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대상 기관의 간호결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1-74)

중 일상생활수행능력이 감퇴한 환자의 분율은 5.63±5.30였고,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된 이후의 7차 평가에는 2.18±3.55였다.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되지 않은 비 중재기관은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되기 전 6차 평가에서의 치매를 제외한 환자 중 일상생활수행능력이 감퇴한 환자의 분율은 1.01±1.83였고,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된 이후의 7차 평가에 0.94±1.79였다.

고위험군의 환자 중 욕창이 새로 생긴 환자의 분율은 6차 평가의 경우 0.24±0.60 였고 7차 평가에는 0.18±0.46였다. 이중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된 중재기관은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되기 전 6차 평가에서의 고위험군의 환자 중 욕창이 새로 생 긴 환자의 분율은 0.76±0.99였고,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된 이후의 7차 평가에는 0.37±0.72였다.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되지 않은 비중재기관은 질 향상 지원사업 이 수행되기 전 6차 평가에서의 고위험군의 환자 중 욕창이 새로 생긴 환자의 분 율은 0.08±0.25였고,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된 이후의 7차 평가에 0.12±0.33였다.

저위험군의 환자 중 욕창이 새로 생긴 환자의 분율은 6차 평가의 경우 0.02±0.27 였고 7차 평가에는 0.01±0.13였다. 이중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된 중재기관은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되기 전 6차 평가에서의 저위험군의 환자 중 욕창이 새로 생 긴 환자의 분율은 0.08±0.55였고,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된 이후의 7차 평가에는 0.23±0.24였다.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되지 않은 비중재기관은 질 향상 지원사업 이 수행되기 전 6차 평가에서의 저위험군의 환자 중 욕창이 새로 생긴 환자의 분 율은 0.002±0.03였고,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된 이후의 7차 평가에 0.01±0.08였다.

고위험군의 환자 중 욕창이 악화된 환자의 분율은 6차 평가의 경우 0.13±0.39였 고 7차 평가에는 0.13±0.40였다. 이중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된 중재기관은 질 향 상 지원사업이 수행되기 전 6차 평가에서의 고위험군의 환자 중 욕창이 악화된 환 자의 분율은 0.40±0.61였고,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된 이후의 7차 평가에는 0.25±0.61였다.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되지 않은 비중재기관은 질 향상 지원사업 이 수행되기 전 6차 평가에서의 고위험군의 환자 중 욕창이 악화된 환자의 분율은 0.05±0.22였고,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된 이후의 7차 평가에 0.10±0.31였다.

고위험군의 환자 중 욕창이 개선된 환자의 분율은 6차 평가의 경우 31.61±19.58 였고 7차 평가에는 31.87±20.13였다. 이중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된 중재기관은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되기 전 6차 평가에서의 고위험군의 환자 중 욕창이 개선 된 환자의 분율은 24.29±18.21였고,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된 이후의 7차 평가에 는 31.00±22.63였다.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되지 않은 비중재기관은 질 향상 지원

사업이 수행되기 전 6차 평가에서의 고위험군의 환자 중 욕창이 개선된 환자의 분 율은 33.59±19.61였고, 질 향상 지원사업이 수행된 이후의 7차 평가에 32.13±19.33 였다.

<표 10> 연구대상 기관의 간호결과

간호결과 2015(6차)

(M±SD)

2018(7차) (M±SD) 유치도뇨관이 있는

환자분율(고위험군)

중재기관 20.44±16.22 16.04±14.97 비중재기관 8.33±8.77 8.66±9.56 전체 10.32±11.29 10.40±11.51 유치도뇨관이 있는

환자분율(저위험군)

중재기관 2.62±4.19 2.03±3.58 비중재기관 0.60±1.56 0.72±1.71 전체 0.93±2.34 1.03±2.36 일상생활수행능력감퇴환

자분율(치매환자군)

중재기관 6.82±5.96 2.63±2.95 비중재기관 1.13±1.51 1.23±2.04 전체 2.48±3.99 1.56±2.36 일상생활수행능력

감퇴환자분율 (치매환자제외군)

중재기관 5.63±5.30 2.18±3.55 비중재기관 1.01±1.83 0.94±1.79 전체 2.10±3.60 1.23±2.38 욕창이 새로 생긴

환자분율(고위험군)

중재기관 0.76±0.99 0.37±0.72 비중재기관 0.08±0.25 0.12±0.33 전체 0.24±0.60 0.18±0.46 욕창이 새로 생긴

환자분율(저위험군)

중재기관 0.08±0.55 0.23±0.24 비중재기관 0.002±0.03 0.01±0.08 전체 0.02±0.27 0.01±0.13 욕창이 악화된

환자분율(고위험군)

중재기관 0.40±0.61 0.25±0.61 비중재기관 0.05±0.22 0.10±0.31 전체 0.13±0.39 0.13±0.40 욕창개선환자분율

(고위험군)

중재기관 24.29±18.21 31.00±22.63 비중재기관 33.59±19.61 32.13±19.33 전체 31.61±19.58 31.87±20.13

※ 높을수록 개선을 의미함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