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7-185)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기간이 12회기 짧은 기간 이루어진 점을 고려한다면, 중년여성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에 변화를 일반화 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후속 프로그램의 개발 이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현대사회인들의 문화적, 가치관적 차이를 비롯한 다양한 특성을 척도지로 평가하는 데 한계점이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적 안녕감 척도는 대체적으로 서양 문화를 배경으로 개발된 척도이므로 우리나라의 문화와 정서, 삶의 방식, 변화하는 환경적 요소 등 을 고려한 새로운 척도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의미요법을 활용한 기존의 연구가 삶의 의미 증진을 위한 여러 많은 집단프로 그램에서 실시되었지만, 그간 시도되지 않았던 의미요법을 활용한 명화감상 집단미술치료 프 로그램을 중년여성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에 접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위해 양 적·질적 분석을 통하여 심도 있게 검증해 보았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고효정 (1999). 중년기 여성의 건강문제 실태조사.

한국모자보건학회지, 3(2), 257-266.

공마리아외 (2006).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월례학술발표회, 50(-),1-2.

공영길 (2009). 외모만족도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권한경 (2011). 중년여성이 인지하고 있는 삶의 질이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김갑숙, 정미숙. (1999). 학교 부적응 학생의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美術治療硏究 , 6(2), 167-188.

김경미, 류승아, 최인철. (2011). 중년기 여가생활이 행복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 심리학회지, 17(4), 415-434.

김경순, 이근매. (2003). 집단미술치료가 노숙알코올중독자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적절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0.(-), 157-178.

김동연 (2002). 미술치료에서의 미술 그리고 치료. 한국미술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40(2), 1-8.

김명소, 한영석. (2006). 중년여성의 삶의 질과 행복.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6(1), 204-205.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김명자 (1989).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남성과 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김명자, 박성연. (1989).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7(1), 97-118.

김보라 (2010). 한국어 정서유발 단어집의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김선현 (2006). 통합의학에서의 미술치료의 역할에 관한 연구 : 한·독·미·일 미술치료 프로그램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김영숙 (2006). 중년기 여성의 내외통제성과 자아존중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대학원.

김영숙, 최균련. (2006). 중년기 여성의 내외통제성과 자아존중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대학원.

김우영 (2014). 명화감상을 활용한 유아의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전남대학교 대학원.

김태현, 김양호. (2003). 중년남성의 남성의식, 직장생활 및 가족생활과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8(1), 99-120.

김혜경 (2013). 노인과의 긍정적 교류경험이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10(4), 45-68.

박기정 (2008). 미술치료가 중년여성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박선영, 권석만. (2012).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불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박선영 (2013). 남자 중학생의 정서조절방략 및 자기조절 능력과 행동문제의 관계 : 자기보고와 교사보고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애경 (2002). 중년기 위기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접근. 나사렛대학교 신학대학원.

손지원 (2015). 중년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은선 (2013). 노인과 청년 집단의 정서조절 속도 비교.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지숙 (2014). 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가한 저소득층 초등학생의 경험분석 : 진로발달, 진로장벽,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방혜선 (2012). 명화 감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송덕순 (2005). 노인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에 관한 연구 : 우울감과 심리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대학원.

송주연 (2010). 양극성 장애 환자의 자살 시도와 연관된 위험요인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송진영 (2009). 중년 취업남성의 다중역할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 사회복지조사연구. 22(-),

59-81.

신기영, 옥선화. (2000).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가족역할과 직업역할의 보상 / 비용에 따른 심리적 복지. 대한가정학회, 38(8), 29-51.

심미성 (2006). 스트레스 완충자원으로서 삶의 의미의 역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홍주연 (2010). 말(馬) 심리치료 요인의 질적 분석에 근거한 치료적 요인 척도 개발.

대구대교 재활과학과.

안영미 (2002). 노인의 삶의 의미와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안정신 (2005). 중노년기 미국성인들의 심리적 복지감 : 전생애 발달과정의 부모자녀관계와 생산감 발달의 영향. 韓國老年學, 25(2), 245-266.

