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장에서는 제주지역의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피해수준과 사회적 지지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피해수준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분석,사회적 지지근원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차이검증,변량분석 실시,부부관계 유형에 따른 피해수준과 사회적지지 등을 밝히기 위해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대한 해석을 제시하고 자 한다.

1.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피해수준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피해수준과 사회적지지의 정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피해수준을 심리적,신체적,성적,상해 피해수준으로 분류하였 고,사회적 지지도 그 정서적,정보적,물질적,평가적 지지로 분류하여 빈도분석 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1.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피해수준과 사회적 지지 간에 유의미한 상관 이 있을 것이다.

가설 1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피해수준과 사회적 지지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을 것인가’를 검증해 보니,각 요인의 하위유형간 p<0.01수준의 높 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다.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심리적 피 해수준과 성적 피해수준은 정서적 지지에서 부적상관이 나타났고,신 체적 피해수준에서는 정서적 지지,정보적 지지,물질적 지지,평가적 지지 전체에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상해 피해수준은 정서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해수준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심리적 0.00 6.00 3.83 1.45

신체적 0.00 6.00 2.57 1.59

성 적 0.00 5.83 1.23 1.23

상해적 0.00 6.00 1.67 1.18

전 체 0.00 5.32 2.46 1.25

조사대상자의 피해수준 정도에 대해 기술통계를 실시한 결과는 <표 Ⅳ- 1>과 같이 심리적 피해수준은 가장 일반적으로 자주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폭력빈도에 관한 연구를 한 정서영(1995)과 손연주(19 97)의 연구와 일치한 것으로서 심리적 폭력은 가장 일반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광범위하며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Ⅳ-1> 조사대상자의 피해수준 기술통계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피해수준의 유형을 심리적 폭력,신체적 폭력,성적 폭력, 상해 4가지로 구분하였다.조사대상자의 심리적 폭력 피해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Ⅳ-2>과 같다.

심리적 약한 폭력의 경우 20회 이상의 응답이 전체 응답자 중 48.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심리적 강한 폭력 또한 20회 이상의 피해수준이 전체응답자 중 2 3.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이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폭력빈도 측면에서 심리 적 폭력이 가장 일반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광범위하며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 는 것을 알 수 있다.

신체적 폭력 피해수준의 분석결과는 신체적 약한 폭력의 경우 3-5회의 응답이 19.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신체적 강한 폭력의 경우 없음이 25.9%로 가장 높 게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가해자인 남편은 부부관계를 단절하지 않을 정도의 신체적 약한 폭력으로 자신의 의사를 관철하고 상대를 통제하는 수단으로 가장 쉽게 사용하며 신체적 강한 폭력은 법적 제재와 관계단절을 우려하여 피하고 있 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그리고 나머지 성적폭력,상해 피해수준 분석결과에 서는 약한 폭력이나 심한 폭력 둘 다 없음의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이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경우 이미 폭력이 만성화됨에 따라 심리적 폭력이외의 유

형 간에 큰 편차가 없음을 나타낸다.

지지유형별 최소값 최대값 평균(점) 표준편차

사회적지지

피해수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 평 균 심리적 -0.4829*** -0.0641 -0.1489 -0.0934 -0.1907*

신체적 -0.4205** -0.2188** -0.2555** -0.2302* -0.3528**

성 적 -0.1924* -0.0597 -0.0886 -0.0605 -0.1250 상 해 -0.3191** -0.1491 -0.2695** -0.0930 -0.2651**

평 균 -0.3802** -0.1594 -0.2252 -0.1819 -0.2941**

<표 Ⅳ-5> 피해수준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가설 2.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지지 근원에 따라 유의 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피해수준과 사회적지지 사이의 관계를 알기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는 <표 Ⅳ- 5>과 같다.피해여성들의 응답결과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적지 지가 높으면,피해수준이 낮은 양상의 양 변인간의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그 중 의미있게 나타난 결과로는 정서적 지지를 충분히 받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은 완충 효과로서 심리적 피해수준이 낮은 p<0.001수준의 높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다.그리고 신체적 피해수준과 상해 피해수준은 똑같이 정서적 지지와 물질 적 지지에 p<0.05의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정서적 지지 와 물질적 지지가 폭력 피해수준에 적절한 문제해결 대처방식을 찾을 수 있도록 정서안정에 도움을 주고,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물질적 도움으로 폭력상황에서 벗 어나는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p<0.05, ** p<0.01, *** p<0.001

