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1 절 연구모형의 구성

본 연구에서는 한국 조명기구 시장에서 브랜드 공명의 구조적 인과관계 를 살펴보고자 Keller (2003)의 CBBE 모형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CBBE 모형에서 제시된 핵심 개념들 (브랜드 인지/연상, 성능, 심상, 판단, 느낌, 공명)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앞서 검토하였다. CBBE의 모형에서는 이와 와 같은 브랜드 자산의 핵심변수들이 4단계의 계층적 인과관계를 갖는 것 처럼 묘사되었다. 즉 첫 단계에서 소비자는 브랜드 인지와 연상의 과정을 거치면서 브랜드의 정체성을 먼저 지각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 브랜드 정 체성을 브랜드 성과와 심상의 차원에서 부여하게 된다는 것이다. 세 번째 단계에서 소비자는 그 브랜드에 대한 반응으로서 인지적 판단과 감성적 감정을 느끼며, 이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결과가 고객-브랜드의 관계 즉 브랜드 공명에 이른다는 것이다

Keller (2003)의 CBBE 모형은 브랜드 공명에 관한 인과관계 모형을 제 시하려는 본 연구에 몇 가지의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첫째, 브랜드 공명은 브랜드 인지/연상에서 시작된다. 둘째, 소비자는 두 가지의 주요 차원에서 이에 반응하게 된다. 즉 좌측경로의 이성적 반응과 우측경 로의 감성적 반응을 보이며, 이러한 두 반응의 결과가 고객-브랜드 관계 를 나타내는 브랜드 공명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셋째, 브랜드 성과를 중심 으로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이성적 판단이 브랜드 공명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소비자의 직관적인 감정과 느낌이 더 큰 영향력을 끼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 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공명에 관한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연

구모형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고자 한다.

브랜드 연상

인지적 판단

감성적 느낌

브랜드 공명 H1

H2 H5

H4

H3

행위적 충성

태도적 애착

자아 개입

< 그림 3-1 > 연구모형

제 2 절 연구가설

Keller (2003)의 CBBE 모형과 관련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 그 림 3-1 >의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이의 연구모형을 논의하면서 관련된 연구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1. 브랜드 인지의 효과

수많은 선행연구에서는 브랜드 인지와 연상이 핵심적인 구성요인이라고 밝히고 있다 (Berry 2000; Keller 1993). 즉 효과적인 브랜드 자산을 구축 하고 유지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에서는 소비자가 특정 브랜드에 대하여 긍정적이고 우호적이며 다른 브랜드와는 다른 독특한 연상을 하도록 유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Keller, 1993). 브랜드 인지도와 연상이 브

랜드 선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Aaker 1991; Gladden &

Funk, 2001; Keller, 1993, 2002), 고객-브랜드의 관계에 즉각적인 효과를 미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Faircloth et al. 2001). 소비자들은 마케팅 메시 지 또는 직접적인 제품 경험을 통해 브랜드를 알게 된다. 이와 같은 소비 자의 직간접적 제품 경험이 소비자의 브랜드 성과에 대한 이성적 판단, 그리고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감성적 느낌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끼치게 된다.

브랜드 성과에 대한 이성적 판단은 제품의 주요 기능적 특성, 신뢰성/

서비스가능성, 디자인, 가격, 품질수준 등의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브랜드 의 기능적 가치에 대한 소비자의 이성적 판단은 본질적으로 브랜드의 성 과에 대한 인지적 평가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브랜드의 기능 성에 대한 인지적 평가는 제품이 소비자에게 어떤 실용적, 쾌락적 가치를 가져다 줄 수 있는지에 대한 평가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브랜드 인지와 연상 이후에 소비자는 그 브랜드가 자신에게 어떤 실용적, 쾌락적 가치를 전달해 줄 수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즉 그 브랜드가 어떤 기능을 하고, 실제로 어떻게 작동을 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게 된다.

또한 선행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감성적 반응의 역할과 소비자 행동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해서 많은 연구노력을 기울여 왔다 (Bagozzi et al. 1999;

Chaudhuri and Holbrook 2001; Thompson et al. 2006). 감성적 느낌이란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소비자의 정서적 반응이며 (Keller 2003), 소비자들 은 브랜드와 관련된 다양한 경험을 겪으면서 브랜드 이미지를 지각하고, 이러한 브랜드 이미지의 결과가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감성적 느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Keller 2003). 특히 브랜드의 현저성이 두드러진 경 우, 브랜드 인지/연상이 높은 브랜드에 대하여 보다 확실한 브랜드 이미 지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때 경험한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정서적 반응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소비자는 브랜드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하면서 시각, 청각, 후 각, 촉각을 이용한 감각 체험으로 이성적 합리성보다는 감정을 느끼게 될 수 있다. 즉 신체의 감각을 이용하여 브랜드의 정체성과 이미지를 연상하 는 방법으로 브랜드에 내재된 감성과 느낌을 를 탐색하게 된다 (이정실 2012). 이와 같은 브랜드의 감성과 느낌은 쾌락적 가치와 매우 유사하다.

