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서 론

3. 연구방법

자와 건축 전문가와 팀을 이루어 현장을 바라볼 때, 그린스마트 유치원 정책의 방향 을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설계해나갈 수 있었고, 건축학적 전문성을 기반으로 추후 정책의 방향을 가늠해볼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또한 한국학술정보원의 교육공학 전문가를 통해 상급학교의 미래학교 모델의 구 성요소를 깊이있게 파악하고, 함께 영유아학교 모델의 구성틀을 만들어가면서 함께 정책아디디어와 정책내용을 융합해 나갈 수 있었다. 아울러 영유아 단계 메타버스 도입이나 인공지능 교육의 방향, 현 정부의 디지털 정책의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연구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표 Ⅰ-2-1> 협동과제 연구진의 역할과 협업

담당 역할 붐담 및 협업

[협업, 융합, 공유]

정책 아이디어 및 정책 제언 논의 및 융합, 협업을 통한 전문성 확보, 연구의 고도화에

기여 육아정책연구소

∙ 국내 공간 우수기관 방문 및 정리(공간 재구조화, 그린스 마트, 기후변화, 장애통합, 발도르프 등)

∙ 전문가 의견조사 및 실태조사

∙ 전문가 면담 및 정책실무협의회

∙ 정책 밑 통계 현황 분석, 선행연구 및 빅데이터 분석

∙ 정책 포럼 개최 동명대학교

연구팀

∙ 스마트, 디지털 관련 정책을 추진하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을 방문하고, 공간 재구조화 방안을 논의하며, 연구진과 소통

연구협력진

∙ 한국교육개발원: 해외 우수사례, 해외 영유아교육기관 기 준 정리

∙ 한국학술정보원: 미래학교의 개념과 핵심요소 정리

2) 조사연구: 설문조사

미래학교의 개념을 파악하고 현장의 정책적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역별, 연령별, 기관유형별 편차가 크므로, 표집 시 이를 고려하여 조 사설계를 실시하였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직원 대상 1,240명을 대상으로 미래 영유아학교의 공간 재구조화, 디지털 환경, 기후변화 대응 정책요구를 파악하도록 한다. 조사 문항 구성을 위해 심층 면담을 실시하거나,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한 결 과, 선행연구들을 총체적으로 수집하여 문항을 구성하였다.

3) 조사연구: 전문가 델파이 조사

미래환경대응 유치원, 어린이집(영유아학교) 구축에 관한 35명의 전문가들의 의 견을 수렴하였다. 2차에 거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평균, 표준편 차, 내용타당성비율(Content Validity Ratio: CVR),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nce: CV)를 도출하였다.

4) 국내외 공간혁신 사례 연구

미래환경대응 유치원, 어린이집 (영유아학교) 모델 구축을 위해 국내외 공간 혁 신 및 재구조화 사례를 찾아 제도를 고찰하였다. 국내외 사례는 문헌연구, 현장방 문을 통해 진행하였다. 국내의 경우 주로 현장을 방문하여 면담을 통해 연구를 진 행하였고, 미래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방문기관은 협동 연구기관 및 외부 연구진, 관련 전문가들의 추천(공간혁신, 그린스마트 사업, 기후 및 녹색 정책, 디지털/에듀테크, 관련 공무원 등)을 받아 진행하였다.

국내에서는 공간, 디지털, 기후환경 대응 우수 학교, 그린스마트 사업을 시행한 유치원, 미래형 유치원, 공간혁신 및 공간 우수 어린이집 등을 방문하여 현황을 파 악하고 개선 방안, 정책적 요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국외의 경우는 스웨덴, 일본, 미국 등의 사례를 현지 전문가와의 연구협력과 문헌연구로 수합하며, 그 외의 국가 들도 포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표 Ⅰ-3-1> 국내 사례 기관의 특성

중점 기관명

그린스마트·공간혁신/

기후변화대응

∙ 경의유치원(그린스마트 유치원 1호)

∙ 안양꽃가람어린이집(발도르프인지학건축)

∙ 대구 인지유치원

∙ 김해율하유치원

∙ 하나금융설립 장애영유아 어린이집 등

디지털놀이

∙ 시흥시청어린이집

∙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유치원

∙ 서울 그림유치원

∙ 서울 명일유치원

∙ 인천재능대학 부속 유치원

5) 전문가 자문회의 및 정책실무협의회

연구 수행 과정에서 관련 분야 전문가를 활용한 자문회의 및 정책실무협의회 등 을 수차례 개최하여, 연구결과의 질적 제고를 도모하도록 하였다. 국내외 현장 전 문가 비대면 회의 진행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6) 기관 모델 제안

미래환경대응 유치원, 어린이집(영유아학교)에 관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바람 직한 기관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유보통합형 모델을 제안하고 미래지향적인 공간 모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7) 정책포럼 개최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 및 정책적 제안을 중심으로 공개 발표 및 관련 전문가 의견 수렴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하고, 다양한 의견을 연구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책 포럼을 2회 개최하여 정책 방안을 의제화하고, 현실화 방안을 모색 하였다.

1차 정책 포럼은 ‘함께 만들어가는 미래 영유아교육: 공간, 놀이, 디지털’을 주제 로 2022년 9월 29일에 실시되었다. 이를 통해 공간과 놀이, 디지털의 의미를 학술 적으로 논의하고 정책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1차 정책 포럼을 통해 더 나은 공간

기준 마련과 장애영유아를 배려한 공간의 필요성, 디지털 놀이공간 구성의 방향, 현재 노후화된 기관의 현황과 개선 방향, 유치원/어린이집 공간 기준 상향화에 대 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림 Ⅰ-3-1] 1차 정책포럼 포스터

2차 정책 포럼은 ‘함께 만들어가는 미래 영유아교육: 기후, 그린 생태’를 주제로 2022년 12월 13일에 실시되었다. 이를 통해 기후위기 및 기후 적응의 의미, 삶속

에서 체감하는 기후교육의 중요성, 놀이와 연계할 수 있는 그린 정책의 의미를 논 의하였다. 2차 정책 포럼을 통해 유보통합을 전제로 한 영유아학교에서의 그린 정 책들을 추진 방안, 생태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림 Ⅰ-3-2] 2차 정책포럼 포스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