오동숙 (2002). 중년여성의 사회봉사 활동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수준의 비교 연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오정숙. (2001). 울산광역시 사회복지계획의 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원두리 (2005). 한국판 삶의 의미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2), 211-225.

원두리, 김교헌, 권선중. (2005). 한국판 삶의 의미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2), 211-225.

유지은 (2013). 중년여성 리듬운동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강원대학교 대학원.

유혜신 (2008).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윤미랑 (2013). 태교 집단미술치료가 시설 미혼모의 심리적 안녕감과 모-태아애착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윤혜란 (2004). 명화감상이 유아의 미술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홍창희 (1996). 국민학교 미술과 회화 감상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 4, 5, 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이경은 (2012). 일상에서의 '언어적 착시'에 따른 실험 디자인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이경화 (2003). 이미지텍스트로서의 회화(繪畵)와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 본인작품과 연계하여. 수원대학교 대학원.

이경희 (2005). 어린이박물관에서의 미술감상을 위한 체험적 전시의 인기도 및 효과에 관한 연구. 博物館學報, -(9), 35-58.

이기숙, 김현지. (2002). 중년기 남성의 사회관계망과 심리적 복지감.

대한가정학회, 40(6),133-144.

이미선 (1985). 주부의 자아존중감과 가사노동에 대한 태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 23-34.

이상화 (2009). 우울성향을 가진 청소년의 명화감상을 중심으로 한 수용적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이수경, 이부미. (2006).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아를 위한 명화감상프로그램 모형개발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28(-), 267-295.

이은혜 (2012). 장애아동 어머니의 행복증진을 위한 통합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19(4),809-836.

이춘희 (2005). 운동을 병행한 의미요법이 노인의 생의 의미, 자아 통합감 및 일상 활동 수행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임효영, 김경신. (2001). 중년기 기혼여성의 사회적지원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39(12), 189-203.

장연집, 박경, 최순영. (1997). 서울: 학지사.

전경숙 (2010). 한국 중년의 안녕감 : 행복과 삶의 의미에 대한 척도 개발 및 집단 간 비교. 중앙대학교 대학원.

정미경 (2009).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페이퍼 퀼링(Paper Quilling)을 활용한 표현지도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정미경 (1999). 내적 표현으로서의 자연 풍경 : 정미경의 작품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정여주 (2003). 중증환아(重症患兒)의 그림분석 - S. Bach의 사례중심 -.

한국예술치료학회, 4(-), 23-35.

정옥례 (1996). 중년기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부부 관계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주리애 (2000). 미술치료는 마술치료. 서울 : 학지사.

지옥녀 (2003). 명화를 통한 미술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미술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천지혜 (2011). 명화를 활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최경란 (2006).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과 관련변인. 전남대학교 대학원.

최연미 (2010). 명화를 활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최유진 (2010). 상징화된 소통의 이상 공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한채정 (2009). 예술작품 감상이 감상자에게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홍미혜 (1999).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삶의 의미수준이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황수미 (2006). 명화감상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Allport. (1961). William James Psychology. Notre Dame : Univ. of Notre Dame Press. 76.

Baumeister. (1991). Meanings of life. Includes bibliographical references, p. 397-417.

Baumeister, Vohs. (2002). The collective invention of language to access the universe of possible ideas. The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25(6), 675.

Bayles & Orland. (1993). Art & fear : observations on the perils (and rewards) of artmaking. Santa Barbara, CA : Capra, c1993

Broudy. (1988). Images, Words, and Thoughts. Reading Psychology, 9(4). 315-321.

Crandall. (1975). A Scale for Social Interest. The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31(2),187-196.

Crumbaugh. (1996). Logotherapy Revisited As Love Therapy. International Forum for Logotherapy, 19(1), 9-14.

Davis. (2000). Congruence of self, parent, teacher and peer perceptions of social competence in the early school age child. University of Washington.

Debats. (1995). Experiences of meaning in life: A combin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The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6(3), 359.

Eisner. (1972). Educating artistic vision. New York : Macmillan.

Emmons. (2003). More than blue: Discourses of/on women and depression.

University of Washington.

Frankl. (1959). The Spiritual Dimension in Existential Analysis and Logotherapy.

