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5-85)

의 향후 부정적 자동적 사고 개선에도 효과적인지 입증할 필요가 있다.

셋째, 특수학교 중·고등학교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 참여한 학 생과 다른 학교 급의 학생, 일반학교 특수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 요하다.

넷째, 부정적 생각 바꾸기 집단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긍정적 자동적 사고에도 유 의미한 영향을 미쳤을지에 대한 후속 연구와 이 프로그램을 통한 긍정적 자동적 사고와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타인과의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학습 내용을 결과물로 표현할 수 있는 학 생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인지수준이 낮거나 의사소통이 어려운 학생들의 수준에 알맞게 부정적 생각 바꾸기 집단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여 소외 되는 학생 없이 진로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야 한다.

참 고 문 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교육부 (2015). 세종: 교육부.

교육부 (2017). 세종: 교육부.

권석만, 윤호균 (1994). 한국판 자동적 사고척도의 개발과 활용.

(1), 10-25.

김경신, 김미경 (2013).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진로태 도에 미치는 효과. (1), 175-194.

김다래 (2016). 협동학습 구조를 적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통합학급 비장 애학생과 지적장애 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서 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동인 (2017).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발달장애학생의 진로성숙 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옥 (2015).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발표불안과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의 매개효과. (3), 361-373.

김선민, 김종남 (2016).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이 저소등층 아동·청소년의 우울과 자동적 사고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1), 181-208.

김영기 (2016).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 능감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진 (2015). 마음챙김 주의 알아차림이 대학생의 자동적 사고, 우울에 미치는

영향. (4), 1-23.

김은하, 박승희 (2013). 개인중심계획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 학생의 진로태도, 성취동기 및 교육계획 자기효능감과 성과기대에 미친 효

과. (2), 41-69.

김지은, 이민규 (2015). 청소년의 외상경험이 사회 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 지각 긍정성 수준에 따른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1),

129-146.

김진호 (2016).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진로교육을 위한 국가교육정책 고찰과 진

로교육 개선방향 탐색. (2), 25-48.

김춘덕 (2017). 구직역량강화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 학생의 진로 성숙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충기 (1989). 서울: 배영사.

김충기, 황인호, 장성화, 김순자, 윤향숙(2011). 서울: 동문 사.

김형일 (2014). 서울: 학지사.

나운환, 이민규, 정명현 (2002).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사회적 기술

에 미치는 효과. (4), 79-106.

문경주, 오경자, 문혜신 (2002).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자동적 사고척도(K-CATS)의 타

당화 연구. (4), 955-963.

박순길, 박현옥, 조정연 (2014). 서울: 학지사.

박희찬, 이효자, 장병연 (1998). . 안산: 국립특

수교육원.

법제처 (2018). 국가법령정보센터(www.law.go.kr).

서수균, 권석만 (2005). 비합리적 신념, 자동적 사고 및 분노의 관계.

2), 327-339.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5). . 서울: 저자.

석민정, 오인수 (2014). 중학생이 인식한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자동 적 사고 및 분노의 관계. (3), 491-511.

송준만, 강경숙, 김미선, 김은주, 김정효, 김현진, 이경순, 이금진, 이정은, 정귀순

(2016). 서울: 학지사.

송한나, 강영심 (2007). 진로탐색집단상담이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진로의식에 미치 는 효과. (2), 37-57.

신진숙 (2012). 파주: 양서원.

안나영, 유영달 (201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우울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5), 3201-3215.

안영덕 (2014). 진로·직업교육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 는 효과.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은화 (2012). 대학생의 분리-개별화가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자동적 사 고의 매개 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승주, 최세민 (2015). 인지행동이론을 기반으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소년원재소 비행청소년의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공감능력에 미친 영향.

(38), 121-146.

유선미, 김정민, 강향운 (2018). 청소년의 비합리적 시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 향: 자동적 사고,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및 사후반추사고의 매개효과.

(1), 85-104.

이선민 (2018). 미술치료를 활용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 학생의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한남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아, 박승희 (2014). 협력교수를 통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 들의 진로성숙도와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1), 245-271.

이은경, 권정혜 (2015). 마음상태분석모형에 따른 경조성·우울성향·통제 집단의 자 동적 사고 비교: 여자고등학생을 대상으로. (3), 477-499.

이장호, 정남운, 조성호 (2001). 서울: 학문수.

이정하, 정현희 (2015). 지적장애청소년의 진로탐색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2), 339-361.

이지아 (2017).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진 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향종 (2017).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13), 295-314.

이혜주, 김종남 (2014). 긍정심리치료가 여고생의 자동적 사고, 정서 및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5), 85-114.

이효자, 임두순, 박희찬 (1997). . 안산: 국립특

수교육원.

임은경 (2015).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 기효능감과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미영 (2013). 다중지능이론에 근거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중학교 지적장애학생 의 진로태도 및 진로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장세희 (2013). 영화치료를 활용한 진로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진로태도 및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은주 (2004).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의사결정 변화와 진로 성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경연, 김홍석, 이정희 (2013). 대학생의 타인에 대한 열등감과 진로적응의 관계 에서 긍·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7), 149-174.

정민 (2013).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대한 성격, 사회적 기술, 부정적 자동적 사고 및 수줍음 의 매개효과. (3), 1995-2010.

정은지, 권희주 (2018). 직업훈련교사가 경험한 장애학생의 직업·진로교육에 대한

질적연구. (1),

296-296.

