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아시아/오세아니아

문서에서 세 계 농 업 (페이지 86-93)

세계 농업 브리핑

▪ 작년 연말 대만 까우슝현 한 양계장에서 저병원성 H5N2 조류독감이 발병 한 이래, 일본은 지난해 12.17일부터 대만산 가금류와 가금육 및 계란 등 관련 상품

▪ 작년 연말 대만 까우슝현 한 양계장에서 저병원성 H5N2 조류독감이 발병 한 이래, 일본은 지난해 12.17일부터 대만산 가금류와 가금육 및 계란 등 관련 상품을 수입금지시켰음. 이에 대만 방역검역국은 최초로 조류독감이 발견된 관련 양계장의 살처분 처리와 국제 규범에 따라 해당 양계장 주변 76개 양계장을 방역처리하여 3개월이 지난 현재 혈청검사 2,938건 중 2,936 건이 완전 정상상태인 것으로 나타남.

○ 일본, 우리집 야채 즐기는 가정 많아져

▪ 음식에 대한 안전문제와 불경기로 인한 절약의식이 고조되면서 가정에서 간단하게 채소를 기르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음. 텃밭 가꾸기는 퇴직하 거나 시간 여유가 많은 사람들 위주로 성장했지만 최근 간편하게 기를 수 있는 상품들이 늘어나면서 점차 연령층이 확대되고 있음.

▪ 후쿠오카시의 한 원예점은 야채나 허브 모종의 매상이 작년 동기대비 20%

이상 증가하여 최근 취급상품을 늘려 토마토, 가지, 양상추 등 100여 종을 팔고 있다고 함. 모종 중 가장 인기있는 상품은 아스파라거스, 미니토마토 이며, 미니토마토의 경우 280엔의 모종으로 토마토 100개 정도를 얻을 수 있어 인기가 많음.

○ 중국, 식량재고 조사 실시

▪ 중앙 당국은 중국의 식량안보를 위해 3월말부터 전국적으로 식량재고 조 사를 실시할 것이라고 밝힘. 리커창(李克强) 부총리는 3.25일 열린 전국식 량조사행동요원 화상회의에서 현재 중국의 식량안보 상황은 전반적으로 양호하며 식량 자급자족률이 95% 이상이지만, 식량농업의 기반은 여전히 취약하다고 언급함. 또 이번 조사를 통해 식량생산기업의 재고상황, 중앙 및 지방 비축량, 국가 임시보유량 등의 상황을 철저히 파악할 것이라고 언 급함.

○ 중국, 상무부 코카콜라의 자국기업 인수 금지

▪ 중국 상무부는 3.18일 글로벌 음료업체인 코카콜라와 중국 최대 과일주스 업체 후이위안의 인수합병을 승인하지 않는다고 발표함.

▪ 상무부의 이 같은 결정은 2008.8.1일 발효된 <반독점법>을 처음 적용한 사례로 코카콜라가 후이위안을 인수한 후 탄산음료 시장에서의 지배적

지위를 이용하여 묶음 판매, 끼워 팔기 혹은 여타 배타적인 거래조건으로 시장의 경쟁을 억제해 소비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임.

금융위기 속에서 코카콜라가 상당히 높은 인수가격(190억 HKD)을 제시했 음에도 중국 당국이 이를 승인하지 않은 것은 민족브랜드 보호, 대다수 국 민의 반대 여론(네티즌 70%가 상무부 결정에 찬성) 등에 의한 것으로 보임.

○ 중국, 상해시 농촌주민 생활비 지출 작년대비 소폭 증가

▪ 통계국이 상해시 600만 농촌 가정을 대상으로 실시한 통계조사에서 작년 농촌가정 1인 평균 생활비 지출액은 9,115위안으로 전년대비 3.1% 증가함.

▪ 그 중 식품, 가정설비용품, 의료보건비용은 소폭 증가한 반면, 의류, 주택, 교통․통신, 문화․교육․오락 및 기타 서비스 소비액은 모두 감소함. 작 년 소비 지출액 증가폭은 10-15%를 유지했던 예년에 비해 그 증가폭이 3.1%에 그쳐 경제 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이 큰 것으로 나타남.

○ 중국, 2020년까지 식량생산 10% 늘리기로

▪ 중국은 13억 인구의 식량안보를 위해 2020년까지 연간 식량생산량을 10%

늘어난 5억 5,000만톤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한다는 목표를 설정함. 작년 중국은 5년 연속 풍작으로 식량생산량이 5억 2,850만톤을 기록했으나, 금 융위기로 2009년도 목표 생산량은 5억톤으로 하향조정하였음.

○ 중국, 농민공 문제로 고민 중

▪ 중국 인력자원사회보장부(人力资源和社会保障部)가 2009.3월에 발표한 통 계에 따르면 춘절을 기점으로 귀성했던 농민공 약 7,000만명 중 80%에 상 당하는 5,600만명이 도시로 돌아왔으며 이 중 1,100만명에 달하는 인력이 아직 취업을 하지 못한 상태임. 중국 경제잡지 차이징(财经)에 따르면, 2008 년 말 기준 전체 1,000만 명의 실직 농민공 중 허난성 출신이 377만 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쓰촨(四川)성 93만 명, 후난(湖南)성 80만 명 순이었음.

