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명화감상과 심리적 안녕감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4-47)

E. 명화감상(notable painting appreciation)

3. 명화감상과 심리적 안녕감

명화감상을 작품을 매개체로 본다면 이는 물질을 대상으로 취하는 것 뿐 아니라 하나의 새로운 창조적 행위가 된다. 창조행위 자체로도 보편적인 원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해 속에서 보다 본질적인 가치를 찾아가게 된다. 이는 일상의 생활에서 명확하게 경험하지 못했던 사물 의 아름다움과 삶의 패턴을 명확하게 인지하도록 해 준다.

따라서 명화감상은 인간의 사고와 정서를 종합할 수 있는 활동이다. 이는 단순히 감각적 반응만이 아니라 감상자의 인격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심리적 정신적 활동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를 한 두 번의 감상적 지각으로 끝내는 것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새로운 미에 대한 감상을 통하여 찾아내어야 한다고 보았다. Ryff(1989)는 한 개인이 ‘행복’하고 ‘만족’하고 있

는 정도가 삶의 질을 대표한다는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기존의 측정이 현재의 정서적 결과 물만을 반영할 뿐 긍정적 심리상태의 특성과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이론적 한계점을 제시하면서 기존의 자아관련 이론들 (Maslow, Rogers, Jung, Allport)을 근거로 성 인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6개의 하위요인을 포함한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새롭게 정의하였다.

특히, 이 개념들은 ‘자신의 삶과 자아에 대한 인지적인 평가’와 ‘긍정적인 심리적 기능’을 강 조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개인의 중요한 심리사회적 자원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심리적 안녕감의 6개의 하위요인으로 자아수용(self-acceptance), 개인의 성숙(personal growth), 자율성(autonomy), 인생의 목적(purpose in life), 환경의통제(environmental mastery), 타인과 긍정적인 관계(positive relations with other)가 있다(Ryff, 1989; 송진영, 2009에서 재인용). 그렇다면 명화감상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연결시켜 본다면 어떤 정서 적 심리를 찾을 수 있을까? 명화를 감상한다는 것은 다양한 인간상을 이해하고 삶의 방식을 지각하는 교육의 장이 될 수 있다.

특히, 명화 작품 안에서 예술가의 사상과 삶의 방식을 만남으로서 작품을 감상하는 이는 작품 안에서 사상적인 면과 감각적인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감동하게 됨으로서 작가가 가졌 던 인간의 고유한 장점과 개성적인 특성을 이해함으로서 자아 수용을 배우게 되고 동시에 예술가와 자신뿐만 아니라 그들 작품 속에서 창조된 다양한 주인공과 사물을 만남으로서 여 기에 비추어 자기수용과 자기 개성을 계발하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명화를 통하여 다 양한 문화와 세계를 이해하는 장이 된다. 이는 자국은 문화는 물론 동서양 여러 나라 미술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효과를 통하여 국제적 문화의 교류의 기회를 갖는다. 이를 통해 자기 정 체성을 확립함으로서 심리적 안녕감에서 뚜렷한 자아수용과 환경의 통제, 개인적 성숙에 이 르게 된다. 명화감상은 인간이 살아있음을 인식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된다. 이를 통해 인생의 목적을 지향하게 되어 인간의 감정에 있어서도 질적 발달과 삶속에서 독특한 경험을 체험하 도록 안내한다(Eisner,2003재인용).

명화감상을 통하여 미술적 비평 활동은 삶의 방식에서 자율성을 성장시킬 수 있다. 특히 명화의 색, 선, 형태와 관련된 다양한 변화를 보면서 인간이 사물에 대한 특정방식으로 이해 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압력에 의해 지배를 가져올 수 있지만 자신이 보는 감상을 통하여 개 인적 기준에 대한 신념을 가질 수 있어 자율성을 성장시키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사람의 표현에 관심을 기우리면서 나와 다른 타자를 이해하고 존중함으로서 타인과의 긍정 적 공감과 친밀감을 느낄 수 있다(구현주, 2002 재인용).

