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4-130)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 대상자의 범위를 남자회원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프로그 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였으나, 알코올사용장애에서 여성의 비율 이 높아지고 있는 국내의 상황을 고려해 볼 때, 본 연구의 결과를 알코올 사용장애자 전체로 해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상자를 확대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를 제언한 다.

둘째, 본 연구는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5주간에 걸쳐 그 효과 를 검정하였으나, 행동적 기법의 변화를 이끌어 내기 어려웠다. 이에 추후 행동적 기법을 강화한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의 보완과 단기적인 중재 보 다 지속적으로 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기적인 중재 연구를 제언한 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 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사전, 사후조사를 실시하여 치료적 변화를 확인하 였으나, 변화를 유지하는 것 또한 중요하므로 프로그램의 효과 유지에 대 한 추후 조사를 추가 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참고문헌

강명자, 김명수 (2018). 한국어판 욕창예방지식도구의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문항분석, 타당도와 신뢰도.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11-19.

강은영 (2012).

알코올의존자의 분노조절향상을 위한 인지행동 프로그램의 효과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고미령 (2020).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의 우울,금주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변화동기에 미치는 영향.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인천.

권석만 (2014).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서울: 학지사

권정혜 (2002). 우울증 환자의 역기능적 대인관계 특성.

한국임상심리학회 지,

21(3),595-607.

김갑진. (2007).

REBT를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실업계 고등학생 의 스트레스 감소 및 학교적응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광역시

김경희 (2008).

자살위험중학생을 위한 생명존중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미성, 전귀연 (200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

대한가정학회지,12,

207 - 228

김미영, 변은경 (2016). 남성 알코올의존 환자의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5(4), 316-326.

김시애, 박민우, 서주영, 권은지, 한혜연, 하요섭, 오복자, 박여진, 박경옥, 김은경 (2015). 알코올 중독자에게 적용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 메 타분석.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16(2), 1-29.

김영희 (2009).

집단미술치료가 회복기 알코올의존 환자의 사회성증진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정민, 박준희 (2011). 자살행동 예방을 위한 핵심마인드풀니스 인지행동 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자살고위험 여대생집단을 대상으로.

상 담학연구

12.5 : 1451-1471.

김종운, 김효은 (2012). REBT 집단상담과 RT 집단상담이 비만아동의 자 아존중감과 신체조성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학연구,

19(2), 29-53.

김지영 (2005). 학교현장에서의 자살예방 프로그램 효과 검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원.

김하강 (2010).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을 위한 상호작용적 영화치료프로그 램 개발 및 효과

. 전남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박사학위논문. 광주.

김현정, 이종찬, 김종운(2014). REBT 활용 진로집단상담이 직업전문학교 훈련생의 비합리적 신념과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 과: 부산 소재 F 직업학교 훈련생을 중심으로. 職

業 敎育 硏究

33.6:

27-53.

김홍진, 이수비, 정원미, 서정석, 남범우, 조근호, 정슬기, 기선완, 박일호 (2018). 한국인 알코올사용장애 임상경과 및 생물정신사회적 요인 규 명을 위한 임상 및 지역기관 전향적 연구:(I) CRF 개발과정 및 단면 적 조사결과.

중독정신의학,

22(1), 10-18.

김혜원 (2006).

청소년 우울과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생활사건 스트 레스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서울

류소임, 권태균, 노은영, 김유나 (2018).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인지행동치료에 대한 연구의 통합적 문헌고찰.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5

(1), 29-40.

문영선 (2010).

수형자의 비합리적 신념, 스트레스 대처 전략이 심리적 적

응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대구광역시 민성길 (2015).

최신정신의학

. 서울: 일조각

박경애 (2007).

상담의 주요 이론과 실제

. 서울 :교육아카데미

박경애 (2018).

인지정서행동치료(REBT) 단회기 상담사례 - 초심자를 위 하여.

서울: 학지사

박경애 (1997).

인지정서행동치료

. 서울: 학지사.

박경애 (2020).

인지정서행동치료(REBT)와 집단상담 REBT 집단상담의 실제를 중심으로.

서울: 학지사.

박경애, 조현주, 김종남, 김희수, 최승미 (2019).

인지치료기법-상담실 제를 위한 안내서, 제2판

. 서울: 시그마프레스

박광식 (2010). 스트레스 원이 알코올 중독자의 스트레스 원 대처에 미치 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과혁신연구

, 3(1), 39-71.

박규태 (2011).

알코올 중독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대구.

박미숙 (2014).

알코올 중독자의 정서 특성연구를 통한 알코올 중독 치료 프로그램개발.

서울; 한국연구재단.

박정화 (2013). 입원한 자살시도 환자를 위한 위기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정신간호학회지

, 22(4).

박현주, 정대용 (2010). 상담일반: 완벽주의 하위집단의 특징: 지연행동, 문제해결 평가, 대인관계 문제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 11(3), 975-991.

백승아, 구본용 (2019).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분노표현방식과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된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 20(2), 281-301.

