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의 결론

❑ 본 연구는 앞으로의 데이터 주도 사회에서 공간정보에 대한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한 공간정보 패러다임 변화의 필요성을 검토함

∙ 미래사회에서는 ICT, 소셜 등으로 인한 실시간·개인화된 정보(micro data) 생산의 비중이 급속히 증가할 것이며, 대용량의 동태(動態)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시각화의 수요가 증가할 것임

∙ 이러한 미래 공간정보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개별적 시스템에 최적화된 구조를 가진 데이터가 아닌 쉽고 빠르게 융복합 할 수 있고 기계가 읽고 이해할 수는 기존과는 다른 형태의 데이터 생산이 필요함

❑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서 미래사회의 니즈에 부합하는 데이터 모델로 공간정보 연계데이터를 제시함

∙ 공간정보 연계데이터는 제한없는 접근성과 유연한 연결성, 상호운용성 그리고 공간정보 비전문가의 높은 활용성을 가진 데이터 모델임

∙ 공간정보를 연계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이론 및 기반기술이 개발되었고 국제 표준으로 제정되었기 때문에 실현 가능성이 높음

❑ 본 연구는 국내외 공간정보 연계데이터 구축 및 서비스 사례조사를 통해서 구축대상 및 내용, 서비스 동향 등을 검토함

∙ EU는 INSPIRE 주도로 공간정보 공개 및 연계데이터 구축을 추진해 나가고 있으며 공공 공간정보 연계데이터로의 구축 및 서비스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 StartUp 기업 육성 등을 도모하고 있음

∙ 미국과 같은 경우에는 공공데이터 오픈에 좀 더 큰 비중이 있으므로 가능한 모든 포맷의 데이터를 제공하여 정보 접근성과 활용성의 극대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공간정보 연계데이터는 실험적인 프로젝트로 진행하고 있음

∙ 공간정보 연계데이터 구축에 필수적인 어휘집과 도메인 공간정보 표준 등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공간정보 연계데이터에 대한 필요인식 이 부족하여 관련 연구가 미비한 상황임

❑ 본 연구는 국내외 공간정보 연계데이터 제도 및 표준 고찰을 통해 법·제도적인 지원방향과 표준개발 추진방향에 대한 검토를 수행함

∙ EU는 INSPIRE, 미국은 USGS를 중심으로 공간정보 연계데이터 구축 및 모범 사례를 만들고 있으며 제도적으로 공간정보를 개방적이고 기계가독이 가능한 형태로 생산할 것을 명시하고 있음

∙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기존의 공간정보 생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팀 버나스 리의 Open Data 5 Star의 5가지 단계 중 공공데이터 활용은 2, 3단계에, 공간정보는 2단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

∙ 법·제도적인 측면과 유사하게 비공간정보 관련 공공데이터 제공은 구조화 된 데이터 형태나 SW에 종속적이지 않은 형태로 개방이 확대되고 있으나 공간 정보는 기존 형태를 유지하면서 표준화를 통한 융복합 활용에 머물러 있음

❑ 본 연구는 데이터 주도 사회의 니즈에 부합할 수 있도록 공간정보 연계데이터 구축의 방향과 이를 위한 거버넌스 체계 제시

∙ 공간정보를 단계적으로 연계데이터화 하기 위한 수요에 기반한 구축 범위 제시

∙ 공간정보 연계데이터를 발행하고 품질을 관리할 수 있는 공간정보 연계데이터 지원센터(가칭) 설립 제안

∙ 공공뿐만 아니라 민간의 데이터도 활용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민간 보유 정보의 연계데이터 생산 유도를 위한 정책제시

∙ 공간정보 연계데이터의 지속가능하고 활용의 극대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민·관 거버넌스 체계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