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대상자의 영역별 디스트레스수준

연구대상자는 항암화학요법 단계에 있는 위 ․ 대장암 환자를 표적 모집단으 로, 경기도 소재 A대학병원 종양내과에 항암화학요법을 위해 외래를 방문하거 나 입원중인 위 ․ 대장암 환자를 근접 모집단으로 하여 편의 추출하였다. 대상 자 선정 기준은 1) 만 18세 이상의 성인 남녀 2)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3) 진단명을 알고 있는 자 4) 본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서면 동의한 자 이다.

최소 표본 크기는 Cohen(1988)의 표본크기 계산법에 따라 사용될 통계적 검정법을 고려하여 G*power 3.1 Program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효과크기 (d) .30, 유의수준(⍺) .05, 검정력(1-β) .90로 선정하였을 때 필요한 표본 수는 최소 109명이 필요하나 탈락률 10% 고려하여 12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 하였다. 설문 도중 답변을 힘들어하는 대상자 3명은 동의를 철회하여 총 117 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C.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학적 특성 15문항, 디스트레스 39문항, 대처 15문항으로 총 69문항으로 구성한 구조화된 설문지 이다.

1. 디스트레스

본 연구에서는 미국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에서 개발한 디스트레스 문제목록의 한국어 버전을 사용하였다. 디스트레스 문제목록은 정 서적 문제(6문항), 실생활의 문제(6문항), 가정문제(4문항), 영적/종교적 문제 (1문항), 신체적 문제(22문항)의 5개 영역으로 설문 당일을 포함한 지난 일주 일 간 대상자가 경험한 문제를 예/아니오로 표시하도록 한다. ‘예’는 1점,

‘아니오’는 0점으로 측정하여 각 영역별로 점수가 높을수록 디스트레스수준 이 높음을 의미한다. 번역 당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는 .92이었으며, 본 연구의 신뢰도 Cronbach's ⍺는 .86이었다.

2. 대처

본 연구에서는 Callista Roy 등(2016)이 개발한 Coping and Adaptation Processing Scale Short-Form(CAPS-SF)을 송치은 등(2018)이 한국 암 환자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번역 한 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KCAPS-SF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자원 초점화 대처, 신체화와 고정 반응 대처, 긍정화와 지식기반 대처, 경고 사고과정 대처의 4개 영역, 총 15문 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4점 리커트 척도로 1점(절대 그렇지 않다)에 서 4점(항상 그렇다)으로 응답하도록 하고 있으며, 5, 13, 14문항은 역 환산 하였다. 각 영역별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대처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송기원

등(2018) 연구에서 연구 도구 신뢰도 Cronbach’s ⍺는 .83이었으며 본 연 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는 .79이었다.

D.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를 시작하기 전,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를 위해 해당 대학병원의 기관 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의 심의를 거친 후 2018년 11월 1일부터 2019년 2 월 28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경기도 A대학병원의 종양내과와 간호부에 설 문조사 진행 여부를 사전에 허락받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대상자 선별 을 위해 연구자가 직접 전자 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진단명과 항암 치료여부를 사전에 확인하였다. 선정·제외기준에 부합되는 연구대상자에게 연 구자가 직접 연구목적을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환자에게만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 본인이 직접 작성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연구자가 설문지의 내용을 읽 어준 후 대답을 작성하였으며, 응답을 완료한 설문지는 밀봉하여 연구자가 직 접 회수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모든 대상자에게는 소정의 답례품을 제공하였다.

E.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SPSS Versio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 석하였으며,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자료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항암화학요법 단계에 있는 위 ․ 대장암 환자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은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항암화학요법 단계에 있는 위 ․ 대장암 환자의 디스트레스수준과 대처수 준은 평균과 표준편차, 평균평점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항암화학요법 단계에 있는 위 ․ 대장암 환자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디스트레스, 대처수준의 차이는 t-test와 ANOVA를 이용 하여 분석하였으며, Scheffe test로 사후검정하였다.

넷째, 항암화학요법 단계에 있는 위 ․ 대장암 환자 디스트레스수준과 대처수준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F.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에 참여하는 대상자 보호를 위해 해당 대학병원의 기관연구윤 리심의위원회(IRB)의 심의를 거쳐 승인을 얻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승인번 호: AJIRB-SBR-SUR-18-338). 연구자는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지에 연구 참여 동의서를 첨부하여 연구의 취지와 목적, 자료수집방법, 자율성 및 비밀보 장 등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고 설문 도중 언제든지 응답을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이익은 없음을 명시하였다.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는 개인 식 별번호를 이용하여 입력한 후 연구자에게만 접근이 허용될 수 있도록 보완을 유지하여 보관하고, 연구정보가 포함된 PC 의 경우 암호를 설정하여 관리하였 다. 또한 연구대상자에게 추후 연구 피험자로서의 권리에 대한 질문이 있을 경

우 언제든지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기관윤리 심의위원회와 연구자의 연락처를 제공하였다.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모든 자료는 연구 종료시점으로부터 3년 후 에 모두 폐기할 예정이다.