2.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지지 근원간 차이검증

가설 2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지지 근원에 따라 유의미 한 차이가 있을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사회적지지 유형별 근원간 변량분석한 결 과 사회적 지지 유형에 따라 사회적 지지 근원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 <표 Ⅳ-6>

구분 가족 친구 이웃 사회

명 % 명 % 명 % 명 %

정서적 지지 55 50.93 19 17.59 1 0.93 33 30.56

정보적 지지 22 20.37 29 26.85 3 2.78 54 50.00

물질적 지지 75 69.44 17 15.74 3 2.78 13 12.04

평가적 지지 30 27.78 30 27.78 3 2.78 45 41.67

<표 Ⅳ-6> 사회적 지지 근원의 기술적 분석 (단위:명,%)

와 같이 나타났다.즉,정서적 지지에서는 가족이 50.9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보적 지지는 사회가 50.00%,물질적지지에서는 가족/친척 69.44%,평가적 지지 는 사회가 41.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정서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는 친밀감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가족으로부터 지지를 받는다고 인식하고,개인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적절한 정보적 지지와 평가 적 지지의 근원으로는 피해여성 자신에 대한 이해,가치에 대한 존중을 보여주는 보다 전문성을 갖춘 사회가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이러한 결과는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지지근원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인식에 변화 필요성이 있다는 결과를 지지해 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사회적 지지에 따른 사회적 지지 근원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변량분석을 실 시한 결과는 <표 Ⅳ-7>과 같다.연구대상자들은 사회적 지지 근원에 대해서 p<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6.836,p<0.01).주로 상담 원,사회복지사 등을 비롯한 한 사회(M=3.94)와 가족(M=3.83)으로부터 정서적 지 지를,정보적 지지는 사회(M=4.23)와 가족(M=3.87)에서,물질적 지지는 가족 (M=3.65)과 친구(M=3.41)로부터,평가적 지지는 사회(M=3.88)와 가족(M=3.86)으 로부터 정서적 지지를,정보적 지지는 사회(a=4.23)와 가족(a=3.87)에서,물질적 지지는 가족(a=3.65)과 친구(a=3.41)로부터,평가적 지지는 사회(a=3.88)와 가족 (a=3.86)으로부터 제공받고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웃의 경우 가정폭 력 피해여성의 지지근원으로서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지지근원으로서 이웃은 각기 다른 산업경제 환경속 에서 서로에 대한 관심 부족과 교류단절로 인해 과거보다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 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진다.

구 분 빈도 평균 표준편차 t/F(사후검증)

구 분 빈도 평균 표준편차 t/F(사후검증)

구 분 빈도 평균 표준편차 t/F(사후검증)

구 분 빈도 평균 표준편차 t/F(사후검증)

가설 3.부부관계 유형에 따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피해수준은 유의미한

피해수준 부부관계유형 빈도(N) 평균(A) 표준편차 t/F(사후검증)

가설 4.부부관계 유형에 따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사회적 지지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4.가정폭력 피해여성의 부부관계 유형에 따른 사회적 지지 정도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부부관계 유형에 따른 사회적 지지 정도를 살펴보기 위 해 <표 Ⅳ-13>와 같이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정보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에 대해서 이혼소송중인 집단이 다른 이혼하거나,쉼터나 가정에 있는 집단과 비교 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F=4.640,3.321,p<0.01).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이혼소송중인 피해여성은 이미 이혼을 했거나 이혼의사 가 없는 피해여성보다 자신의 피해수준을 외부에 노출하여 사회적인 지원체계인 정보적,물질적 지지가 필요한 집단이고 실질적으로 다른 집단보다 많이 받고 있 다고 인식하고 있다.이러한 결과는 피해여성이 폭력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적절한 정보체계와 경제적 지원체계가 필요한 것으로 해석된다.

사회적 지지 부부관계유형 빈도 평균 표준편차 t/F(사후검증)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