명화감상은 색과 관련해서 인간에게 다양한 감정적 효과를 가져 다 준다. 이를 민감하게 인식할 수 있다면 자신의 감정을 쉽게 알아차리게 될 뿐 아니라 자기 성찰과 개인적 성숙을

가져 올 수 있다. 색과 사물은 인간의 일상의 삶을 감각의 통합을 통해서 색에 대한 감정의 효과를 통하여 색의 고유성 뿐 만 아니라 심리적 환경과도 연관성을 갖는다. 따라서 복잡한 외부활동을 잘하기 위해서는 주위의 명화의 적절한 배치를 적용한다면 심리적 안정감에서 환경의 통제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우리가 명화를 통해 바라본 색과 형태는 인간의 사고와 지각, 신체적 감각을 표현하기도 하 지만 심리적 환경과 그 통제에도 관계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뜻하고 평온한 색을 보면 인간의 감정은 부드러워 진다. 허나 차갑고 거친 색채를 지속적 으로 본다면 인간의 그 환경에 계속 노출될 경우에는 외부세계에 압도당하는 결과를 초래하 고 만다.

인간이 자신의 주위의 환경을 기회와 효과로 사용한다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주 변의 환경을 변화시키거나 통제할 수 없다고 생각하면 인간은 그곳에서 좌절을 경험하게 된 다. 이는 외부세계에 대한 통제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명화감상은 그 감상을 통하여 문제해결 방법을 이해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자신과 관련된 체제에 대한 이해와 견문이 확 장됨으로서 작품 간의 비교를 통해 문제를 새롭게 인식하고 거기에서 문제해결 방법도 자연 스럽게 터득하게 된다. 이처럼 명화감상 활동은 미적 생활을 통한 문화적 성장과 미래사회에 로 적응하도록 도와준다.

인생의 목적은 삶의 목표와 방향 감각을 찾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우리는 명화 감상을 통 하여 자신의 삶과 예술작품을 견주어 보면서 어떤 면에서 일치를 체험할 경우 자신의 문제 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를 마련한다.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지 못한 체 놓아둔다면 반복되고 전이적 근거를 마련함으로서 자신의 지난 과거의 경험 속에서 인생의 목적이 부정적이고 목 표에 대한 방향감각을 상실하는 경우가 있다. 허나 명화감상을 통하여 미적상징 안에서 인생 의 목적에 대한 신념과 방향이 긍정적 정서를 체험하게 되면 감상자는 이 내면화를 통하여 삶에서 부끄러움과 수치, 좌절의 감동을 갖지 않게 되어 자신의 삶의 뚜렷한 인생의 목적을 찾아 갈 수 있다(박창숙, 1994 재인용).

대상 연령 학력 결혼상태 여가활동 개인적 특성 & 중요하게 여기는 것 A 47 고졸 이혼 매일 우울증, 경제적 어려움

B 58 고졸 기혼 주 1회 건강, 가족화목, 혼기 찬 자녀 결혼 지연 C 56 전문

대졸 사별 전혀 못함 경제적 어려움, 혼기 찬 자녀 결혼지연, D 51 전문

대졸 이혼 주 2회 부모부양부담, 경제적 어려움, 갱년기 증상 E 45 전문

대졸 기혼 전혀 못함 경제적 어려움 F 55 중졸 기혼 주 1회 신체적 건강어려움 G 47 전문

대졸 기혼 전혀 못함 자신의 성취에 대한 만족감 기회에 대한 충돌 H 47 고졸 기혼 주 1회 질병, 갱년기 증상, 자녀독립 지연

I 59 초졸 기혼 주 2회 부부갈등, 신체적 건강

J 59 초졸 기혼 주 2회 부부갈등, 혼기 찬 자녀 결혼 지연 K 47 대졸 기혼 전혀 못함 부부갈등, 갱년기 증상, 경제적 어려움 L 59 대졸 미혼 주 1회 공동생활, 환경에 변화에 따른 어려움

Ⅲ. 연구 방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