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연구는 비교적 건강한 한국 중년 성인을 대상으로 수면 시간, 잠들기 어 려운 정도와 수면 매개 변수로 측정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양상을 파악하 고, 이러한 수면 양상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 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수면 양상 즉, 수면 시간, 잠들기 어려운 정도,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양상을 파악하였다.

셋째, 수면 시간, 잠들기 어려운 정도,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위험도와 경 동맥 내중막 두께의 독립적인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의 틀

이 연구의 모형은 Figure 1과 같다.

Figure 1. Study design

2. 연구 대상자

이 연구는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심뇌혈관 및 대사질환 원인연구센터 (CMERC) 전향적 코호트 연구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12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뇌혈관 및 대사질환 원인연구센터(CMERC)에서 전향적 코호트 연구에 참여하여 검진을 완료한 만 30-64세의 비교적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CMERC 전향적 코호트 연구에 대한 전체 설명은 이전 연구에 설명되어있다(Shim et al., 2017).

분석을 위해서 최근 2년 이내 악성종양을 진단 받았거나 현재 치료 중인 사 람, 심근경색, 뇌졸중, 심부전을 진단 받은 과거력이 있는 연구 대상자를 제 외한 3,33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고,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지 않았거나 측정이 불가한 10명을 제외시켰다. 최종적으로 수면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3,322명을 최종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Figure 2).

본 연구에 포함된 모든 연구 대상자는 서면 동의서를 제출하였으며, 연세 의료원 세브란스병원 연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Figure 2. Flow chart of the participants

3. 연구 방법

첫 번째 카테고리는 코골이와 수면 중 무호흡에 관한 5개의 문항으로 점수 axis view로 Distal CCA, far wall, bulb에서부터 CCA쪽으로 1cm 이미지를 영 상으로 기록하여 Auto IMT를 측정하였다. 심전도의 R wave 상태에서 Distal CCA 부위에 Max, Mean IMT를 auto로 측정하였고, Bulb, ICA, ECA, CCA의 플라 크 유무 및 사이즈를 평가하였다. 플라크의 정의는 주변 IMT 보다 50%이상 증

4. 통계 분석

성별에 따른 연구 집단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연속 변수에 대해 서는 t-test로 분석하여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성별, 음주, 흡연, 운 동과 같은 비연속형 변수에 대해서는 카이 제곱 검정을 시행하였다.

수면 매개 변수와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비후와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 분석으로 교차비(Odds ratio)와 95% 신뢰구간을 구했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는 CIMT≥1.0mm을 종속 변수로 하고 수면 시간, 잠들 기 어려운 정도,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위험성을 각각의 독립변수로 하여 성별과 연령, body mass index, 흡연, 음주, 여성의 폐경여부를 보정하여 Model1, Model1에 다른 수면 매개 변수를 보정하여 Model2를 제시하였다.

모든 분석에 분석도구로는 SAS software version 9.4(SAS Institute, Cary, NC)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p-value 0.05 미만을 기준으로 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322명의 최종 분석 대상 중 여자가 2,171명(34.65%)으로 남자(N=1,151 명, 65.35%)보다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여자 51.57±9.01세, 남자 49.70±10.41세 보다 많았다. CIMT는 전체 대상자의 평균이 0.79±0.14mm 였으며, 남자는 0.80±0.14mm로 여성(0.79±0.14mm) 보다 조금 더 두꺼웠 다. 평균 수면 시간은 7-8.9시간의 적정 수면 그룹이 1,755명(52.83%)으로 가장 많았고,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고위험군은 전체 635명(19.11%)으로 남자는 320명(27.80%), 여자는 315명(14.51%)으로 남자의 비율이 더 높았다 (Table 1).

Variables Total Male Female

p-value (n=3,322) (n=1,151) (n=2,171)

Age (years) 50.92±9.56 49.70±10.41 51.57±9.01 <.0001

Body mass index (kg/㎡) 23.9±3.08 24.81±2.92 23.41±3.05 <.0001 Waist circumference (cm) 80.94±9.02 86.33±7.87 78.09±8.26 <.0001

Short (<7 hours) 1,373(41.33) 451(39.18) 922(42.47) Intermediate (7-8.9 hours) 1,755(52.83) 639(55.52) 1,116(51.40)

Long (≥9 hours) 194(5.84) 61(5.30) 133(6.13)

BQ score <.0001

Low risk (<2) 2,687(80.89) 831(72.20) 1,856(85.49) High risk (≥2) 635(19.11) 320(27.80) 315(14.51)

Difficulty in sleep initiation <.0001

None 2,298(69.18) 889(77.24) 1,409(64.90)

