절한 2년미만 8 2.92±0.39 0.17(.916) 이동주기 3-4년 48 2.90±0.39

5-6년 57 2.90±0.33 7년이상 42 2.86±0.34

적응시기 6개월미만 25 2.96±0.40 0.74(.531) 1년 87 2.87±0.36

2년 31 2.93±0.32 3년이상 12 2.81±0.29

E.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는 <표5>와 같다.

연령, 적절한 부서이동주기에 따라 직무스트레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25세 이하(4.12±0.58)인 대상자가 36세 이상(3.73±0.46)인 대상자 보 다 직무스트레스정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2.99, p=.033). 또한 적절한 부서이동주기가 3년에서 4년 사이(3.98±0.55)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5 년에서 6년 사이(3.66±0.49)라고 응답한 대상자 보다 직무스트레스정도가 유 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3.44, p=.019).

< 표 5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

경로 다른계열부서 85 3.83±0.55

자발적 예 71 2.97±0.32 1.04(.298) 부서이동 아니오 84 3.78±0.51

이동시 일반병동 a 28 3.87±0.56 1.36(.257) 희망부서 특수부서b 50 3.80±0.53

외래c 77 3.89±0.52

정기적 예 41 3.84±0.45 0.37(.709 이동여부 아니오 114 3.81±0.57

적절한 2년미만a 8 3.80±0.60 3.44(.019) b>c 부서이동 3-4년b 48 3.98±0.55

주기 5-6년c 57 3.66±0.49 7년이상d 42 3.86±0.53

적응시기 6개월미만 25 3.71±0.55 0.54(.657) 1년 87 3.82±0.55

2년 31 3.86±0.48 3년이상 12 3.93±0.57

F. 대상자의 부서이동태도, 직무만족도,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연구대상자의 부서이동태도, 직무만족도, 직무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는

<표 6>과 같다. 부서이동태도와 직무만족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r=.494, p<.001), 부서이동태도와 직무스트 레스 간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392, p<.001). 즉 부서이동태 도가 긍정적일수록 직무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51, p<.001). 즉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 표 6 > 대상자의 부서이동태도, 직무만족도,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N=155) 부서이동태도 직무만족도 직무스트레스

r(p) r(p) r(p) 부서이동태도 1

직무만족도 .494(<.001) 1

직무스트레스 -.392(<.001) -.251(<.001) 1

. 논의

보인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간호 관리자는 간호사들의 의사결정을 독려하고

스의 차이는 연령, 적절한 부서이동주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5세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간호부서의 효율적인 인사관리에 도움 을 주고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 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결론 및 제언

A. 결론

본 연구는 부서이동을 경험한 간호사의 부서이동태도와 직무만족도 및 직 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간호부서의 효율 적인 인사관리에 도움을 주고, 부서이동을 시행한 경력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2개 대학병원에 재직하는 간호사 중 부서이동 을 경험한 간호사 중 총 근무경력 2년 이상, 부서이동 후 1년 이내인 155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4월16일부터 4월30일까지 시행 되었다. 총 16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최종 155부를 본 연구의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 며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및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여자가 139명(89.7%)으로 대부분 차지하였고 26~30세가 67명(43.2%)으로 가장 많았으며 미혼자가 81명(52.3%), 최종 학 력은 학사 졸업이 105명(67.7%), 직위에서는 일반간호사가 121명(78.1%), 현 부서경력은 3개월 이하가 50명(32.3%), 부서이동경험 경험은 1회가 126명

(81.3%), 다른계열 부서로 이동이 85명(54.8%)으로 가장 많았고, 자발적이지 않은 부서이동이 84명(54.2%)이었고, 부서이동시 희망하는 부서는 외래가 77 명(49.7%), 정기적인 부서이동을 원하지 않은 대상자가 114명(73.5%), 적절한 부서이동 주기는 5~6년이 57명(36.8%), 새로운 병동에 적응 시기는 1년이 87 명(56.1%)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부서이동태도의 평균평점은 2.97±0.39점, 직무만족도 평균평점은 2.89±0.35점, 직무스트레스 평균평점은 3.82±0.54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서이동태도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자발적 부서이동 희망여부(t=4.96, p<.001), 정기적인 부서이동 여부(t=2.92, p=.004) 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학력 (F=4.99, p=.008), 임상 총 경력(F=3.20, p=.025), 자발적 부서이동(t=2.51, p=.013), 이동시 희망부서(F=2.98, p=.03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연령 (F=2.99, p=.033), 적절한 부서이동주기(F=3.44, p=.01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대상자의 부서이동태도와 직무만족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r=.494, p<.001), 부서이동태도와 직무스트레스 간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392, p<.001). 즉 부서이동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직무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낮았

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51, p<.001). 즉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B. 제언

본 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하고자 한다.

김미영 (2015). 병원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업무수행능력, 직무만족도의 관계연

오미선 (200). 대학부속병원 간호사들의 근무부서 이동에 대한 태도와 직무만

장미애 (2011). 간호사의 근무부서이동이 전문 간호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

Choo S. W.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career sat-isfaction in the moderating role of type of work.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6(8) 153-174.

Ho,W. H., Chang, C. S., Shih, Y. L., & Liang, R. D. (2009). Effects of job rotation and role stress among nurse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9(1),

72-86.

Mitchell TR, Holtom BC, Lee TW, Sablynski CJ, Erez M.(2001). Why people stay: using job embeddedness to predict voluntary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6), 1102-1121.

Nolting, H., Grabbe, Y., Genz, H. O., & Kodt, M. (2006). Nurse turnover:

adifferenti al analysis of the predictors for intent to change the job and intent to leave the profession. Pflege, 19(2), 108-115.

황정혜 (2015). 간호사의 근무경력, 감정노동 및 직무만족도. 선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부록 1> 피험자 설명문

-<부록 2> 연구도구

. 일반적인 사항에 대한 질문입니다. 해당란에 체크( ) 표시 해 주십시오.

1.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남 ( ) 여 ( )

2. 귀하의 연령은 몇 세 입니까?

만 ( )세

3. 귀하의 현재 결혼 상태는 어떠합니까?

미혼 기혼

4. 귀하의 최종학력은 어떠합니까?

3년제 졸업( ) 4년제 졸업(방통대학, RN-BSN 포함)( ) 대학원 졸업 ( ) 박사 ( )

5. 귀하의 현재 직위는 무엇입니까?

일반간호사( ) 책임간호사( )

6. 간호사로서의 총 병원 근무 경력은 얼마나 됩니까?

( )년

7. 현재 근무부서에서 근무 경력은 얼마나 됩니까?

( )개월

8. 귀하께서 지금까지 부서이동 경험이 있었습니까?

총 ( )회

9. 귀하의 마지막 부서이동 경로는 무엇 입니까?

같은계열 부서이동

(병동 병동, 외래 외래, 특수부서 특수부서)

다른계열 부서이동

(특수부서 병동&외래, 병동 특수부서&외래, 외래 특수부서&병동) 병동: 내과계, 외과계

특수부서: 중환자실, 분만실, 신생아실, 수술실, 응급실, 호스피스

10. 위 문항에서의 부서 이동이 원하는 것이었습니까? (자의적이었습니까?) 예 ( ) 아니오 ( )

11. 본인이 희망하는 부서가 있다면 어느 부서를 선택하시겠습니까?

일반병동( ) 특수부서( ) 외래( )

12. 정기적인 근무부서이동을 원합니까?

예 ( ) 아니오 ( )

13.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정기적인 부서이동의 주기는 얼마입니까?

13.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정기적인 부서이동의 주기는 얼마입니까?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