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실태분석을 통한 공간정보 연계데이터 개선방안 및 시사점

❑ 해외사례와 같이 공공부분에서 공간정보 연계데이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 차원의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

∙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정보연계의 가치를 확인하고 공공부분의 역할을 명확히 하여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음

∙ 유럽과 같이 공공부분은 표준과 관련된 어휘집 발간, 도메인 표준 제정 등에 집중하고 이러한 표준을 준수하는 공공 공간정보 연계데이터를 발행하는 역할 수행

❑ 국토지리정보원을 비롯하여 다양한 공공기관이 공간정보를 개방하고 있는 중이나 있는 그대로의 개방보다는 활용 가능한 개방이 필요함

∙ 개방된 공간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클리닝과 같은 처리 프로세스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자되어 활용에 한계점이 있음

- 사용자 중심의 데이터 개방 및 시스템 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공간 정보 연계데이터 형식의 표준화 되고 활용성이 높은 데이터 개방을 고려해야 함

❑ 공간정보 연계데이터의 활용을 위해서는 시각화 부분의 기술개발과 서비스도 병행 되어야 함

∙ 공간정보 연계데이터는 일반 사용자 중심의 UI, 지도, 통계 서비스 등의 시각화 기술 개발이 필요함

- 연계데이터 구조나 GeoSPARQL의 사용방법 등을 알아야 활용이 가능함으로 일반사용자 보다는 개발자 중심의 서비스임

- 타분야 전공자 또는 일반사용자를 위하여 직관적이고 활용이 편리한 시각화 부분의 기술개발이 필요

- 공간정보 연계데이터의 활용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일반 사용자도 쉽게 접근 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시각화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며, 유럽과 같이 공간정보 연계데이터 서비스와 병행하여 시각화 서비스도 필요함

❑ 해외시장도 공간정보 연계데이터 구축 및 활용이 초기단계이므로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데이터 활용 인프라를 확충해 나갈 필요가 있음

∙ 우리나라는 공간정보를 개방은 하고 있으나 활용에 대한 고려는 크지 않기 때문에 해외에 비해 공간정보 연계데이터에 대한 인지도가 낮음

∙ 활용분야가 명확하지 않은 막연한 관심데이터 보다는 특정분야에 활용가능하고 정책적 의사결정에 통찰력을 줄 수 있는 action data를 중심으로 어휘집, 표준 제정, 파일럿 프로그램을 통한 보완 및 개선, 시각화 기술 R&D 등을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음

CHAPTER 4

국내외 공간정보 연계데이터 제도 및 표준

01 해외 공간정보 연계데이터 제도 및 표준

65

02 국내 공간정보 연계데이터 제도 및 표준

83

03 요약 및 시사점

86

CHAPTER

4 국내외 공간정보 연계데이터 제도 및 표준

본 장에서는 국내외 공간정보 연계데이터 제도 및 표준을 검토하고 향후 국내 공간정보 연계데이터 구축 및 서비스 활용 촉진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함

1. 해외 공간정보 연계데이터 제도 및 표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