정현구 (2017). 도예활동 진도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가희 (2017). 중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전환지원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진로성숙 도와 진로스트레스 및 경도 지적장애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 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인수 (2000). 대구: 대구대학교출판부.

진효정 (2013). 학령기 발달장애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부모요구. 동국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진희정 (2017). 진로탐색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자아개념 및 진로태 도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윤경 (2018). 마을교육공동체 기반의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성인 전환기 지적장애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윤정 (2012).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진로교육을 위한 직업카드 개발연구. 한국교 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육개발원 (1982).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심리학회 심리검사심의위원회 (2011). 서울:

학지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세종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청소년개발원 (2009). 파주: 교육과학사.

홍하나, 조용래 (2015). 부정적인 자기 속성에 대한 염려가 발표불안반응에 미치는 효과: 발표관련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3), 449-476.

황순영, 박미나, 이후희 (2016). 중학교와 고등학교 특수학급 진로·직업교육에 관한 학부모 인식 분석. (4), 109-130.

Bailey, L. J. & Stadt, R. W. (1973). Career Education: New Approach to

Human Deveiopment. Bloominton, Ill.:McNight Publishing Co.

Beck, A. T.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York: Harper & Row.

Beck, A. T. (1976).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 New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Beck, A. T. (1987). Cognitive models of depression. Journal of Cognitive Psychotherapy, 1(1),5-37.

Beck, A. T. & Emery, G. (1985). Anxiety disoders and phobias: A cognitive Perspective. New York: Basic Books.

Corey, M., & Corey, G. (1993b). Difficult group members-Difficult group leaders. New York State Journal for Counseling and Development, 8(2), 9-24.

Hoyt. K. B. (1974). An Introduction to Career Education: A Policy Paper of the U.S. Office of Education. U.S Dep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Ingram, R. E., & Wisnicki, K. S. (1988). Assessment of positive of the automatic cogni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 898-902.

Kendall, P. C. & Holln, S. D. (1981). Assessing self-referent speech:

Methods in measurement of self-statements. In P.C. Kendall, & S.

D. Hollon(Eds.), Assessment Strategies for Cognitive – Behavioral Inventions(pp.85-118). NewYork: Academic Press.

부 록

<부록1> 차시별 지도안

첫 번째 시간 - 부정적 감정 알아보기 ‘너무 부정적이에요!!’

활동

목표 부정적 별칭을 만들어보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준비물 활동지, 필기도구

과정 활동내용 시간

도입

▸환영 및 인사나누기 -교사 소개 및 학생 소개 -활동에 대한 소개

▸약속정하기

-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우리가 지켜야할 약속 정하기 1. 서로 돕고 존중하기

2. 활동 중에 있었던 일 밖에 이야기 하지 않기

3. 다른 학생이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할 때 끼어들지 않기 4. 활동에 빠지지 않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5. 활동이 끝나기 전에 먼저 나가지 않기

10′

전개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

-부정적 생각→부정적 감정→부정적 행동 -교사 경험에 비추어 프로그램 설명하기

▸부정적 생각의 경험 이야기하기 -학생들의 경험 이야기하기

▸가상의 인물에게 부정적 별칭 붙여보기 (부정이)

-가상 인물에 대해 알아보고 교사와 함께 부정적 별칭 붙여보 기

-가상 인물에 대해 부정적 별칭 붙여보기

-가상 인물에 대해 부정적 별칭을 붙인 이유 이야기하기

▸부정적 별칭을 생각했을 때의 느낌 나누기

-학생들의 부정적 별칭을 듣고 느껴지는 감정과 나타날 행동 에 대한 자신의 생각 나누기

25′

정리

▸이번 차시 요약하기

▸소감 나누기

-이번 차시에서 가장 특징적이고 기억에 남는 활동이나 단어 이야기 하기

▸차시예고하기

-‘반대로 생각해볼까요?’

5′

두번째 시간 – 긍정적 생각의 중요성‘반대로 생각해볼까요?’

활동 목표

1. 긍정적 별칭을 만들어보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2. 자신에 대한 긍정적 별칭을 만들어 볼 수 있다.

준비물 활동지, 이름표, 필기도구

과정 활동내용 시간

도입

▸지난 시간 내용 상기하기

-지난 시간에 했던 ‘부정적 별칭 붙여보기’ 활동에 대해 이야기 하기

▸오늘 활동에 대한 안내하기

-‘반대로 생각해볼까요?’ 긍정적 별칭 붙여보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 별칭 만들기

5′

전개

▸가상의 인물에게 긍정적 별칭 붙여보기 (긍정이)

-가상 인물에 대해 알아보고 교사와 함께 긍정적 별칭 붙여보 기

-가상 인물에 대해 긍정적 별칭 붙여보기

-가상 인물에 대해 긍정적 별칭을 붙인 이유 이야기하기

▸긍정적 별칭을 생각했을 때의 느낌 나누기

-학생들의 긍정적 별칭을 듣고 느껴지는 감정과 나타날 행동 에 대한 자신의 생각 나누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 별칭 만들기

-오늘부터 달라질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며 긍정적 별칭 만들 기

-서로 격려하기

▸긍정적 별칭 이름표 만들기 -자신의 이름표 소개하기

▸긍정적 별칭에 대한 확신을 갖고 외치기 -각자 별칭을 큰 소리로 외치기

30′

정리

▸이번 차시 요약하기

▸소감 나누기

-이번 차시에서 가장 특징적이고 기억에 남는 활동이나 단어 이야기하기

▸차시예고하기

-‘부정적 고정관념 찾기’

5′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5-8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