1+/week 1,024(30.82) 262(22.76) 762(35.10)

Hypertension(%) 895(62.41) 217(47.28) 321(32.92) <.0001

Diabetes mellitus(%) 179(12.48) 91(19.83) 88(9.03) <.0001

Smoking <.0001

Non-smoke(%) 2,297(69.15) 271(23.54) 2,026(93.32)

Ex-smoker(%) 558(16.80) 481(41.79) 77(3.55)

Current smoker(%) 467(14.06) 399(34.67) 68(3.13)

Drinking <.0001

Non-drinking(%) 854(25.71) 113(9.82) 741(34.13)

Ex-drinking(%) 137(4.12) 65(5.65) 72(3.32)

Current drinking(%) 2,331(70.17) 973(84.54) 1,358(62.55)  

Table 1. Basic characteristics by gender

*SBP:Systolic blood pressure; DBP:Diastolic blood pressure;

2. 경동맥 내중막 두께에 따른 대상자의 일반적, 임상적 특성

경동맥 내중막 두께에 따른 대상자의 일반적, 임상적 특징은 Table 2와 같 다. CIMT<1.0mm 그룹은 3,040명(91.51%)으로 CIMT≥1.0mm 그룹은 282명 (8.49%)보다 많았다. 성별에 따라 임상적으로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1.0mm 이 상을 나타내는 그룹은 남자 115명(40.78%), 여자 167명(59.22%)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더 많았다. 직업과의 차이에서 Group1:관리자와 전문가 및 관련종사 자는 850명(25.59%), Group2:사무종사자, 서비스종사자, 판매종사자는 864명 (26.01%), Group3:농림어업 종사자, 기능원 및 관련기능 종사자, 장치,기계조 작 및 조립종사자, 단순노무종사자, 직업군인, 학생/재수생, 주부, 기타는 1,608명(48.40%)으로 Group3에 직업군을 가진 대상자가 많았다. 또한 CIMT≥

1.0mm 그룹에서는 Group3 직업군이 138명(48.94%)으로 가장 많았고, CIMT<1.0mm 그룹에서도 Group3 직업군이 1,470명(48.36%)으로 가장 많았다.

Variables Total CIMT<1.0mm CIMT≥1.0mm

p-value No. of subjects 3,322 3,040(91.51) 282(8.49)

Age (years) 50.92±9.56 50.33±9.63 57.33±5.73 <.0001

Body mass index (kg/㎡) 23.9±3.08 23.78±3.07 25.1±2.91 <.0001 Waist circumference (cm) 80.94±9.02 80.56±8.95 85.06±8.76 <.0001

Non-drinking (%) 854(25.71) 790(25.99) 64(22.70)

Ex-drinking (%) 137(4.12) 130(4.28) 7(2.48)

Current drinking (%) 2,331(70.17) 2,120(69.74) 211(74.82)

Smoking 0.109

Non-smoke (%) 2,297(69.15) 2,112(69.47) 185(65.60) Ex-smoker (%) 558(16.80) 498(16.38) 60(21.28) Current smoker (%) 467(14.06) 430(14.14) 37(13.12)

Occupation 0.512

Group1 850(25.59) 772(25.39) 78(27.66)

Group2§ 864(26.01) 798(26.25) 66(23.40)

Group3 1,608(48.40) 1,470(48.36) 138(48.94)

Table 2. Basic characteristics by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SBP:Systolic blood pressure; DBP:Diastolic blood pressure; Group1: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

§Group2:사무종사자, 서비스종사자, 판매종사자; ∥Group3:농림어업 종사자, 기능원 및 관련기능 종사자,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단순노무종사자, 직업군인, 학생/재수생, 주부, 기타;

3. 수면 시간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의 관련성

Table 3에서는 전체 연구 대상자에서 수면 시간이 비교적 적정한

‘Intermediate(7-8.9 hours)’ 그룹 1755명(52.83%)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1.0mm이상인 대상자는 156명으로 8.89% 유병률을 보 였다. 그리고 나이와 성별, BMI와 흡연 여부, 음주 여부, 여성의 폐경 여부를 보정하였을 때, 수면 시간이 짧은 ‘Short (<7 hours)’ 그룹과 수면 시간이 긴

‘Long (≥9 hours)’ 그룹 간에 OR(95%CI)가 각각 0.892(0.685, 1.162)과 0.801(0.442, 1.450)이므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또한 수면 양상을 측정 하는 변수로 잠들기 어려운 정도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위험도를 추가적 으로 보정하였을 때 OR(95%CI)는 각각 0.898(0.687, 1.173)과 0.813(0.448, 1.475)이므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또한 남자와 여자의 그룹을 나누었을 때, 세부적으로 특이한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Sleep duration (h/day) No. of

people CIMT≥1.0 Odds ratio(95% CI) 

