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역내 자본이동 자유화

(

간지

)

지금까지의 논의를 종합해 보면

,

아시아 지역의 금융시장은

1997

년 외환위기 이후 주목할 만한 체질적 변화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그러나 역내 금융통합으로 가는 길은 아직 요원해 보이 는데

,

이는 여전히 아시아 금융시장의 질적 수준이 상대적으로 낙후 되어 있고

,

역내 국가 간에도 많은 편차를 보이고 있다는 데 부분적 인 요인이 있다

.

또한 금융통합의 최대 장애요소로 지적되고 있는 역내 공동체 인식의 부재에 대한 정책적 대안이 없었다는 것도 통합 논의의 진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

역내 국가 간 금융시장 개방을 통한 자본흐름의 자유화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시킬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

역내 국가 간 금융시장 개방은 경쟁의 도입을 통해 해당국의 금융산업 발전에 긍 정적인 영향을 준다

.

이와 관련하여

Levine

(2001)은 국제 포트폴리오 흐름에 대한 제한의 완화는 주식시장의 유동성 증진에 도움을 준다 고 주장했으며

, Chinn and Ito

(2002)와

Huang

(2006)은 금융시장의 개 방이나 자본통제가 금융산업의 발전수준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인 바 있다

.

또한 금융시장 개방 및 자본흐름 자유화를 단계적으 로 역내 국가를 상대로 시행함으로써 국제 금융자본에 대한 역내 금 융시장의 개방에서 오는 시장 불안정성을 해소할 수도 있다

.

더불어 국제 금융시장의 통합 내지 동조화라는 큰 추세에 비추어 보더라도 역내 국가 간 자본흐름의 자유화는 역내 통합이라는 정책과제와 별 개의 독립된 중요성을 띤다

.

또한 자본흐름의 자유화는 점증하고 있 는 역내 무역과 더불어 상대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상호 교류를 증진함으로써 경제공동체로서의 아시아에 대한 인식을 확산하는 데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다

.

상품무역과 달리 자본흐름의 자유화는 해당 국가 간의 정보공유를 촉진시키며 나아가 국가 간 금융산업의

경쟁 및 규범의 수렴을 통해 역내 금융산업의 수준 향상에 촉매로 작용할 수도 있다

.

유럽의 경우를 보더라도

1980

년대 들어 대내외적 경제환경이 변화하고 국제 금융시장의 통합이 이루어지면서 통화동 맹의 중요한 선결조건으로서의 자본흐름 자유화의 중요성이 부각되 었다

.

이에 따라

1986

년과

1988

년 두 해에 걸쳐 회원국 간의 완전한 자본이동에 대한 새로운 법령을 제정한 바 있다

.

40)실증적으로도 통 합 이전 유럽지역에서의 자본흐름 자유화 수준에 대한 연구들이 행 해졌고

,

유럽 국가 간 자본의 흐름이 상당한 수준으로 자유화되어 있음을 발견한 바 있다(Armstrong et al., 1995)

.

본 장에서는 현재 아시아 지역의 역내 국가 간 금융시장의 개방 수준을 자본흐름의 현황을 통해 짚어보고

,

자유로운 자본이동에 걸 림돌이 될 수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

이에 대한 개선점을 도출하 고자 한다

.

40) 정홍열(1998)

1. 역내 자본흐름의 현황

근래 들어 진행되고 있는 금융세계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41) 우선 국가 간 자본이동이 장기 부 채나 직접투자보다는 단기차익을 노리는 단기 포트폴리오 주식투자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

이는 개발도상국들이 차례로 자 국의 자본시장을 개방하면서 성장가능성이 높은 이들 국가들의 주 식시장에 투자함으로써 높은 단기 수익을 올리는 것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

이와 더불어 선진국을 중심으로 자산구성의 다변화를 목 적으로 하는 자본투자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데

,

투자 다변화의 주 요 도구로 은행권보다는 주식시장이 더욱 선호되고 있다(Lane and Milesi-Ferretti, 2005)

.

그러나 아시아 지역 국가들 사이에서는 이와는 다소 다른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

아시아 역내의 자본흐름은 주로 채권시장과 직접투 자를 통해 이루어지며

,

단기투자 이익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대상 국가의 생산능력 향상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지고 있다

. <

6>

은 아 시아 주요국들이 해외에서 발행한 채권총액과 그 중 아시아에서 매 입되는 채권의 비중을 나타내고 있다

. 2002

2005

년간 이들 국가들 이 자금조달을 위해 해외시장에 발행한 채권의

43.1%

가 아시아 시 장에 흡수되고 있다

.

이와 더불어

ASEAN

지역으로의 직접투자도 이 지역의 경제가 빠른 속도로 성장하기 시작하면서 크게 늘어나고 있 다(<표 7> 참조)

.

