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측정항목의 평가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4-59)

4. 실증분석

4.2 측정항목의 평가

4.2.1. 응답자 특성 분석

설문에 응답한 주요 응답자의 기업 특성을 분석한 결과 기업형태는 IT서비스 제공업체가 53개의 빈도수를 보여 가장 높은 비율(29.9%)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업 규모는 200명 이상 500명 미만이 빈도수 45개로 나타나 가장 높은 비율 (25.4%)을 보였다.

구분 빈도 비율

기업형태

선사/선사대리점 24 13.6%

터미널운영사 21 11.9%

국제물류주선자(포워딩) 10 5.6%

운수업자(운송, 주선) 21 11.9%

창고운영사 12 6.8%

국가기관 26 14.7%

IT서비스 53 29.9%

기타 10 5.6%

소계 177 100.0%

기업규모

30명 이하 39 22.0%

30명 이상 ~ 100명 미만 23 13.0%

100명 이상 ~ 200명 미만 37 20.9%

200명 이상 ~ 500명 미만 45 25.4%

500명 이상 ~ 1,000명 미만 13 7.3%

1,000명 이상 20 11.3%

소계 177 100.0%

Table 12 응답자 기업 특성 분석

설문에 응답한 기업의 블록체인 서비스 도입에 관한 특성을 분석한 결과 블 록체인 서비스 이용 계획 없음이 111개의 빈도수를 보여 가장 높은 비율 (62.7%)을 차지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서비스 도입 검토 39개(22.0%), 블록체인 서비스 도입 예정 27개(15.2%) 순으로 나타났다.

구분 빈도 비율

블록 체인서비스

향후 제공 및 이용 예정 27 15.2%

현재 제공 및 이용 0 0.0%

제공 또는 이용을 검토 중 39 22.0%

현재 계획 없음 111 62.7%

소계 177 100.0%

Table 13 응답자 블록체인 서비스 도입 특성 분석

설문에 응답한 주요 응답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근속연수는 11년 이상 15 년 미만이 46개의 빈도수를 보여 가장 높은 비율(26.0%)을 차지하였으며, 직급 의 경우 부장 이상 42개(23.7%), 연령의 경우 40대가 86개(48.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구분 빈도 비율

근속연수

5년 이하 34 19.2%

5년 이상 10년 미만 44 24.9%

11년 이상 15년 미만 46 26.0%

15년 이상 20년 미만 30 16.9%

20년 이상 23 13.0%

소계 177 100.0%

직급

사원 29 16.4%

대리 29 16.4%

과장 39 22.0%

차장 38 21.5%

부장이상 42 23.7%

소계 177 100.0%

연령

20대 8 4.5%

30대 70 39.5%

40대 86 48.6%

50대 13 7.3%

60대 0 0.0%

소계 177 100.0%

Table 14 응답자 특성 분석

4.2.2. 확인적 요인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은 연구자가 설정한 인과관계를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분 석하는 방법이다. 즉, 기본적인 모형을 연구자가 미리 설정하고, 수집된 자료가 설정한 모형에 얼마나 적합한지를 파악한 후, 인과관계의 정도를 파악하는 분 석방법으로 예측 변수를 완전히 통제할 수 있으며, 적합도 검정이 가능하므로 특정 개념의 측정지표에 대한 타당성 평가에 매우 유용한 분석 방법이다14).

14) D. W. Jin, "Empirical research on the impact factor of the corresponding to the mobile Internet service", Kwangwo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octoral thesis, 2007.

개념 신뢰도는 측정변수 간에 일관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 개념에서 측정변수 간의 공유분산을 가리킨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로 도출되 는 요인부하량과 오차분산의 값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그 값 이 0.7 이상이어야 한다15).

분산추출지수가 0.5 이상이면 구성타당성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해당 하는 잠재변수의 분산추출지수는 다른 모든 요인과의 상관관계 제곱보다 커야 하는데 이를 만족할 경우 판별타당성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평균분산추출 지수(AVE: Average variance extracted)의 경우 수치가 0.5 이상이어야 하고, 개 념 신뢰도의 경우 수치가 0.7 이상이면 수렴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16).