Unadjusted Model 1 Model 2

Total (n=3,322)      

Short (<7 hours) 1373(41.33) 112(8.16) 0.910(0.706, 1.173) 0.892(0.685, 1.162) 0.898(0.687, 1.173)

Intermediate (7-8.9 hours) 1755(52.83) 156(8.89) 1.00 1.00 1.00

Long (≥9 hours) 194(5.84) 14(7.22) 0.797(0.452, 1.407) 0.801(0.442, 1.450) 0.813(0.448, 1.475) Males (n=1,151)

Short (<7 hours) 451(39.18) 39(8.65) 0.745(0.495, 1.123) 0.760(0.491, 1.178) 1.003(0.717, 1.402)

Intermediate (7-8.9 hours) 639(55.52) 72(11.27) 1.00 1.00 1.00

Long (≥9 hours) 61(5.30) 4(6.56) 0.553(0.195, 1.568) 0.380(0.128, 1.126) 1.202(0.592, 2.441) Female (n=2,171)

Short (<7 hours) 922(42.47) 73(7.92) 1.056(0.762, 1.464) 0.761(0.490, 1.183) 1.025(0.728, 1.444)

Intermediate (7-8.9 hours) 1116(51.40) 84(7.53) 1.00 1.00 1.00

Long (≥9 hours) 133(6.13) 10(7.52) 0.999(0.505, 1.975) 0.390(0.131, 1.159) 1.254(0.615, 2.557)

Table 3.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CIMT thickening

Model 1 : Adjusted for age, sex, body mass index, smoking status, and dringking status, menopausal status in females Model 2 : Model 1 + difficulty in sleep initiation, obstructive sleep apnea risk score

4.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위험도와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의 관

Obstructive sleep apnea risk score No. of people CIMT≥1.0 Odds ratio(95% CI)

Unadjusted Model 1 Model 2

Total (n=3,322)      

Low Lisk(<2) 2687(80.89) 209(7.78) 1.00 1.00 1.00

High risk(≥2) 635(19.11) 73(11.5) 1.540(1.162, 2.041) 1.196(0.881, 1.625) 1.200(0.882, 1.633 Males (n=1,151)

Low Lisk(<2) 831(72.20) 74(8.9) 1.00 1.00 1.00

High risk(≥2) 320(27.80) 41(12.81) 1.503(1.002, 2.255) 1.421(0.903, 2.234) 1.418(0.898, 2.238) Female (n=2,171)

Low Lisk(<2) 1856(85.49) 135(7.27) 1.00 1.00 1.00

High risk(≥2) 315(14.51) 32(10.16) 1.442(0.961, 2.162) 1.023(0.665, 1.573) 0.987(0.638, 1.527)

Table 4. Association between obstructive sleep apnea risk score and CIMT thickening

Model 1 : Adjusted for age, sex, body mass index, smoking status, and dringking status, menopausal status in females Model 2 : Model 1 + sleep duration, difficulty in sleep initiation

5. 잠들기 어려운 정도와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의 관련성

OR(95%CI)이 1.195(0.924, 1.546)으로 OR(95%CI)가 유의수준(p<0.05)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나이와 성별, body mass index, 음주 여부, 흡연 여부,

Difficulty in sleep initiation No. of people CIMT≥1.0 Odds ratio(95% CI) 

Unadjusted Model 1 Model 2

Total (n=3,322)      

None 2298(69.18) 185(8.05) 1.00 1.00 1.00

1+days/week 1024(30.82) 97(9.47) 1.195(0.924, 1.546) 1.183(0.899, 1.556) 1.188(0.902, 1.565) Males (n=1,151)

None 889(77.24) 95(10.69) 1.00 1.00 1.00

1+days/week 262(22.76) 20(7.63) 0.691(0.418, 1.142) 0.727(0.425, 1.245) 0.774(0.451, 1.329) Female (n=2,171)

None 1409(64.90) 90(6.39) 1.00 1.00 1.00

1+days/week 762(35.10) 77(10.1) 1.647(1.199, 2.264) 1.453(1.046, 2.018) 1.458(1.047, 2.028)

Table 5. Association between difficulty in sleep initiation and CIMT thickening

Model 1 : Adjusted for age, sex, body mass index, smoking status, and dringking status, menopausal status in females Model 2 : Model 1 + sleep duration, obstructive sleep apnea risk score