ASEAN

직접투자는 특히

2004

년 이후 급격히 증 가하고 있는데

,

한국의 경우 대

ASEAN

투자가

2006

년에는 미국을 제 치고 일본

, EU

의 뒤를 이어 세 번째를 기록했다

.

41) 금융세계화와 이에 따른 자본이동의 변화에 대한 상세한 논의는 Cowen et al.(2006), Jean et al.(2005), 조복현(2006) 등을 참조하기 바란다.

❙표 6. 국별 해외시장 채권 발행 규모(2002년 9월∼2005년 5월)

국가 발행건수 발행채권 총액(십억 달러) 아시아(%)

중국 5 3056 43.1

인도네시아 7 3100 58.8

한국 25 11498 44.8

필리핀 6 3230 48.1

싱가포르 3 2617 55.4

태국 1 350 65

평균 43.1

자료: Rana(2007), 수정 재인용.

❙표 7. 대아세안 지역 직접 투자 추이

(단위: 백만 달러, %)

Partner country/region 200 4 2005 2006

아세안 2,803.7(8.0) 3,765.1 6,242.1

미국 5,232.4(14.9) 3,010.6 3,864.9

일본 5,732.1(16.3) 7,234.8 10,803.3

EU-25 10,046.1(28.6) 11,139.6 13,361.9

중국 731.5(2.1) 502.1 936.9

한국 806.4(2.3) 577.7 1,099.1

호주 566.7(1.6) 195.9 399.2

인도 118.7 351.7 (380.4)

캐나다 301.2 161.3 274.0

러시아 5.6

뉴질랜드 3.5 480.7 (282.8)

파키스탄 4.8 3.5 7.8

기타 8,770.1 13,644.9 16,047.9

총액 35,117.2 41,067.8 52,379.5

: ( ) 안의 숫자는 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임. 자료: ASEA N 해외직접투자 데이터베이스, 2007.

아시아 주요국의 종목별 대외자산 현황을 보면

2000

년 이후 이 지 역 국가들의 국제 금융시장에서의 활동이 아주 활발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표 8> 참조)

.

아시아 지역 금융의 주축을 이루고 있 는 은행분야의 대외투자 활동이

2000

년 이후 다소 부진해진 반면

,

고도의 금융기법 지식을 요구하는 파생상품이나 포트폴리오 투자 거래가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

역내에서 일본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 고

,

대외자산 규모의 증가가 중국을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지 만

,

미미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던 한국과 다른 아시아 지역 국가들 의 이 분야 참여수준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은 긍정적인 현상이라 고 할 만하다

.

❙표 8. 주요국 종목별 대외 자산 현황

(단위: 십억 달러)

구 분 파생상품 은행 포트폴리오 투자

2000 2005 2000 2005 2000 2005

중국(홍콩) 8.44 20.80 23.86 -4.06 -22.02 -40.72

한국 0.53 3.54 -1.22 -0.59 -0.52 -13.55

말레이시아 0.28 -0.06 1.58 -0.39 -0.72

필리핀 0.17 0.10 2.27 -2.29 -0.81 -1.15

태국 0.00 0.38 -2.19 -1.70 -0.16 -1.45

싱가포르 2.04 -9.23 -13.37 -18.18

일본 106.74 230.59 36.51 -29.80 -83.36 -196.40

총액 116.16 255.35 61.27 -46.09 -120.63 -272.17 자료: IMF,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 tics, 2007. 5.

아시아 지역의 빠른 경제성장과 점차로 발달해 가는 역내 금융시 장 덕분으로 역내 포트폴리오 투자가 급증하고 있다(<표 9> 참조)

.

1997

년 이후 이 지역의 내부 포트폴리오 투자는 증권투자가

1310

달러(1997)에서

4740

억 달러(2004)로

,

채권투자는

810

억 달러(1997)에 서

1490

억 달러(2004)로 크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

같은 기간 외 부투자도 크게 증가해서 증권투자는

190

억 달러에서

2670

억 달러

,

채권투자는

200

억 달러에서

3520

억 달러로 증가했다

.

대내외적 포 트폴리오 투자가 이처럼 급격히 증가한 데는 홍콩

,

한국

,

싱가포르 등의 신흥공업국들의 투자 증가에 기인한다

.

이에 병행하여 신흥공 업국 간 상호투자도 크게 늘어

1997

10

억 달러에서

2004

230

억 달러에 이르고 있다

.