본 연구에서는 전체 연구변수를 동시에 이용하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 기에 앞서 외생변수와 내생변수에 대하여 각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공 분산 구조를 이용하여 연구모형 상의 모수들을 동시에 추정하였다. 모수 추정 법은 측정변수들의 정규분포를 가정하는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model) 을 이용하였다.

측정변수들에 대하여 신뢰성과 집중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확인요인분석 을 이용한 측정모형을 분석하여 <Table 15>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에서 조사하였던 각 구상개념에 집중타당성 분석 결과 지각된 가치 -> 신뢰성, 지각된 가치 -> 보안성, 지각된 가치 -> 무결성이 표준화 λ 0.5 이하로 분석되 어 측정변수에서 제외하였다. 연구 개념들에 대한 측정변수들의 비표준화 요인 부하 값의 C.R이 모두 3.30(p<0.001)을 초과해 유의하였다. 각 구성개념에 대한 집중 타당성은 표준화 λ 0.5 이상으로 분석되었다. 평균분산추출(AVE:Average Variance Extracted) 값은 0.5 이상, 개념신뢰도는 0.7 이상으로 외생변수들의 구성타당도는 충족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15) Anderson JC, Gerbing DW.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 103, no. 3, pp.411-423, 1988

16) B. R. Ba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Amos7”, Seoul: Chonramu, Inc, 2007.

구분

Non-s tanda rdized

λ

stand ardize

d λ

S.E C.R P AVE

개념 신뢰

사회영향 -> 사회평가 1.000 0.777      

0.672 0.889 사회영향 -> 외부지원 0.947 0.849 0.081 11.651 ***

사회영향 -> 권유 0.985 0.792 0.091 10.824 ***

사회영향 -> 유행 0.838 0.566 0.113 7.426 ***

지각된가치 -> 용이성 1.000 0.764

0.609 0.885 지각된가치 -> 편의성 1.056 0.780 0.104 10.198 ***

지각된가치 -> 유용성 1.066 0.772 0.106 10.093 ***

지각된가치 -> 처리시간 0.825 0.613 0.105 7.889 ***

지각된가치 -> 비용절감 0.927 0.603 0.120 7.753 ***

조직혁신성 -> 필요성 1.000 0.641

0.716 0.908 조직혁신성 -> 노력 1.518 0.896 0.153 9.933 ***

조직혁신성 -> 수용성 1.652 0.958 0.161 10.281 ***

조직혁신성 -> 관심도 1.669 0.802 0.182 9.151 ***

지각된위험 -> 금전적위험 1.000 0.635

0.714 0.951 지각된위험 -> 심리적위험 1.014 0.694 0.142 7.141 ***

지각된위험 -> 성능위험 0.960 0.772 0.127 7.583 ***

지각된위험 -> 기능위험 0.955 0.619 0.145 6.580 ***

이용의도 -> 수용의도 1.000 0.852

0.853 0.959 이용의도 -> 도입필요성 1.125 0.857 0.076 14.800 ***

이용의도 -> 업무의활용 1.184 0.912 0.071 16.570 ***

이용의도 -> 추천의향   0.903      

Table 15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확인적 요인분석의 판별타당성 분석 결과 잠재변수의 상관행렬에서 가장 높 게 나타나는 결정계수가 가장 큰 값은 사회영향과 지각된 위험으로 0.329이다.

각 잠재변수 간에 구한 AVE 값 중 모든 잠재변수 결정계수보다 AVE 값이 크 므로 판별타당도를 확보했다고 할 수 있다.

구분 사회영향 지각된

가치

조직

혁신성 지각된 위험 AVE

사회영향 1 0.672

지각된 가치 0.254 1 0.609

조직 혁신성 0.164 0.072 1 0.716

지각된 위험 0.329 0.293 0.077 1 0.714

Table 16 확인적 요인분석의 판별 타당성 결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4-5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