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있는가?

4

-동맥혈압을 가리킨다(표준국어대사전, 2008). 본 연구에서는 수동 혈압계 로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을 고 혈압인 것으로 정의하였다(배종화 등, 2005).

⑤중성지방(Triglyceride, TG)

중성지방이란 식이 중의 주요한 지방질 성분이다(이경률, 2004). 본 연 구에서는 저녁식사 후 12시간 이상 공복인 상태에서 혈액 검사를 하여 중 성지방 수치가 200mg/dl이하인 경우 정상으로 보았다(이경률, 2004).

⑥간효소 수치(Aminotransferase)

Aminotransferase란 아미노산과 케토산 간의 아미노기의 전이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이귀녕, 김진규, 1988). 본 연구에서는 ALT의 정상범 위는 8-41U/L이고, AST의 정상범위는 5-38U/L이다(이경률, 2004).

제2장. 문헌고찰

6

구분 전체 65-69세 70-74세 75세이상

8

한 평가지표인 프랭밍험 위험지수와 독립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고하였

10

- 11

논문

SexAge High blood pressureAlcohicBMI Cholesterol TG

대상자주거상 태(도 or 농촌)

자수연구된 변수 Celemajer et al. (1994)

남성* >여 Hospital (Pt.with coronary artery disease)

혈관 크기* 흡연* Cantu-BritoC et al. (1999)

남성< 수축기혈고콜레스테 혈증시코시in 145 CUPA participants Jams. et al (2003)

남성>여

exclude<45year Recruited for the carotid artery follow up study from CAD patient

height* CAD and IA diameter* Uribina et.al (2002)남성* >여

수축기혈HDL* LDL*enrolled Bogalusa Heart Study

흑인* >백인 ,인 리둘레 영훈 (2006)여성>50year (20~75세)<50year*총콜레스테롤* *지역2개

선질병유 조사여자 조유 (2003)여성 (30~79세)

수축기혈** 이완기혈** BMI**총콜레스테롤* *건강관리 건강상자 신이 (2004) 58BMI* TG* 병원 검진센터 내원자 조성 (2004) 수축* 이완*총콜레스테롤*병원자중 혈압 진단

LVMI* 맥압* 조길 (1991)

남성 <여 58±11수축* 이완** 총콜레스테롤* 순환기 료받은흡연*

표3.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관련된 문헌 고찰 ** p<.01 * p<.05 CAD: coronary artery disease

12

-제3장.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농촌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일반 노인들을 대상으로 경동 맥 초음파 검사를 하여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관련된 요인들을 알아보는 서술적 관계연구이다.

2. 연구 대상자 및 표집 방법

(1) 대상

본 연구는 충청도 태안군 태안읍에 거주하는 노인들 3,368명(통계연보, 2008) 중에서 B-mode 초음파로 경동맥 4부위의 내중막 두께를 측정한 308명 을 대상으로 임의표본추출을 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1) 3개 마을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

2) 질문지의 내용을 이해하고, 연구참여에 동의한 자 3) 12시간 공복상태를 유지한 자

(2) 방법 및 절차

14 -였다(조성원, 2004).

3. 자료 분석 방법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13.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1) 연구대상자와 변수의 일반적 특성은 서술통계를 사용하였다.

2)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정상유무와 연구변수들을 χ²-test 분석하였다.

3)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정상유무와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림 2. 좌측 총경동맥 내중막 두께 죽상경화 이미지 (단축, 2.4 mm)

그림 1. 좌측 총경동맥 내중막 두께 초음파 이미지

(장축, 1.7 mm)

16

2. 변수들의 정상유무와 평균 지표

수축기혈압 평균은 130.8±16.0mmHg이고 정상 198명(63.2%), 비정상은 110명(35.3%)으로 정상군이 더 많았다. 이완기혈압은 평균 80.67±10.9 mmHg이고 정상 213명(68.3%), 비정상 95명(30.2%)로 정상혈압이 더 많 게 나타났다. 또한 체질량지수는 평균 23.83±2.84이고 정상 210명(67.3%), 비정상 98명(31.4%)으로 정상이 많게 측정되었다. 중성지방은 평균이 198.96±37.2mg/dl이었고 정상 163명(52.2%), 비정상이 145명(46.5%)으로 정상분포가 많았다. AST는 평균 24.2±16.4U/L이고 정상 296명(94.9%), 비정상 12명(3.8%)이다. ALT는 평균 19.54±11.58U/L이고 정상 297명 (94.9%), 비정상 12명(3.8%)으로 수치상 대부분 정상이 많았다. 음주여부 에 대한 질문에 34명(10.7%)이 ‘술을 마신다.’고 했고, 대부분인 274명 (87.8%)이 ‘술을 안 마신다’고 하였다. 운동유무에 대해 41명(11.4%)이 ‘주 1회 이상 한다’고 했고, 267명(88.6)은 ‘안한다’고 하였다(표5).

