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 국토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환경정 책평가연구원, 한국지방자치학회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협동연구로 추진되었다.

주요 연구방법은 문헌조사, 전문가설문조사, 주민설문조사, 자문회의 등이다.

(1) 문헌조사 및 해외 사례조사를 통한 연구의 틀과 방법론 구축

연구의 틀과 방법론, 선행연구과의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회적 자본에 대 한 국내외 논문과 정책보고서에 대한 문헌조사 및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국토관리분야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기초적인 토대와 기반 을 마련하기 위해 별도의 자료집을 만들어 정책결정자와 연구자간의 자료를 공

유하고 보급하기 위한 노력이 함께 이루어졌다. 미국과 일본정부의 최근의 사회 적 자본에 대한 국가차원의 조사와 정책연구는 해외거주 전문가 원고청탁을 통 해 정리하였다. 영국 등 유럽국가의 사례는 해외출장을 통해 최근의 사회적 자본 지표체계 설정과 정책활용 사례 등을 수집․검토하였다.

(2)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한 사회적 자본 지수 설정

이 연구에서는 공간특성별 사회적 자본 수준을 계량적 비교분석을 위하여 사회 적 자본 지수(Social Capital Index, SCI)를 산정하였다. 사회적 자본 지수는 전문가 를 대상으로 한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기법을 활용하여 설정하였다.

2008년 5월 28일부터 6월 13일까지 도시 및 지역계획, 사회학, 경제학 및 행정 학 분야에서 사회적 자본과 관련한 연구논문을 발표한 전문가 35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중 20부를 회수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12부를 토대 로 사회적 자본 측정지표의 표현인자별 가중치를 도출하고, 사회적 자본 지수식 을 산정하였다. 사회적 자본 지수는 근린단위를 비롯한 지역사회단위에서 표현 인자별 사회적 자본을 측정하고 이를 계량화하여 공간단위별 비교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즉, 사회적 자본 지수는 설문문항에서 각 부문별, 요소별로 답변된 결과를 수치화하고 각 세부항목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한 값으로 하였다.

(3) 주민설문조사와 상관관계분석을 통한 공간특성별 사회적 자본 수준 비교

공간특성과 수단에 따른 사회적 자본 수준 비교를 위한 실증분석은 주민설문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도시 및 지역분야, 교통분야, 환경분야별로 공간특성이 다른 대비되는 2개~4개 지역을 선정하여 2007년, 2008년 주민등록인구 통계를 근거로 성별, 연령별 비례할당 후 무작위 추출을 통한 성인남녀 2,026인을 대상 으로 사회적 자본과 거주지 관련사항, 각 도시별 교통관련사항, 공원관련사항 등 에 대한 대면면접조사(Face to Face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면접시간은 20분내 외로 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분석과 문항별 빈도분석,

(4) 가설의 설정을 통한 사회적 자본과 공간특성과의 상관관계 분석

사회적 자본은 눈에 보이지 않고 계량화하기 어려운 속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가설을 세워 사회적 자본 수준을 검토할 수 있는 기준을 가지려 하였 다. 국토관리분야(도시 및 지역분야, 교통분야, 환경분야)별로 가설을 세워, 그 차이 와 상관관계 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가설의 설정은 선행연구 검토를 토대로 분야별로 설정하고,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사례지역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설문조사내용을 토대로 사회적 자본 수준을 분석하고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특성요인을 도출하였다.

(5) 자문회의 및 연구협의회를 통한 의견수렴

국토관리분야의 사회적 자본 확충방안 연구는 새로운 시도이기 때문에 사회적 자본의 공간적 함의와 정책 활용 가능성, 그리고 공간특성별 사회적 자본 수준 차이의 검증 등에 대한 개념적, 방법론적 공론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 서는 사회적 자본을 연구하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공무원으로 구성된 자문 위원회를 구성하여 단계별로 자문회의를 통해 의견수렴과정을 거쳤다. 특히 사 회적 자본 구성요소와 지표 선정, 표현인자의 설정, 설문조사표의 설계, 가설의 설정과 가설의 검증부문에 대해 광범위한 의견수렴과정을 통해 연구의 질과 완 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설문조사 대상지역 공무원과 국토 및 지역계획 분 야 공무원을 중심으로 별도의 자문회의를 개최하여 설문조사의 타당성과 분석결 과의 정책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진간의 원활한 소통과 협력을 위해 1회/월 연구협의회를 진행하여 구체 적인 연구범위와 내용 등에 대한 의견수렴과 공동작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사회 적 자본 포럼을 구성하여 전문가 특강과 연구네트워크 기반을 구축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