The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15(2), 157-166.

Frankl. (1980). Characteristics of Temporal Price Behavior of Long-Term Corporate Bonds.REVIEW OF FINANCIAL ECONOMICS, 16(2), 43-56.

Frankl. (1959).The Spiritual Dimension in Existential Analysis and Logotherapy.

The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15(2), 157-166.

Frankl. (1967). Psychotherapy and existentialism : selected papers on logotherapy.

Frankl. (1967). Man's search for meaning : an introduction to logotheraphy.

台北 : 敦煌書局, c1967.

Frankl. (1965). Psychological scaling of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The Proceedings of the Iowa Academy of Science, 72(-), 366-371.

Eisner. (1972). Educating artistic vision. Includes bibliographical references and index.

Guttmann. (1996). Logotherapy for the helping professional : meaningful social work. New York : Springer Pub. Co., c1996

Kiang, Fuligni. (2010). Meaning in Life as a Mediator of Ethnic Identity and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from Latin, Asian, and European American Background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9(11), 1253-1264.

Klinger. (1997). Autism : understanding the disorder. New York : Plenum Press.

Kramer. (2000). Aristide Maillol (1861--1944) : Pioneer of modern sculpture (France).

New York University.

Malchiodi. (2002). The soul's palette : drawing on art's transformative powers for health and well-being. Boston : Shambhala ; Distributed in the United States by Random House.

Malchiodi. (2002). Embracing Our Mission. Art Therapy, 15(2), 82-83.

New York, Washington Square Press, p 223-229.

Reker. (1988). Counseling families. Bibliography, p.192-206.

Wong. (1989). Cognitive and metacognitive aspects of learning disabled adolescents'.composing problems. Learning disability quarterly, 12(4), 300-323.

Reker. (1989). Differentiation of Adolescent Activity Participation.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0(3), 323-336.

Rogers. (1993). RACE AND THE DISCOURSE OF NATURE IN THE ART OF THE AMERICAS, YALE UNIVERSITY.

Ryff. (1989). Beyond ponce de Leon and life satisfaction : New directions in quest of successful ageing. Psycscan Developmental psychology, -(10), 37.

Ryff. (1989). Beyond Ponce de Leon and Life Satisfaction: New Directions in Quest of Successful Ag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2(1), 35-55.

Seligman. (2002). Authentic happiness :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Includes bibliographical references and index.

Seligman. (2002). Authentic happiness :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ATRIA Paperback.

Singer. (1998). Developing Critical Viewing Skills and Media Literacy in Children.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557(-), 164-179.

Steger, Frazier, Oishi and Kaler. (2006).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Assessing the Presence of and Search for Meaning in Lif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3(1), 80-93.

Wadeson. (2010). Art psychotherapy. Hoboken, N.J.: John Wiley & Sons, c2010.

Waterman. (1984). The psychology of individualism. Bibliography, p. 171-196.

Wilson. (2011). Transforming the role of the leadership educator: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the use of the social change model of leadership developmen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Education.

Yalom. (1980). Existential psychotherapy.I ncludes bibliographical references and index.

Yalom. (1980). Existential psychotherapy. New York : Basic Books.

국문초록

의미요법을 활용한 명화감상 집단미술치료가 중년여성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 향 숙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지도교수 김 승 환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의미요법을 활용한 명화감상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함으로 써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중년 여성들이 자신 들의 삶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도록 도우며 인생의 재출발을 위한 에너지를 삶에서 되찾 고 희망찬 미래의 노년기를 준비할 수 있도록 의미요법을 통하여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 감을 증진할 수 있도록 명화감상 미술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중년여성에게 의미요법을 활용한 명화감상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시행함 으로써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질 수 있고 삶에 대한 기쁨과 희망을 되찾을 수 있으리라는 가설 아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M시의 C상담센터를 이용 중인 중년여성 24명(실험집단 12명, 비교집단 12명) 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7년 5월 15일부터 7월 31일까지 매주 1회, 120분씩 사전·사 후검사 변화를 포함하여 총 12회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양적 분석으로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의 동질성 검증으로 t-test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사후검사 변화는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통해 집단미술치 료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7-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