백종화 (2009).

우울 및 비우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행동문제

. 이 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백혜순, 유숙자 (2005). 인지· 정서· 행동 (REBT) 집단상담이 비합리적 신념이 높은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효과.

간호행 정학회지

, 11(4), 415-423.

보건복지부. (2017). 2016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서수균 (2011). 비합리적 신념과 공격성 사이에서 부적응적 인지전략과 대인관계양상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23(4), 901-919

서수균, 김윤희 (2018).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서울: 학지사.

송영희, 이윤주 (2010). 대학생의 비합리적 신념과 우울: 목표안정성과 자 존감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553-573 신경아 (2014).

우울증 중년여성을 위한 REBT기반 영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광주.

신현균, 김장호, 최영미 (2015).

아동 청소년 심리치료 인지행동적 접근,

서울: 학지사

양윤경 (2018).

여대생을 위한 REBT기반 폭식행동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오은주 (2010).

청소년을 위한 우울 예방 프로그램이 우울, 자살생각, 역 기능적 태도 및 부정적 자동화 사고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광주.

오정해 (2009).

마음챙김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가 기혼여성의 우울에 미 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 경상북도 경산시

우재희 (2014).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남성알코올중독자의 삶의 경험.

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2), 364-375.

우주현 (2012).

재원 알코올 의존자를 위한 인지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병 식.금주 자기효능감.회복.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수원.

원호택 (2005).

우울증의 인지치료

. 서울: 학지사

윤명숙 (2011). 알코올중독자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음주의 조절효과.

정신 건강과 사회복지,

38, 113-140.

윤명숙, 최수연 (2012). 알코올중독자의 자살시도경험.

정신건강과 사회복 지,

40(4), 27-56.

윤문희, 강경희 (2019). 여성 알코올중독자를 위한 인지행동프로그램의 효 과.

대한보건연구,

45(2), 13-22.

윤미경 (2017).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생명존중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 과:Ellis의 ABCDE모델을 기반으로.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수원.

윤소현, 신성만. (2015). 성인 알코올 중독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 한 메타분석 :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와 접 근방법 중심.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16(2), 89-109.

윤승훈 (2018).

도박과 알코올 중독의 영향 요인: 성격,정서,전두엽 집행기 능 및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대구.

윤진선 (2008).

REBT 집단상담이 위기 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주 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 울.

이광헌 (2004). 자살 환자의 치료.

생물치료정신의학,

10(1), 15-24.

이선민, 제갈정, 김광기 (2015). 자살생각자의 자살시도와 음주문제와의 관 련성 분석.

한국알코올과학회지,

16(1), 17-28.

이수정 (2016). 자살시도자를 위한 지역사회 기반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개

발 및 평가.

한국간호과학회 학술대회,

226-226.

이윤정, 박재연 (2017). 입원 중인 알코올 사용 장애자의 자살생각에 영향 을 주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5(3), 122-151.

이은희, 김소영 (2015). REBT 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학업적 좌절경험 대 학생의 비합리적 신념 감소에 미치는 효과.

통합심신치유연구,

2, 22-44.

이자영 (2018).

알코올의존증 환자의 변화동기,금주자기효능감 및 스트레 스 대처 증진과 우울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 과 평가.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춘천.

이장호, 김정희 (2013). 집단상담의 원리와 실제. 서울: 법문사.

이지원, 김영경, 김영선 (2012). 알코올의존 입원환자의 자살사고 관련요 인.

스트레스연구,

20(2), 123-132.

이태용, 신종헌, 유미선, 김광환 (2011). 자살행동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12(6), 2636–2643.

이현경, 노성원 (2011). 우리나라 성인의 문제음주와 우울 및 자살생각과 의 연관성.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 12(1), 155-168.

임선아 (2018). 알코올의존이 우울을 매개하여 자살생각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검증.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11, 173-183.

장은선, 김광웅, 조유진 (2007).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비합리적 신념 및 자 살생각의 관계: 고등학교 재학중인 여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학연구,

14(5), 27-47.

정관영 (2014).

REBT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인문계 고등학교 신입생의 스 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학위논문 , 2014. 경기도 군포시

정명지 (2015).

음주와 자살의 관련성에 관한연구: 강화코호트 연구.

연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조맹제, 박종익, 배안, 배재남, 손정우, 안준호, 이동우, 이영문, 이준영, 장 성만. (2011).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재연, 김진숙(2019).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REBT 집단상담 프로 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20(5), 289-309.

차유진, 박수현 (2011). 알코올 중독자를 대상으로 한 비약물적 치료프로 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9(4), 51-67.

채숙희, 오수성 (2006). 역기능적 태도, 음주기대, 음주촉진신념과 알코올 의존 재발가능성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6(2), 179-196.

천은진, 이준엽, 구본훈, 문보영, 정진영, 정성훈 (2011).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에서 알코올 사용의 심각도에 따른 불안 및 우울 증상과의 연관 성.

생물치료정신의학,

17(2), 275-282.

최미영 (2011).