18

-변수 평균±표준편차 정상 비정상

n (%) n (%) AST(U/L) 24.2±16.4 296(94.9) 12(3.8) ALT(U/L) 19.5±11.5 297(95.2) 11(3.5) 중성지방(mg/dl) 198.9±37.2 163(52.2) 145(46.5)

BMI(kg/㎡) 23.8±2.8 210(67.3) 98(31.4) 수축기혈압(mmHg) 130.8±16.0 201(67.9) 105(35.3) 이완기혈압(mmHg) 80.6±10.9 213(68.3) 95(30.2) 표5. 변수들의 정상유무와 평균지표

(N=308)

missing data were excluded.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Alanine Aminotranseferase BMI: Body Mass Index

3.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변수들과의 관계

20

4. 농촌 노인들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위험 요인

농촌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위험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 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Hosmer-Lemeshow 검정한 결과 χ2=6.899, df=8, p=0.548로 나타나 모델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성별, 연령,은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양의 관계를 보였으며, 이완기혈압, 중성지방은 음의 관계를 보였고 유의하지 않았다. 즉, 남자가 경동맥 내중막 두께 비정상 집단에 속할 가능성은 2.1배였다(OR=2.135, p<.004). 연령이 증가할수록 경 동맥 내중막 두께 비정상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1.67배였다(OR=1.677, p<.008). 이완기혈압, 중성지방은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농촌 거주 노인들의 경동 맥 내중막 두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으로 파악되었다 (표7).

22

변 수 b S.E. Wald 유의확률 승산비 95%신뢰구간

성별 .758 .261 8.458 .004** 2.135 1.281-3.560

연령 .517 .194 7.124 .008** 1.677 1.147-2.452

중성지방

(mg/dl) -.005 .003 1.946 .163 .995 .989-1.002

이완기혈압

(mmHg) -0.14 .011 1.576 .209 .986 .965-1.008

constant 1.113 1.215 .839 .360 3.044

표7. 농촌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 요인

(N=308)

** p < .01 * p < .05 종속변수(정상 집단=0, 비정상 집단= 1)

성별(여자=0, 남자=1)

제5장. 논의 및 제언

24

간효소 수치나 BMI 결과에 간접적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26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흡연, 당뇨, 콜레스테롤, 식이 그 리고 대사증후군 등의 변수들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의 관련성도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연구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연구한 노인표본수가 전체 농촌노인을 대표 할 수 없다는 것이며 둘째, 검사 결과에 회상 바이어스와 교란 변수가 영 향을 주었을 수 있다. 셋째,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관련된 변수들을 다양 하게 연구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시간적 경과 관찰을 통 해 연구하지 않아 근본적으로 단면 연구가 갖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제6장. 결론

본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정상유무와 관련된 요인 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태안읍 3개 마을에 거주 하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일반 농촌 노인들을 임의표본추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08년 10월 5일부터 10월 6일까지 하였다. 설문지, 체질량지수, 혈압, 혈액검사, 경동맥 초음파 검사의 순서로 조사하였고, 308명을 대상으로 경동 맥 초음파 검사를 데이터화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상 성별은 여자 노인 인구가 많았고 연령별로는 70, 80대의 노인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학력은 무학과 초졸이 많았다.

2)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에 따른 변수들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 해 χ2-test로 분석하였다. 성별(χ2=8.795, p=.003), 연령(χ2=9.754, p=.002), 이완기혈압(χ2=3.190, p=.048), 중성지방(χ2=10.151, p=.001)에서 경동맥 내 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유무와 관련된 위험요인을 로지스틱 회귀 분석한 결과 유의하게 관련 있는 위험요인은 연령, 성별이었다.

28

-참고문헌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Retrieved December 20, 2008, from http://www.korean.go.kr/08_new/index.jsp

권용기. (2005). 노인 질환 실태 및 의료서비스 대응방안: 청송군 보건의료원

내방 환자를 중심으로, 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영남대학교, 대구

박진아, 김철식, 박종숙. (2005). 비 당뇨성 성인에서 LDL 입자크기와 내중막 두께 및 인슐린 저항성과의 연관성, 당뇨병 학회지, 29(4), 333-343.

