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의 요약과 남은 문제

이 연구는 다문화 현상에 관한 국어 의식 교육의 가능성을 가늠하는 작업이었 다. 비판적 언어인식의 관점에서 다문화 현상을 표상한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인 식할 수 있는 국어교육적 방안을 마련하는 첫걸음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어 의식 교육과 다문화 현상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국어 의식 교육은 언어인식 연구 담 론을 기반으로 세부 교육 내용이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언어인식의 하위 영역 가 운데 하나인 비판적 언어인식은 힘의 관계에 대한 현상의 이면적 의미를 살펴보 는 데 유용하다. 다문화 현상 또한 힘의 관계에 따라 다수자와 소수자의 관계가 형성되는 현상인바, 국어 의식 교육의 세부 내용으로서 구체화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비판적 언어인식의 대상으로서 다문화 현상을 표상하는 텍스트의 유 형을 살펴보았다. 비판적 언어인식은 국어교육의 중핵적 목표 가운데 하나인 비 판적 사고와 교집합을 형성한다. 국어교육이 텍스트를 중심으로 실천되는바, 비 판적 언어인식은 대상 텍스트의 유형이 설정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텍스트 유 형은 구조 중심이나 기능 중심의 전통적인 텍스트 분류법이 아닌, 언중의 의식을 중심으로 그 경향성을 바탕으로 체계화될 수 있다.

끝으로 교육 내용으로서 국어 의식을 가늠하기 위해 신문 텍스트를 분석하여

언중이 다문화 현상을 인식하는 방식을 예시하였다. 신문 텍스트는 다문화 현상 을 시의적으로 드러내는 주요 대상 가운데 하나이다. 이 연구는 신문 텍스트가 중 심 어휘의 사용에 의해 표현자의 의도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주목하여, 비판적 담 화분석과 틀 이론을 바탕으로 ‘텍스트(어휘의 틀) - 담화 관행(틀이 부각하는 의 미) - 사회문화적 관행(텍스트에 배태된 사회적 힘의 관계)’이라는 분석 요소를 마련하였다. 이를 적용하여 ‘다문화’ 관련 어휘가 사용된 신문 텍스트를 비판적으 로 분석하여 ‘다름의 가치, 차별의 인식’이라는 국어 의식의 예를 확인하였다.

일련의 논의는 국어교육에서 국어 의식 교육이 다문화 현상과 관련하여 실행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꾸준히 지적되어 온 국어 의식 교육의 추상성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다문화 현상과 관련지어 제안해 본 것이다. 그럼에도 이 연구가 시론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보니, 다문화 현상에 관한 국어 의식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확정하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지닌 다. 추후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고자 두 가지의 후속 연구 과제를 아래와 같이 제 시하고자 한다.

첫째, 국어교육에서 국어 의식의 내용 범주를 체계화하는 논의이다. 국어 의식 은 다양한 국어 현상을 어떻게 인식할 것인지의 문제와 관련된다. 다양한 국어 현상을 범주화하는 방안은 여러 접근 방법이 있겠지만, 학습자의 국어 사용과 삶 을 고려한다면 학습자에게 당면하고 있는 혹은 당면할 사회문화적 현상과 관련 짓는 일이 필요하다. 다문화 현상 또한 그러한 사회문화적 현상 가운데 하나임 은 물론이다. 이런 점에서 학습자의 삶을 면밀히 살피고 이를 구조화할 수 있는 내용 범주의 체계를 수립하는 일은 국어 의식의 교육 내용을 확충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둘째, 국어 교재 및 교수-학습 현장에서 실천되는 다문화 현상에 관한 국어 의 식을 포괄적으로 살피는 논의이다. 다문화 현상은 이미 교육 현장에서 일반화된 지 오래다. 그것은 한국 사회의 다문화적 전환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국어 교재와 교수-학습 현장에서 아직 연구되지 못한 다문화 현상, 특히 비판적 관점 에서 적용할 수 있는 대상이 산재해 있다. 이를 국어 의식의 논제로 수렴하여 구 체적인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일이 필요하다. 특히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비판

적 언어인식의 관점을 온전히 적용한 국어 의식의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시도 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더 나아가 국어과를 넘어 범교과에 걸친 다문화 현상에 관한 국어 의식의 교육 내용을 마련해 나가는 주춧돌이 될 것이다.

교신: 김규훈(대구대학교 자유전공학부 조교수)(rbgns81@daegu.ac.kr)

Correspondence: Kim, Kyoo Hoon(Assistant Professor, Daegu University)(rbgns81@daegu.ac.kr)

2020.04.17 접수, 2020.04.23 심사, 2020.05.12 게재확정

참고문헌

고춘화, 2013, 국어 의식의 개념화와 교육적 해석, 국어교육학연구, 47, 153-185.