Ⅳ. 고찰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 정도의 차이를 잘 반영하였다. 추가 보정 결과에 서 유의성이 존재하지 않았지만, 수면 무호흡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 경동 맥 죽상 경화증과 혈압 변동성 사이의 상관관계를 평가하고 지속적 양성기도 압력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 연구에서는 임상적 요인을 반영하여 상관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어(Jiang, et al., 2017) 이는 수면 변수들과의 상관관 계가 아닌 혈관 내피 기능 장애와 증가된 염증 반응 및 다른 임상적인 요인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전에 발표된 많은 역학 연구 및 실험 연구들은 수면 양상을 나타내는 변 수가 비만, 고혈압, 당뇨병 등의 발생과 관련이 있으며 심혈관계질환의 원인 이 될 수 있음을 밝혔지만, 본 연구에서는 수면 시간뿐만 아니라 수면 개시의 어려움과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위험도를 파악하고, 다양한 수면 변수와 경 동맥 내중막 비후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는 것이 이 연구의 강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V. 결론

본 연구는 30세 이상 64세 이하의 비교적 젊고 건강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 로 하여 수면 시간과 수면 개시의 어려움, Berlin Questionnaire로 측정한 폐 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위험도와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수면 양상을 나타내는 지표 중 수면 시간은 경동맥 내중막 두 께가 두꺼워진 정도와 관련성이 없었으며,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고위험군 에서 남자와 전체 대상자에서 혼란 변수를 통제하지 않았을 때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두꺼워진 정도와와 관련성이 있었고, 혼란 변수를 통제한 수 유의성이 사라져 추가적인 역학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 일주일에 하루 이 상 수면 유도 장애를 경험한 여자의 경우 임상적으로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두꺼워진 정도와 관련성이 있어 성인 여자의 수면의 질은 심뇌혈관 질환의 잠 재적인 위험 요소라고 추측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조유리, 김대중, 김하동, 최성희, 김수경. 한국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 치와 죽상경화증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 대한내과학회지 2003;64(3):275-283.

통계청, 2015년 사망원인통계, 2016.

Baguet JP, Hammer L, Levy P, Pierre H, Launois S, Mallion JM, Pepin JL.

The severity of oxygen desaturation is predictive of carotid wall thickening and plaque occurrence. Chest 2005;128(5):3407-12.

Bixler EO, Vgontzas AN, Lin HM, Ten Have T, Leiby BE, Vela-Bueno A, Kales A. Association of hypertension and sleep-disordered breathing. Arch Intern Med 2000;160(15):2289-95.

1996 Jul;19(6):462-4.

Covassin N, Singh P. Sleep Dura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Epidemiologic and Experimental Evidence. Sleep Med Clin 2016;11(1):81-9.

Devito F, Zito A, Dragonieri S, Carratù P, Quaranta VN, Vitale F, Quaranta N, Panza F, Logroscino G, Cameli M, Resta O, Ciccone MM. Evaluation of endothelial function and cardiovascular risk in non-obese patients with slight degree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Monaldi Arch Chest Dis 2017;87(3):822.

Drager LF, Bortolotto LA, Lorenzi MC, Figueiredo AC, Krieger EM, Lorenzi-Filho G. Early signs of atherosclerosis in obstructive sleep apnea.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5;172(5):613-8.

Gottlieb DJ, Redline S, Nieto FJ, Baldwin CM, Newman AB, Resnick HE, Punjabi NM. Association of usual sleep duration with hypertension: the Sleep Heart Health Study. Sleep 2006;29(8):1009-14.

Sleep Foundation's sleep time duration recommendations:

methodology and results summary. Sleep Health 2015;1(1):40-43.

Jiang YQ, Xue JS, Xu J, Zhou ZX, Ji YL. Efficacy of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reatment in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hypopnea syndrome associated with carotid arteriosclerosis. Exp Ther Med 2017;14(6):6176-6182.

Kim CE, Shin S, Lee HW, Lim J, Lee JK, Shin A, Kang D.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metabolic syndrome: a cross-sectional study. BMC Public Health 2018;18(1):720.

Kim YY, Kim UN1, Lee JS, Park JH. The effect of sleep duration on the risk of unintentional injury in Korean adults. J Prev Med Public Health 2014;47(3):150-7.

Ma CC, Burchfiel CM, Charles LE, Dorn JM, Andrew ME, Gu JK, Joseph PN, Fekedulegn D, Slaven JE, Hartley TA, Mnatsakanova A, Violanti JM. Associations of objectively measured and self-reported sleep

Ma CC, Burchfiel CM, Charles LE, Dorn JM, Andrew ME, Gu JK, Joseph PN, Fekedulegn D, Slaven JE, Hartley TA, Mnatsakanova A, Violanti JM. Associations of objectively measured and self-reported sleep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