Ⅳ. 연구결과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 총 117명의 연령범위는 29세에서 87세이고 평균 연령은 59.10 세로 61세 이상인 대상자군이 50명(42.8%)으로 가장 많았고 51~60세 대상 자군이 41명(35.0%), 50세 이하 대상자군이 26명(22.2%)이었다.

이들은 과반수이상(67.5%)이 남성이었으며 대부분(80.3%)이 배우자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 교육수준이 ‘고등학교 졸업’인 대상자군이 52명 (44.4%)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졸 이하 대상자군은 34명(29.1%), 대학교졸 이상 대상자군이 31명(26.5%)이었다. 또한 과반수이상이 종교와(60.7%) 직 업이(65.8%) 없었다.

지각된 경제 상태는‘중 이상’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군이 71명(60.7%)으로

‘하 이하’로 응답한 대상자군보다(39.3%) 많았고 일상활동정도는‘스스로 불가능’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군이 61명(52.1%)으로 과반수이상이었다<표 1>.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117)

변수 범주 n (%) 평균±표준편차(범위)

나이(만) 117 (100.0) 59.10±11.26(29∼87)

≤ 50세 26 (22.2)

51~60세 41 (35.0)

≥ 61세 50 (42.8)

성별 남자 79 (67.5)

여자 38 (32.5)

배우자 유무 유 94 (80.3)

무 23 (19.7)

교육수준 중학교졸 이하 34 (29.1)

고등학교졸 52 (44.4)

대학교졸 이상 31 (26.5)

종교 유 46 (39.3)

무 71 (60.7)

직업 유 40 (34.2)

무 77 (65.8)

지각된 경제 상태 중 이상 71 (60.7)

하 이하 46 (39.3)

일상활동정도 스스로 가능 56 (47.9)

스스로 불가능 61 (52.1)

2. 연구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

연구대상자의 암 유형별 분포를 보면, 연구대상자 대부분이 대장암 환자군이 (75.2%)이었다. 처음 암을 진단받은 이후 경과 기간은 평균 18.48개월(최고 105개월)이었는데 12개월 이하라고 응답한 대상자군이 61명(52.1%)으로 가 장 많았고 13개월에서 24개월이 29명(24.8%), 25개월 이상이 27명(23.1%) 순이었다.

현재까지 누적 항암화학요법 시행횟수는 평균 12.62회로(최고 65회) 평균 시행횟수인 12회 보다 적었던 대상자군이 과반수이상이었고(63.2%), 외래 중 심이 아닌 병원에 입원하여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대상자군(94%)이 대다수 였다.

조사 시점의 암 병기는 4기인 군이 76명(65.0%)으로 가장 많았고 2기를 포 함한 3기 이하 군이 41명(35.0%)이었다. 현재까지 받았던 치료로는 항암화학 요법과 수술을 받은 경우가 75명(64.1%)로 가장 많았으며 항암화학요법만 시 행한 대상자군(19.7%), 항암화학요법과 수술 및 방사선치료를 모두 시행한 대 상자군(16.2%) 순으로 나타났다<표 2>.

<표 2> 연구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

(N=117)

변수 n (%) 평균±표준편차

진단명 위암 29 (24.8)

대장암 88 (75.2)

진단 시기(달) 18.48±21.25

≤12 61 (52.1)

13~24 29 (24.8)

≥25 27 (23.1)

항암화학요법 시행횟수 12.62±11.34

≤12 74 (63.2)

≥13 43 (36.8)

항암화학요법 시행장소 외래 주사실 7 (6.4)

병원 입원 110(94.0)

조사 시점의 암 병기 3기 이하 41 (35.0)

4기 76 (65.0)

현재까지 치료 병력 항암화학요법 23 (19.7)

항암화학요법+수술 75 (64.1)

항암화학요법+수술+방사선 19 (16.2)

B. 연구대상자의 영역별 디스트레스수준

<표 3> 연구대상자의 영역별 디스트레스수준

신체적 문제 0.33±0.2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