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역내 금융산업의 발전 현황

(

간지

)

아시아 금융위기는 남미나 러시아 등의 금융위기와 달리 그 원인 이 더 근본적이고 구조적이었다

.

또한 그 파급효과도 한두 나라에 그치지 않고 동아시아 지역 전체에 걸쳐 일어났고

,

피해국가도 한국 처럼 비교적 경제기반이 탄탄했던 나라와 말레이시아 같은 상대적 으로 낙후된 나라까지 경제발전단계나 경제구조가 상이한 나라들을 모두 포함했다

.

근본적으로 기존과는 다른 양태를 보인 아시아 금융 위기는 선진국들로 하여금 국제 금융제도의 개혁이 필요하다는 인 식을 갖게 했고

,

그 결과

1999

6

G-7

국가들을 주축으로 그 개 혁방안들이 마련되었다

.

여기에는

IMF

등 국제 금융기구의 개혁

,

금 융정보의 투명성 제고 및 국제기준 개발

,

신흥시장국의 경제정책 및 금융시스템 강화

,

금융위기의 예방과 해결을 위한 민간부문의 참여 확대

,

환율제도 개선 등이 포함되어 있다(오순상, 2005)

.

이 가운데 아 시아 지역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들을 살펴보면

,

신흥시장국 금 융시장의 건전한 활성화

,

환율제도의 유연화

,

그리고 단기차익을 노 리는 국제자본에 대한 규제 강화를 통한 금융산업의 면역력 강화 등 이 있는데

,

특기할만한 사항은 아시아와 같이 과도기적 상황에 있는 국가들에서는 자본자유화를 순차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좋다는 현실 인식의 전환이다

.

또한 자본자유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서는 국내 금융시장의 경영 효율성이나 투명성 및 경쟁력이 강화되 어야 한다는 점도 부각되고 있다

.

이러한 결론은 성급하게 자본시장 개방을 단행했던 중남미와 아시아 국가들이 사후 한바탕 치렀던 홍 역으로부터 얻은 소중한 실증적 경험이라 하겠다

.

IMF

와 세계은행은 신흥시장국들의 금융산업 육성을 보조하기 위 해 금융부문 평가 프로그램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

.

이 프로그램은 회원국 금융시스템을 전반적으로 평가하여 취약한 부분을 찾아내고

,

이에 대한 적절한 정책대응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이 프로그램 은 세계적으로 그 호응도가 높아서 현재 약

95

개국이 참여 또는 향 후 참여할 것을 약속한 바 있으며

,

한국도 활발히 참여하면서 지금 까지 세 차례의 평가를 받은 바 있다

.

가장 최근의 평가인

2003

IMF

보고서에 따르면

,

한국은 금융산업 관련분야에 있어서 많은 진 보를 이루었으며

,

은행업의 경영건전성이 크게 강화되었다

.

그러나 금융관련 감독기관들의 독립성이 여전히 부족한 상태이며

,

은행의 위험관리 능력도 좀 더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

.

또한 제

2

금융권의 개발 및 육성도 시급한 과제로 남아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IMF, 2003)

.

아시아 지역에서는 한국 이외에도 홍콩

,

일본

,

필리 핀

,

싱가포르가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데

,

다소 우려가 되는 것은 이들 국가들이 역내에서 상대적으로 금융산업이 이미 많이 발 전해 있는 나라들이라는 것이다

.

금융부문 평가 프로그램의 본 취지 가 상대적으로 저개발된 나라들의 취약한 금융시장의 육성이라는 것을 상기할 때

,

태국이나 말레이시아 같은 역내 다른 국가들의 더 욱 적극적인 참여가 시급하다고 하겠다

.

외환위기 이후

IMF

등의 국제기구에서 아시아 지역 금융산업의 발전을 위해 내놓은 제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첫째로 외환위기의 근본원인 중 하나였던 은행산업의 낙후된 경영효율성을 개선하고 투명성을 제고하는 방안이 제기되었다

.

둘째로는 상대적 으로 발전수준이 미약한 증권산업 내지 자본산업의 발전을 도모함 으로써 아시아 지역 금융산업의 체질개선과 함께 국제경쟁력 향상 을 꾀하는 것이다

.

아시아 지역 국가들은 이 두 가지 측면에서 지난

10

여 년간 괄목할 만한 변화를 이룩했다

.

역내 국가 간 효율적인 정 책조율을 위한 대외적 금융제도 개선과 이에 상응하는 대내적 금융

산업 경쟁력의 강화 노력들이 계속 이어지고 있고

,

이에 따른 금융 산업의 양적 팽창도 눈에 띄게 두드러지고 있다

.

본 장에서는 외환 위기 이후 이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금융산업의 변화를 직접금융 형태인 은행업과 간접금융 형태의 증권시장으로 대별하여 간략히 살펴봄으로써 이 지역 금융산업의 발전방향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

1. 은행산업

미국과 영국 등 일부 국가들이 직접금융 형식의 증권시장 위주로 금융산업이 발달해 온 반면

,

독일과 일본 등 후발 선진국들과 대부 분의 개발도상국들은 국가 발전에 필요한 빠르고 효율적인 자본 형 성을 위해 간접금융 형식의 은행업 위주로 발달해 왔다(Allen and

Gale, 2001)

.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아시아 지역 국가들은 모두 후자

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

은행은 일반적으로 대출자와의 긴밀한 관 계 유지를 통해 투자기회에 대한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준다는 장점 이 있다

.

반면에 바로 그런 관계 때문에 그에 관련된 정치적 요소들 의 영향에 노출되어 있다는 단점도 내재하고 있다

. 1997

년의 외환위 기는 이러한 부조리한 측면이 증폭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도 있 을 것이다

.