교육부, 2015,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국민일보, 2019.10.09, 외가는 남성 중심 표현 … 혼혈아·다문화는 배타적 용어.

김규훈, 2019a, 표현 의도를 탐구하는 어휘 교육의 설계 요소 탐색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의 체계화를 위하여-, 국어교육학연구, 54(3), 5-33.

김규훈, 2019b, 문법교육에서 ‘국어 의식’의 교육 내용 체계화 방안 -‘언어인식(language awareness)’의 전이를 중심으로-, 우리말글, 83, 1-26.

김병건, 2016, 신문의 사설 · 칼럼에 나타난 ‘진보’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 사회언어학, 24(1), 65-90.

김봉순, 2010, 국어교육을 위한 텍스트 분류 체계 연구 -읽기와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국어 교육학연구, 39, 169-209.

김유미, 2014,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읽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은성, 2005, 비판적 언어인식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 15, 323-355.

김은성, 2018, ‘국어에 대한 태도’ 교육의 현황과 새로운 전개, 한말연구, 50, 5-34.

김진희, 2018, 문법 태도 교육 내용으로서 ‘국어 사랑과 국어 의식’에 대한 비판적 소고 -국어 과 교육과정 및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양상을 중심으로-, 한말연구, 50, 35-59.

김혜영, 2012, 다문화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 분류: 소설과 시 텍스트를 중심으로, 새 국어교육, 90, 261-284.

문종철, 2016, 비판적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비판적 담화분석 활용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백선기 외, 2010, 감성광고의 담론적 구성과 사회적 함축 의미, 한국광고홍보학보, 12(1),

37-83.

Ali, Shamin, 2011, Critical language awareness in pedagogical context, English Language Teach-ing, 4(4), 28-35.

Bolitho, Rod, et al, 2003, Ten questions about language awareness, ELT Journal, 57(3), 251-259.

Clark, Romy and Roz Ivanič, 1999, Raising critical awareness of language: A curriculum aim for the new millennium, Introduction to critical language awareness, 8(2), 63-70.

Facione, Peter, 1990, Critical thinking: A statement of expert consensus for purpose of edu-cational assessment and instruction,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 Delphi Report, ERIC, ED315423.

Fairclough, Norman, 1992, Discourse and social change, Cambridge: Polity Press.

Fairclough, Norman, 1995, Media discourse, 대중매체 담화 분석, 이원표 옮김, 2004, 한국문 화사.

Fairclough, Norman, 2013,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critical study of language(2nd Ed.), London: Longman.

Fairclough, Norman.(ed), 1998, Critical language awareness, London: Routledge.

Giddens, Anthony, 2009, Politics of climate change, Cambridge: Polity Press.

Goffman, Erving,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 Row.

Haugen, Einar, 1972, The ecology of language,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Hope, Mat, 2010, Frame Analysis as a Discourse-Method: Framing ‘climate change politics, Proceedings of Post-Graduate Conference on Discourse Analysis, Bristol.

Lipman, Matthew, 2003, Thinking in education, 고차적 사고력 교육, 박진환 외 옮김, 2005, 인간사랑.

Minsky, Marvin, 1975, A framework for representing knowledge. In Winston, Patric Henry &

Horn, Berthold, The Psychology of Computer Vision, New York: McGraw Hill.

Pang, Valerie Ooka, 2001, Multicultural education: A caring-centered, reflective approach, Co-lumbus, OH: McGrawHill.

Stibbe, Arran, 2015, Ecolinguistics: Language, ecology and the stories we live by, London: Rout-ledge.

Van Dijk, Teun A., 2009, Multidisciplinary CDA: a plea for diversity. In Wodak, Ruth & Mey-er, Michael (ed.), Methods of critical discourse studies, 95-120, London: Sage.

A Possibility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Education for Multi-cultural Phenomenon Based on Critical Language Awareness Perspectives

-Kim, Kyoo Hoon*

Abstract_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a possibility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education for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on a basis of critical language awarenes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finds out a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awareness education and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Korean language awareness educational contents could be arranged by the studies of critical language awareness. And then, this study grasps the text types representing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as an object of the critical language awareness. These text types could be systematized not by traditional text categorization but by the tendency of the awareness of language user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n example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for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as the educational contents by the critical ana-lyzing the newspaper texts. Especially, this study shows a way of the awareness by analyzing texts which has the related vocabulary, “mutli-culture”.

Keywords_ Korean Language Awareness, Korean Language Education, Multi-cultural Phenomenon, Critical Language Awareness, Korean Lan-guage Awareness for Multi-cultural Phenomenon

* Daegu University, S-LAC, Assistant Professor, rbgns81@daegu.ac.kr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