보건 복지부. (2006). 2005 보건복지 통계연보. 서울: 저자.

배철영. (1994). 노인 환자 관리, 가정의학회지, 163(2), 792-801.

배종화, 김철호, 이방헌, 전재은, 서일, 홍순표. (2005). 고혈압지침서, 서울: 대한 고혈압학회, 5-10.

신해원. (2006). 여러 가지 진단기준으로 정의된 대사증후군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관련성,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신이철. (2005).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 있어서 경동맥 내중막 두께

의 결정인자,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구.

신영우. (1997). 노인에서 경동맥 경화증의 빈도, 노인병학회지, 20(1), 4-7.

질병관리본부. (2007). 국민건강 영양조사 제3기 조사결과 심층분석 연구, 2006, 서울: 저자.

오효숙. (2007). 농촌지역 일개 군 주민의 유병상태와 의료이용, 호남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3, 121-128.

이경률. (2004). 실용 임상검사 해설집. 서울: 보문각.

이영훈, 최련화, 신민호, 권순석, 박경수, 정슬기 등. (2006). 경동맥 내중막 두께 및 죽종과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과의 관련성, 예방의학회지, 39(6), 477-484.

이석구, 배상수. (2001). 새로이 발견된 고혈압 환자들의 약물치료 및 생활양식 개선의도와 순응도와의 관계, 예방의학회지, 34(4), 314-319.

이승용. (2007). 농촌노인의 건강 특성 및 보건의료 서비스 요구에 관한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익산.

정귀애, 장정환, 김성환, 이철갑, 김동현, 김영철. (2004) 정상 성인의 죽상경화 증의 위험요인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상관관계. 대한외과학회지, 20(2), 200-208.

정상수. (2001).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경동맥 내중막 두께에 미치는 죽상

경화증 위험인자의 분석 및 항 혈소판제 치료 효과. 미출판 석사학위논

문, 연세대학교, 서울.

30

-조유리, 김대중, 김하동, 최성희, 김수경. (2003). 한국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정상치와 죽상 경화증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 대한 내과 학회지, 64(3), 275-283.

조성원. (2004). 고혈압 환자에서 맥압과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의 상관관계.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서울.

최수연, 김동희, 강진희, 박민정, 김영선, 임선희 등. (2006).

심혈관계 위험인자로서 비알콜성 지방간; 경동맥 동맥경화와의 상관관계.

대한간학회지, 14, 77-88.

통계청. (2006). 주요 사망 통계. In 2006 고령자 통계(pp 26-27), 서울: 저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권두언, 한국 보건 복지 포럼, 29(2), 31-3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고령사회의 도래와 정책 방향, 1(3), 3-6.

홍미령, 박종한, 변용찬, 장병원. (2004). 장기요양보호대상 노인의 실태파악 및 케어욕구 조사, 서울: 2004헬스 케어 포럼.

황경하. (2006). 한국인의 비만관련 위험인자에 대한 체지방률 분별치 정립과

이에 근거한 체질량지수(BMI)기준의 제시,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을지

대학교, 대전.

Cantu-Brito, C., Rodriguez-Saldana, J., Reynoso-Marenco, M. T., Marmolejo-Henderson, R., & Barinagarrenmenteria-Aldatz, F. (1999).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carotid atherosclerosis detected by

ultrasonography. Salud Publcation Mexico, 41, 452-459.

Crouse, J. R., & Thompson, C. J. (1993). An evaluation methods for imaging and quantifying coronary and carotid lumen stenosis and atherosclerosis. Journal of Circulation, 87, 17-33.

Demirovic, J., Nabulsi, A., Folsom, A. R., Carpenter, M. A., Szklo, M., Sorlie, P. D., & Barnes, R. W. (1993). Alcohol Consumption and ultrasonographically assessed carotid artery wall thickness and distensibility, Circulation, 88, 2787-2793.

Stensland-Bugge, E., Bonaa, K. H., & Joakimsen, O. (2000). Sex Diferences in the Relationship of Risk factor to Subclinical Carotid Atherosclerosis Measured 15 Years Later, Stroke, 31, 574-581.

Fracanzani, A. L., Burdick, L., Raselli, S., Pedotti, P., Grigore, L., Santorelli,

G., et al. (2008). Carotid artery intima-media thickness in

G., et al. (2008). Carotid artery intima-media thickness in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