아시아 지역 국가들은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각고의 노력 끝에 은 행산업의 체질개선에 큰 성과를 보이고 있다

.

우선 아시아 주요국의 부실대출 규모를

<

그림

6>

을 통해 살펴보면 그 규모가

2000

년 이후 크게 줄어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2000

2005

년간 이들 국가에 서의 부실대출 규모는 모두 두 자릿수의 감소세를 보였다

. 2000

년 당시 부실대출 비율이

34.4%

였던 인도네시아는

2005

년까지 그 수준

15.6%

까지 끌어내렸고

,

특히 한국에서의 부실대출 규모는

2000

2005

년간

87%

가 줄어들어 가장 큰 폭의 개선을 보였다

.

이러한 전체적인 추세에서 싱가포르가 예외적으로 같은 기간 부실대출 규 모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긴 하지만

,

그 절대규모는

2005

년 현재

3.8%

수준으로 한국과 일본에 이어 세 번째로 작다

.

그러나 이런 감

소세에도 불구하고

2005

년 현재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들의 평 균 부실대출 비율은

9.2%

를 넘고 있어 미국의

0.7%

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

따라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부실대출 규모의 축소를 통한 경영효율성 강화 노력은 앞으로도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부실대출규모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각국 은행들의 자산대비 자본 비율도 대체적으로 크게 개선되고 있다(<그림 7> 참조 )

.

인도네시아

,

싱가포르

,

필리핀은

2005

년 현재 미국보다 높은 자본비율을 유지하 고 있다

.

특히 인도네시아는

2000

년에 미국보다

3.5%p

나 낮았던 자 본비율을

5

년 안에 미국 이상의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

한국도 같은 기간 자본비율이

4.6%

에서

5.8%

로 개선되면서 은행의 경영건전성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의 이러한 부실대출 규모의 축소와 자 본비율의 개선은

2007

년 상반기에 순소득이 전년대비

23%

증가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세계 은행, 2007)

.

❙그림 6. 각국의 총대출대비 부실대출 규모

0 5 10 15 20 25 30 35 4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중국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자료: 세계은행, World Development Indicator 2007.

❙그림 7. 각국 은행의 자산 대비 자본비율 추이

0 2 4 6 8 1 0 1 2 1 4 1 6

2 0 0 0 2 0 0 5

: 중국은 2000년 대신 2001년 지수, 일본은 2005년 대신 2004년 지수. 자료: 세계은행,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2007.

은행산업에서의 최근 변화를 살펴보면

,

아시아 주요국 중 인도네 시아가 가장 큰 변화를 겪고 있다

.

세계은행이

2007

년에 발행한

East Asia and Pacific Update

에 따르면

,

인도네시아의 은행산업은 기업심리가 크게 개선되고 투자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큰 호황을 보 이고 있다

.

그런 가운데 은행대출의 증가율이

2006

년의

14%

에서

2007

6

월 현재

39%

로 크게 늘어났으며

,

은행이윤도

6%

라는 이율 마진에 힘입어 크게 증가했다

.

그럼에도 은행의 경영건전성은

20%

이상의 자기자본비율에서 보듯이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다

.

금 융산업에서 흔히 호황은 부실경영으로 이어지기 쉽다는 측면에서 볼 때 인도네시아 은행의 양호한 경영건전성은 정부가 펼치고 있는 일련의 금융개혁 정책들에 힘입은 바가 크다

.

인도네시아 정부는

2006

년에 이어

2007

7

월에 두 번째의 금융개혁 방안을 내놓았는 데

,

여기에는 규제당국 간의 긴밀한 정책 조율

,

신용정보시스템의 강화

,

연기금과 보험산업에 대한 규제 및 감시 강화

,

자본시장의 효 율성 및 유동성 증대

,

그리고 금융산업 각 분야에 걸쳐 관련규제와

세제제도 개선 등이 포함되어 있다

.

이러한 인도네시아 당국의 금융 개혁 정책들은 아시아 지역 다른 국가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

인도네시아 못지않게 중국에서도 거센 금융개혁의 바람이 불고 있다

.

중국은 최근

4

개의 거대 국영은행 중

3

개를 대상으로 구조조 정을 실시했으며

,

그 결과로

2003

2%

였던 이들 은행의 수익률이

2006

년에는

12

13%

까지 크게 증가했다

.

또한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외국은행과 일반을 상대로 이들 은행의 소수지분

10

25%

를 처분하 여 투명성과 경영성 증진을 꾀한 바 있다

.

태국의 경우 은행산업은

2005

년 이후

5%

미만의 성장을 보인 경제 둔화로 인해 조금 더 어 려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태국 은행의 수익률 은 이자수입의 증대와 투자대상의 다변화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자산건전화와 부채비율 감소 등을 통한 체질개선과 함께 아시아 권 은행들의 신용공급 패턴이 최근 들어 변화하고 있다

.

우선

GDP

에서 차지하는 은행의 국내 신용공급 비중을 살펴보면

,

한국을 제외 한 다른 나라 은행들의 대내 신용공급이 외환위기 이후인

1998

년부 터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

30)31) 이러한 추세의 이면에는 이들 지역 의 투자가 전반적으로 감소추세 내지는 변동성이 큰 영향도 있지만

,

전체적으로 보아 은행의 자본중개 역할이 조금씩 축소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이러한 현상은 최근

IT

기술의 발달로 정보비용이 낮아지고 있고

,

역내 증권산업의 육성방안들이 실효를 거두면서 자 본조달창구로서의 은행의 메리트가 상실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30) 세계은행, East Asia and Pacific Update, 200710.

31) 한국의 경우 1998년에서 2006년간 가계대출 등의 급증으로 인해 은행에 의한 신 용공급이 28% 증가함(세계은행, 200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