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식품 관련 SNS/먹방 이용이 온라인 가공식품 구입 주기에 미치는 영향 분석

3.1. 기초통계분석 결과

❍ 먹방/쿡방 관련 TV나 유투브를 자주 시청한다고 응답한 소비자(n=400)와 가끔 시청하 거나 전혀 시청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소비자(n=1,802)로 나눈 후 온라인에서의 가공식 품 구입 주기를 별도로 분석함.

❍ 실제 먹방/쿡방 관련 TV/유투브를 자주 시청하는 소비자(‘시청자’)들은 ‘비시청자’들에 비해 온라인에서의 가공식품 구입 주기가 상대적으로 짧은 것으로 조사됨. 매일 온라인 을 통해 가공식품을 구입한다는 응답 비중은 시청자 9.9%, 비시청자 2.0%로 나타나 큰 차이를 보인 반면, 월 1회 이하로 구입한다는 응답 비중은 시청자 17.9%, 비시청자 30.8% 수준으로 차이를 나타냄.

그림 5-4 먹방/쿡방 시청 여부와 온라인 가공식품 구입 주기

자료: 2019년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조사 일반소비자 대상 온라인조사 원시자료 분석.

❍ SNS(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등)를 자주 사용하는 소비자 그룹(SNS)과 가끔 사용하거나 전혀 사용하지 않는 소비자 그룹(No-SNS)을 구분하여 온라인에서의 가공식품 구입 주기를 분석함. 매일 온라인에서 가공식품을 구입한다는 응답 비중은 SNS가 5.1%인 반면, No-SNS는 3.0% 수준에 불과함. 대체로 아래 그림에 서 SNS에 해당하는 그래프가 왼쪽으로 치우쳐져 있어 SNS의 온라인을 통한 가공식품 구입 주기가 No-SNS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5-5 SNS 이용 여부와 온라인 가공식품 구입 주기

자료: 2019년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조사 일반소비자 대상 온라인조사 원시자료 분석.

❍ 한편, 해외 여행정보에 관한 TV프로그램이나 유투브 등 미디어 매체를 자주 시청한다 고 응답한 소비자(‘여행시청자’)와 ‘비여행시청자’로 소비자를 나눈 후 온라인에서의 가 공식품 구입 주기를 비교 분석함.

❍ 매일 온라인을 통해 가공식품을 구입한다는 응답 비중은 여행시청자 10.0%, 비시청자 2.0%로 큰 차이를 나타낸 반면, 월 1회 이하로 구입한다는 응답 비중은 여행시청자 18.4%, 비시청자 30.8% 수준으로 차이를 나타냄.

그림 5-6 해외 여행정보 관련 미디어 매체 이용 여부와 온라인 가공식품 구입 주기

자료: 2019년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조사 일반소비자 대상 온라인조사 원시자료 분석.

3.2. 포아송 회귀분석 결과

❍ 먹방/쿡방 관련 TV나 유투브를 자주 시청하는 소비자가 온라인에서 가공식품 구입 주기 가 짧음을 앞서 보인바 있음. 한편, 이러한 분석은 다른 요인들을 통제하지 않은 채 자료의 단편적인 부분만 보여준다는 점에서 해석상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 온라인에서의 가공 식품 구입 주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들을 통제한 후에야 먹방/쿡방 관련 TV 나 유투브 시청 여부의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 포아송회귀분석을 실시함.

❍ 모든 통제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음. 구체적으로는 연령이 높을수록 가공식품 구입주기가 낮으며, 남성이, 대학 이상 졸업한 고학력자가,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식료품 구입 시 차량일 이용할수록, 체중을 조 절하는 소비자일수록, 주구입자일수록, 월평균 가공식품 지출액이 높을수록, 외식 및 배달/테이크아웃 월평균 지출액이 높을수록 온라인을 통한 가공식품 구입주기는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됨.

❍ 한편, 본 분석의 주요 관심대상인 ‘먹방/쿡방 관련 TV/유투브 자주 시청 여부’ 또한 통

❍ 동일한 분석을 해외 여행정보에 관한 TV프로그램이나 유투브 등 미디어 매체 이용 여

김효정·김미라. 2019. “성인 소비자의 온라인을 통한 식품 구매 행동 및 구매 결정 영향 요인 분 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8(1): 97-108.

농림축산식품부. 2018.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조사 심층분석 보고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진영·김형중. 2017. “유통채널 소비 분석: 대형마트 소비 감소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 학회 논문지󰡕 18(7): 1357-1366.

손상락·이성용. 2006. “도시지역 소비자의 쇼핑장소 선택 특성에 관한 연구: 마창진 광역도시권을 사례로” 󰡔국토연구󰡕 : 59-76.

하태정·박동연. 2014. “울산지역 주부의 녹색식생활지침에 대한 인식 및 실천” 󰡔한국지역사회생활 과학회지󰡕 25(4): 533-54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9. 2019 식품외식산업 5대 이슈.

Costa, L.V., Gomes, M.F.M., and de Lelis, D.A.S. 2013. "Food security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Brazilian metropolitan regions" Procedia Economics and Finance 5, 202-211.

Greene, W.H. 2012. Econometric Analysis.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Hosmer, D.W., Lemeshow, S.A., and Sturdivant, R.X. 2013. Applied Logistic Regression.

3rd ed. Hoboken, NJ: Wiley.

Long, J.S. 1997. Regression Models for Categorical and Limited Dependent Variables.

Advanced Quantitative Techniques in the Social Sciences Number 7. Sage Publications.

<참고 인터넷 사이트>

통계청. <http://kosis.kr/>. 검색일: 2019. 11. 31.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