우울증 중년 여성을 위한 내성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 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최영옥 (2011).

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에 따른 사회적 문제해결능 력, 직무스트레스 및 행복 간의 관계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부산.

최이순 (2005). 알코올 중독자의 사회적 문제해결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지,

24(3), 475-493.

태양실 (2008).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시각장애아 어머니의 공격성, 분노, 양육스트레스,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편용기, 유성은, 이승복 (2016). 알코올 장애군의 자의식적 부정정서와 자 살 행동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지,

35(1), 299-307.

홍영선 (2018).

폐경기 여성의 정신건강을 위한 문학을 활용한 REBT 프 로그램의 효과

.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서울

Aurelien Ribadier & Isabelle Varescon (2019). Anxiety and depression in alcohol use disorder individuals: the role of personality and strategies, Substance Use & Misuse, 54:9, 1475-1484

Bagge, C. L., Lee, H. J., Schumacher, J. A., Gratz, K. L., Krull, J. L.,

& Holloman Jr, G. (2013). Alcohol as an acute risk factor for recent suicide attempts: a case-crossover analysis.

J Stud Alcohol Drugs,

74(4), 552-558.

Beck, A., Steer, R., & Brown, G. (1996).

BDI-Ⅱ manual.

San Antonio: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Beck, A. T., Kovacs, M., & Weissman, A. (1979).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 Consult Clin Psychol,

47(2), 343.

Boden, J. M., & Fergusson, D. M. (2011). Alcohol and depression.

Addiction,

106(5), 906-914.

Conner, K. R., Beautrais, A. L., & Conwell, Y. (2003). Risk factors for suicide and medically serious suicide attempts among alcoholics:

analyses of Canterbury Suicide Project data.

J Stud Alcohol

, 64(4), 551-554.

Conner, K. R., & Duberstein, P. R. (2004). Predisposing and precipitating factors for suicide among alcoholics: empirical review and conceptual integration.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 28, 6S-17S.

Conner, K. R., Hesselbrock, V. M., Meldrum, S. C., Schuckit, M. A.,

Bucholz, K. K., Gamble, S. A., Wines, J. D., Kramer, J. (2007).

Transitions to, and correlates of, suicidal ideation, plans, and unplanned and planned suicide attempts among 3,729 men and women with alcohol dependence.

J Stud Alcohol Drugs

, 68(5), 654-662.

Conner, K. R., Huguet, N., Caetano, R., Giesbrecht, N., McFarland, B.

H., Nolte, K. B., & Kaplan, M. S. (2014). Acute use of alcohol and methods of suicide in a US national sample.

Am J Public Health,

104(1), 171-178. .

Costina Ruxandra Păsărelu, Anca Dobrean (2018). video-based

transdiagnostic REBTuniversal prevention program forinternalizing problems in adolescents:study protocol of a cluster randomized ontrolled trial.

Păsărelu and Dobrean BMC Psychiatry.

18:101 D'Zurilla, T. J., Nezu, A. M., & Maydeu-Olivares, A. (2004).

Social

problem solving: Theory and assessment

.

D’Zurilla, T. J., & Nezu, A. M. (2010).

Problem-solving therapy.

Handbook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ies, 3, 197-225.

David, D. (2014).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REBT).

The Encyclopedia of Clinical Psychology

, 1-8.

David, D., Cotet, C., Matu, S., Mogoase, C., & Stefan, S. (2018). 50 years of rational‐emotive an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Clin Psychol

, 74(3), 304-318.

David, D., Szentagotai, A., Lupu, V., & Cosman, D. (2008).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cognitive therapy, and medication in the

treat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 randomized clinical trial, posttreatment outcomes, and six‐month follow‐up.

J Clin Psychol,

64(6), 728-746.

Dryden, W., Beal, D., Jones, J., & Trower, P. (2010). The REBT competency scale for clinical and research applications.

J Ration Emot Cogn Behav Ther

, 28(4), 165-216.

Ellis, A. (1987). A sadly neglected cognitive element in depress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1, 121-146.

Ellis,A. (1995).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

C

urrent psychotherapies

, 5, 162-196.

Ellis, A. (2003).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and cognitive therapy.

Journal of Cognitive Psychotherapy

, 17, 225-240.

Ferrari, A. J., Charlson, F. J., Norman, R. E., Patten, S. B., Freedman, G., Murray, C. J., Vos, T., Whiteford, H. A. (2013). Burden of depressive disorders by country, sex, age, and year: findings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PLoS med

, 10(11), e1001547.

Flensborg-Madsen, T., Knop, J., Mortensen, E. L., Becker, U., Sher, L.,

& Grønbæk, M. (2009). Alcohol use disorders increase the risk of completed suicide—irrespective of other psychiatric disorders. A longitudinal cohort study.

Psychiatry research,

167(1-2), 123-130.

Gry Anette Sælid, Hans M. Nordahl (2017) .Rational emotive behaviour therapy in high schools toeducate in mental health and empower youth health.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of a brief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4-13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