즉 소비자는 브랜드를 인지 또는 지각함으로써 즐거움, 재미, 오락, 제품 사용에 따른 사회적 평판 등의 감성적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Smith and Colgate 2007; Kim et al. 2003).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H1: 브랜드 연상은 브랜드 성과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적 판단과 정(+)의 관련이 있을 것이다.

H2: 브랜드 연상은 브랜드 성과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적 느낌과 정(+)의 관련이 있을 것이다.

H3: 브랜드 연상은 브랜드 공명과 정(+)의 관련이 있을 것이다.

H3-1: 브랜드 연상은 행위적 충성과 정(+)의 관련이 있을 것이다.

H3-2: 브랜드 연상은 태도적 애착과 정(+)의 관련이 있을 것이다.

H3-3: 브랜드 연상은 자아의 브랜드 개입과 정(+)의 관련이 있을 것이다.

2. 인지적 판단과 감성적 느낌, 그리고 브랜드 공명의 관계

소비자는 브랜드를 경험하면서 해당 제품에 대한 인지적 평가와 함께 감성적 느낌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소비자의 브랜드에 관한 인 지적 판단과 감성적 느낌의 경험은 브랜드와 관련된 자극으로 인하여 소 비자가 받게 된 감각, 느낌, 인지, 그리고 행위적 반응에 대한 소비자의 종합적인 평가라고 할 수 있다 (Brakus et al. 2008). 즉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적 판단과 감성적 느낌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단순한 심리적 반응을 넘어서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종합된 경험이며, 그에 따 른 평가 결과로 보는 것이 올바른 시각이다. 소비자는 브랜드에 대한 직 간접 경험 없이 짧은 시간 안에 브랜드를 평가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 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브랜드 경험이 쌓이면서 브랜드에 대한 자신의 인 지적, 감성적 반응을 평가하게 될 것이다 (Brakus et al. 2008). 이와 같은 인지적, 감성적 반응에 대한 평가결과는 소비자의 만족과 충성에 영향을 미친다 (Brakus et al. 2008).

Keller (2003)의 연구에 따르면, 브랜드의 기능성과 품질 성과에 대한 평가는 주로 소비자의 직접적 경험에 의해 이뤄지며, 간접적 경험에 의해 브랜드 심상(imagery)을 평가하거나 브랜드에 담겨있는 감성적 의미가 평 가된다.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평가결과는 결국 브랜드와 보다 밀접한 관계를 맺을 것인지, 또는 적당한 거리를 둘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다. 브 랜드와의 인지적 판단과 감성적 느낌의 경험은 브랜드와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높인다는 것을 의미하며, 브랜드와의 유대감 형성을 촉진할 수 있 다. 예를 들어, 특정 브랜드를 사용하고 생각하는 시간과 구매횟수가 많을 수록 브랜드 공명의 결과변수인 충성, 몰입, 애착, 공동체 의식 등은 높아 질 것이다 (Brakus et al. 2008). 즉 브랜드에 대한 인지적, 감성적 반응 경험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소비자의 자아와 관련된 특정한 특성과 브랜 드를 동일시할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브랜드 에 대한 몰입과 개입의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고객의 충성도와 함께 구매 의 가능성과 타인에 대한 추천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 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H4: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인지적 판단은 브랜드 공명과 정(+)의 관련 이 있을 것이다.

H4-1: 소비자의 인지적 판단은 행위적 충성과 정(+)의 관련이 있을

것이다.

H4-2: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인지적 판단은 태도적 애착과 정(+) 의 관련이 있을 것이다.

H4-3: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인지적 판단은 자아의 브랜드 개입 과 정(+)의 관련이 있을 것이다.

H5: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감성적 느낌은 브랜드 공명과 정(+)의 관련 이 있을 것이다.

H5-1: 소비자의 감성적 느낌은 행위적 충성과 정(+)의 관련이 있을 것이다.

H5-2: 소비자의 감성적 느낌은 태도적 애착과 정(+)의 관련이 있을 것이다.

H5-3: 소비자의 감성적 느낌은 자아의 브랜드 개입과 정(+)의 관련 이 있을 것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