▪ 중국은 기존의 ‘4조 위앤 경기부양책’ 외에 추가 경기부양책을 발표하지는 않았으나 1,300억 위앤의 투자금액을 추가로 배정해 지방정부에 950억 위 앤을 투자하기로 함. 특히 농촌 도로와 수리, 전력망 건설 등 농촌 발전에 총 315억 위앤을 투자하기로 하고 농촌 안정 발전을 8대 중점 업무 중 하 나로 지정해 농촌 발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일 것을 표명함. 중 앙정부의 농촌 개선과 인프라 구축에 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중국 사회 과학원이 4.16일 발표한 ‘2009 농촌경제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농촌과 도 시의 지출격차는 점점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2008년 기준 농민의

1인당 생활소비지출액은 3,661위앤으로 도시인구 1인당 지출액인 1만 1,243 위앤의 1/3 수준임. 이러한 도농 간의 생활수준 격차는 늘어나는 농촌인구 (농민공 포함) 실업률과 농산물 가격의 하락에 큰 원인이 있다고 분석함.

○ 중국, 귀주성의 농민공 노조 가입자 증가

▪ 중국 귀주성 노조(工會)가입자 410만명 중 농민공 수는 161만 명으로 전체 가입자 수의 4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 농민공 노조회원수는 작년보다 110만 명 증가한 수치이며 2009년에 50만 명이 더 가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귀주성 總工會에 따르면, 설 연휴를 전후로 귀주성으로 귀향한 농민공은 97.3만 명임.

○ 중국, 제7회 농산품 교역회 개최

▪ 제7회 중국 국제 농산품 교역회 겸 제8회 중국 장춘 국제농업식품 박람회 가 2009.9.7~13일에 길림성 장춘시 농업박람원에서 개최될 예정임. 교역회 의 실내전시관 중 1-3 전시관은 길림성을 제외한 중국 각 성.시, 대만, 국외 기업 전시관이고, 4-5 전시관은 길림성 전시관임. 실외전시관은 ① 종묘산 업, ② 축산업, ③ 농기계 및 식품가공기계, ④ 신농촌 주택, ⑤ 농산식품, ⑥ 수산품, ⑦ 농촌소방안전기구, ⑧ 농업생산자료 전시관으로 구분 설치됨.

○ 중국, 제4회 보이차 국제 엑스포 개최

▪ 4.12일 제4회 보이차 국제 엑스포가 곤명에서 개최되어 베트남, 스리랑카, 대만 등에서 200여 개 기업체와 1,000여명이 넘는 바이어들이 참가함. 2006 년 박람회에는 30여만 명의 각계인사들이 참석하였으며 교역액은 36억元 이었음. 운남성은 차산업이 중요산업인 지역으로 차재배 면적이 중국 내 1 위이며 2008년 차 생산량은 16.98만 톤(福建省 다음), 산업 생산액은 105.2 억元임.

○ 중국, 벼 선물거래 개시 후 거래 활발해

▪ 정저우(鄭州) 상품거래소에서 4.20일부터 벼 선물거래가 개시되었음. 개시 첫날 주력 거래상품이었던 2009.9월 인도분의 거래가격은 2,050위안으로 시작해 2,038 위안으로 마감했으며 총 거래량은 65만 9,700톤에 달함. 업계 관계자는 "벼 선물거래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농민들의 농산물 가격 리스크 가 커진 상황에서 현물시장 가격을 합리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고 벼 가격결 정 메커니즘을 점차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중국가격'을 형성하려는 것"이라 고 언급함.

○ 중국, 2009 홍차 경제발전포럼 개최

▪ 운남성 정부, 운남성 농업청, 운남성 임창시 정부, 운남성 차산업 협회 등에 서 공동 주관한 “2009 중국 홍차 경제발전포럼”이 4.13일 곤명시에서 개최 됨. 동 포럼에서는 운남성 차 산업 발전방안과 홍차 소비문화 확산, 홍차문 화 홍보 등을 통한 운남성 홍차산업 육성방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됨.

○ 홍콩, 와인에 이어 세계 차 허브를 노리다

▪ 제1회 홍콩 국제 차 박람회가 2009.8.13~15일 3일간 개최됨. 동 전시회는 홍콩무역발전국이 와인에 이어 홍콩을 세계 차 시장의 허브로 만들기 위해 야심차게 준비하고 있음. 올해가 첫 해인 만큼 전시회 참가기업 유치를 위 해 홍콩무역발전국은 모든 참가기업에게 2,000 홍콩달러의 인센티브를 지 급할 것이라고 함. 동 전시회에는 세계 각국의 명차, 가공차, 차음료와 차 제품을 비롯하여 찻잎포장, 차기, 차 예술품, 차 기계 등 차와 관련한 모든 제품들이 선보일 예정임.

