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기업의 투자활동이 부진하고 경기침체 도 장기화되면서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이 저하되고 있다는 우려 가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투자 부진의 원인과 이에 따른 성장 잠재력의 저하 가능성을 이론적이고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

최근 투자부진의 원인은 수익성의 감소와 투자위험의 증가에 기 인한다고 볼 수 있다

.

먼저 외환위기 이후 생산성의 저하는 투자의 수익성을 감소시켰다

. 1980

년부터

1997

년 외환위기 직전까지 평균

4.26%

의 성장세를 보이던 총요소생산성은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급

락한 이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외환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는 데 그치고 있다

. 2001

2005

년간 총요소생산성의 평균 증가율은

1.64%

에 그치고 있다

.

이처럼 생산성이

2001

년 이후 지체되고 있는 것은 투자의 수익성이 그만큼 정체되고 있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

.

또한

,

대기업의 고임금 구조 및 경직적인 노사관계는 투자의 수익 성을 낮추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

주요 경쟁상대국들과 비교할 때 우리나라의 임금수준은 높은 수준이지만

,

생산성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

더구나 노사관계도 다른 경쟁국에 비해 훨씬 뒤쳐진 상태이다

.

또한 투자의 세후 수익률에 큰 영향을 미치는 법인세율도 최근 들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기업투자를 감소시키는 요인으 로 작용하고 있다

.

기업의 영업이익에 비해 상대적으로 법인세 납부 액은 높아지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80

기업의 투자활성화를 통한 성장잠재력 확충

한편 기업의 경영권 불안 등은 기업의 장기적인 투자를 위축시키 고 있다

.

외환위기의 한 원인으로 지목된 외형성장 위주의 기업의 성장전략을 가능하게 한 소유지배구조를 개편하자는 논의가 계속되 고

,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지분이 높아지면서 장기적인 투자보다는 단기적인 성과와 배당요구가 높아지는 것도 기업의 경영권을 위협 하는 동시에 투자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

이러한 투자부진을 촉발한 요인에 대하여

1981

2005

년간 우리나 라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한 결과

,

최근 이자율의 하락은 투자증 가에 거의 영향이 없는 반면

,

노사분규

,

생산성 저하는 투자를 위축 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

또한 높아지는 실효법인세율과 규제 및 정 책의 불확실성은 앞에서 언급된 요인들보다 투자를 위축시키는 데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

고전파 성장모형을 우리 경제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해 본 결과

, 2001

2005

년간 총요소생산성의 저하

,

인구증가율의 감소

,

자본소득 세율의 증가는 균제상태의 총투자율을

27.8%

에서

24.6%

로 감소시 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와 함께 경제성장률도

2001

2010

년간 평 균 경제성장률을

5.605%

에서

4.343%

, 2011

2020

년간 평균 경제 성장률을

6.027%

에서

3.681%

, 2021

2030

년간 평균 경제성장률을

6.115%

에서

3.697%

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이러한 경 제성장률 하락에는 자본소득세율의 상승이나 인구증가율의 하락보 다 생산성 저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R&D

를 고려한 내생성장모형에 대하여

1970

2005

년간 우리나라 자료를 이용하여

R&D

투자의 기술진보 및 경제성장에 대해 실증분 석한 결과에 따르면

, R&D

집약도는 연구부문의 기술진보를 촉진시 키고 그 결과 균제상태의 경제성장률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

제5장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81

으로 드러났다

. R&D

집약도에 대한

1

인당 경제성장률의 탄력성은

0.088

로 추정되었고

, GDP

대비

R&D

지출비율을

1%p

증가시켰을 때

1

인당 경제성장률은

0.332%p

상승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82

기업의 투자활성화를 통한 성장잠재력 확충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