역내 신흥공업국과 신흥개발도상국 간의 자본 이동은 다소 비대칭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전자의 후자에 대한 투자는 대폭 증가해서 현재 증권투자의 경우

380

억 달러

,

채권투자 는

290

억 달러에 달하고 있는데

,

후자로부터 전자로의 자본이동은 증권시장에서는 활발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반면 채권시장을 통한 자본이동은 미국

,

일본

,

유럽연합에 편중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이 는 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전수준이 낮은 아시아 채권시장의 특 성을 반영함과 동시에

,

두 그룹의 투자 동기가 서로 다름을 보여주 고 있다

.

신흥공업국들의 대신흥개발도상국 투자 동기는 새로운 수 출시장과 안정된 자원공급의 확보에 있으므로 단기투자 이외에도 채권투자와 같은 장기투자가 늘고 있는 반면

,

신흥개발도상국들의 경우는 안정적 소득원의 확보가 대외 채권투자의 주요 동기로 작용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2. 역 내 제도기반 비교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 대내외 자본이동의 활성화와 함께 이 를 기반으로 한 역내 금융시장의 통합 수준에 대한 연구도 왕성하게 진행되고 있다

.

그러나 앞서 본 바와 같이 역내 금융시장의 양적 내 지 질적의 개선과 역내 국가 간 투자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

대부분 의 경우 아시아의 금융시장은 역내보다는 역외 경제와 통합이 더 잘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이와 관련된 최근의 연구들을 간략히 살펴보면

,

우선

Click and Plummer

(2005)가

ASEAN-5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이 지역 의 금융통합이 다소 진전은 있었으나 아직 미비한 수준임을 보였다

.

이외에도

Yongseung Jung et al.

(2004)이 한・중・일

3

국을 대상으로 금융시장 통합정도를 테스트하고

, 3

국의 금융시장이 미국 금융시장과 더 밀접하게 통합되어 있다고 보고했으며

, Cowen et al.

(2006)이 국 가 간 금융자산의 이동 현황

,

이자율 및 주가의 동조성 등을 검토한 후 동아시아 지역의 금융산업은 역내보다는 역외시장과 더욱 잘 통합 되어 있다고 결론 내렸다

.

반면에

Chi et al.

(2006)은

International Capital Asset Pricing Model

을 이용하여 동아시아 지역의 주식시장 의 통합정도를 분석했는데

,

이 지역 주식시장의 효율성과 통합수준 이

1991

2005

년간 상당한 진전이 있었음을 발견했다

.

그러나 이와 같은 금융시장 관련 변수들의 단순한 직접적 비교는 금융업의 글로벌화와 아시아 경제의 산업구조 변화로 인해 정확한 결론을 내리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

금융업의 글로벌화는 아시 아 국가들의 금융변수 연동이 역내 통합의 진전에 따른 것인지 아니

면 미국과 같은 금융 중심국과의 연동에 따른 간접적 효과인지 구별 해 내는 것을 어렵게 한다

.

또한 역내 금융통합 수준이 실제로는 동 일하다고 하더라도

,

아시아 경제의 산업구조가 수평적 분업체제일 경우가 수직적 분업체제일 때보다 역내 국가 간 금융변수들의 연동 이 더욱 밀접하게 나타날 수도 있다

.

이는 미국 등 특정 국가를 중 심으로 하는 아시아 경제의 구조특성상 나타나는 결과인데

,

가령 미 국경제의 부침에 따른 아시아 경제의 반응이 수평적 분업체제를 이 루고 있을 경우 더욱 동질성이 높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

이와 관련하여

Jeon et al.

(2005)이 동아시아 금융시장의 통합수준 이 최근 들어 증가했으나 이는 국제시장과의 통합진전에 따른 부수 적인 결과라고 주장한 바 있다

.

이러한 분석적 단점을 보완하기 위 해

Mercereau

(2005)는 금융통합은통합된 국가 간의 소비패턴을 동 조화시킬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동아시아 국가들의 소비성장률 을 조사했는데

,

소비의 동조화 현상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고 보고 했다

.

금융관련 기초통계를 분석한

Sa and Gue

́

rin

(2006)도 동아시아 지 역의 금융산업은 규모 면에서 큰 성과를 기록했으나

,

여전히 역외 국가들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

이들의 연구에 따르면 동아시아 지역의 주식시장의 경우

,

그 규모는 커지고 있지만 여전히 대미의존도가 강하며

,

42) 은행업 부문에서도 대내보다는 대 외 통합의 진전속도가 더욱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

43)

42) 가령 2004년 일본, 한국, 태국 주식시장의 회전율(turnover)30% 가량이 외국투 자자들에 의한 것이며, 다른 아시아 지역 투자자의 역할은 미미하다.

43) outstanding claim으로 본 아시아 주요국에서의 비중이 가장 큰 외국은행은 미국과 유로지역이며, 일본은 한국을 제외하고 세 번째 비중을 가짐(한국에서는 첫 번째).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