▪ 2008년 홍콩의 차 시장규모는 3,330만 달러로 2004년부터 5% 이내지만 꾸 준한 증가세를 보임. Euromonitor는 홍콩의 차 시장이 향후 수년간 6~7%

지속적인 성장을 할 것으로 예측했음.

○ 대만, 대형할인매장의 수입산 과일 점유율이 국산보다 높아

▪ 대만의 수입산 과일량은 국산 과일 연간생산량의 약 11%를 차지하지만 주 요 대형할인매장에서의 과일 취급비율은 국산이 4, 수입산이 6인 것으로 나타남.

▪ 대형유통업체 관계자에 의하면, 수입산 과일은 대형할인매장이 직접 수입 업체로부터 대량 공급을 받아 원가절감을 할 수 있지만, 국산 과일은 생산 업체 1곳에서 대량 공급자체가 불가능하며 여러 농민을 동시에 찾아야 하 는 부담이 있다고 밝힘. 또한 국산 과일의 포장형식과 품질규격 및 분급 포 장부분이 수입산 과일에 미치지 못한다고 전함.

▪ 이에 농량서는 최근 국산 과일 생산농민들에게 과일 포장 분급 및 과정에 대 한 지도를 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대만에서 생산되지 않는 온대과일 위주로 수입하여 수입산 과일이 국산 과일의 보조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함.

○ 태국, 동물사료첨가제 시장 현황

▪ 사료첨가제는 가축의 성장을 촉진하거나 생산능력을 자극하고 사료이용효 율 개선 혹은 가축의 건강 유지를 위한 대사활동 증진에 도움이 되는 비영 양물질의 사료 구성요소임.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사료첨가제는 항미

생물제로 여기에는 항생제, 향균제 및 항곰팡이제 등이 포함됨.

▪ 태국에서 사료첨가제는 대부분 완제품이 수입되었으나 시장이 성장하면서 국내업체들도 내수용 및 수출용 사료 생산을 시작하게 됨. HS Code 3002 기준 태국의 사료첨가제 수입은 2008년에 1억 5,800만 달러로 전년대비 20.77% 증가함. 태국의 사료첨가제 시장은 최근 급성장했기 때문에 시장에 서 두각을 나타내는 태국업체는 드물며 Betagro Group의 자회사인 Better Pharma사, CP Group의 자회사가 오랫동안 이 분야에 알려져 있음. 한편 사 료첨가제로 태국에 잘 알려진 외국기업은 BASF, ROCHE, CHOONGANG, ALL TECH, FARVET, DENKAVIT, EWABO 등인데, 특히 스위스와 독일제품 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가 높음

○ 인도네시아, FTA 대응 축산업 육성책 추진

▪ 인도네시아 정부가 아세안-호주, 뉴질랜드 FTA발효로 타격을 입게 될 축산 농가 및 열대과일 재배 농가에 대한 재정 및 기술지원에 적극 나서기로 했 음. 아세안-호주, 뉴질랜드 FTA가 발효되면 인도네시아는 2020년까지 호주 와 뉴질랜드산 쇠고기 4종류에 대한 수입관세를 철폐하고 2017~2019년 사 이에 7개 유제품에 대한 관세면제를 시행해야 함.

▪ 인도네시아 농업부는 인도네시아 육류, 유제품, 낙농 산업분야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약 1,450억 루피아의 촉진기금을 마련했는데 이 기금을 축산 농가의 사업개발자금으로 지원할 예정임. 또한 정부지원자금은 비육사업융 자계획(KUPS)을 통해 국내 축산농가들에게 지원될 것인데 영세 축산농가 들의 지원에도 적극적으로 사용될 것이라고 함.

▪ 현재 인도네시아는 연간 육류소비량의 30%에 달하는 45만 마리의 소와 15 만 톤의 냉동육을 수입하고 있으며 유제품 소비량의 70%를 수입에 의존하 고 있음. 인도네시아는 금년에 호주로부터 약 6만 5,000마리의 생우를 들여 와 자카르타 인근 지역인 수까부미, 렘방, 가룻, 람뿡, 뿌로워꺼르타 등지에 서 전문 소사육업체를 통해 사육할 예정이라고 함.

○ 러시아, 차류 시장 동향

▪ 러시아는 세계 최대 차류 수입국 중 하나로 경제위기로 인해 드링크음료보 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전통 차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러시아 차 시장규모는 2008년에 17만 8,000톤, 2009년에는 18만 7,000톤으로 전망되고 있음. 러시아에는 May, Orimi Trade, Proxima 등 현지 차류 생산업체가 있으 나 주로 수입해 현지에서 포장판매함. 주요 수입대상국은 스리랑카(50%), 인도(21%), 케냐(7%), 중국(6%) 등임.

문서에서 세 계 농 업 (페이지 8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