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KISTI Open Science 구성체계

2. 시사점

Ⅳ. 결론

1. 요약

▢ 개방과 환경변화

◦ Open Science는 시대적 흐름이고 새로운 R&D 패러다임을 수용할 수 있는 개념적 체 제임

◦ 과거 지식의 공유로 새로운 혁신을 이루었던 것처럼 ICT의 융합을 통한 혁신은 Open Science의 핵심적 가치라 할 수 있음

◦ 이러한 시대적 변혁의 중심에는 대용량의 데이터의 생산과 활용이라는 연구활동의 변화 가 있어 데이터를 잘 다루는 소위 ‘治Data’역량이 필요한 상황임

▢ 발전 전략으로서의 Open Science

◦ 출연연의 새로운 미션을 요구하고 데이터와 컴퓨팅역량을 R&D 활동에 접목하여 창의적 연구성과 창출 및 연구생산성 강화를 요구하는 정책당국의 수요에 있어 KISTI는 Open Science 전담기관으로 위상을 강화시켜야 할 것임

◦ 그동안 수행해온 인프라적 강점과 개발역량을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자의 니즈에 협업할 수 있는 ICT 융합 R&D 전문가 집단으로 성장하기 위해 보유 인프라의 및 데이터자원 의 융합은 물론 국가적으로 구축 운영되고 있는 인프라와 데이터 또한 활용 할 수 있는 가상 연동체제를 구축해야함

이와함께 Open Science 저변강화를 위한 단위 연구자들의 ICT화 촉진을 위한 교육 육성 체계의 강화와 법제 및 정책적 선도를 KISTI의 주요역할로 자리매김 해야 함

2. 시사점

◦ 이상의 요약내용을 구현하기 위한 KISTI Open Science 전략을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음

▢ 공급자 중심 서비스에서 R&D파트너로

◦ 공급자 중심의 서비스에서 파트너로서의 전문성을 갖춘 전문가 집단으로 다시 태어나야 할 것임

- 기존의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한 서비스 보다는 구체적인 특정인을 대상으로한 협업 체제로의 전환을 의미

- ICT융합형 연구 파트너로서 진화하기위해 1차적으로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를 추진하 는 것이 단계임

KISTI Open Science 추진 전략

21

◦ 이와함께 그간 축적한 인프라 구축 및 운영과 연구환경 개발의 경험의 장점을 강화하여 Data Scientist로서의 위상으로 전문성을 강화해야 함

◦ 이를 통해 정보/인프라 서비스기관에서 Open Science Enabler로 그리고 R&D Partner로서의 위상으로 발전하여 대형협업 연구성과를 창출하는 단계로 진입할 수 있 을 것임

< 그림 9 > KISTI 발전 방향

▢ 차세대 R&D패러다임 생태계 구축

◦ KISTI는 ICT 융합의 R&D 파트너로서 국가 Open Science 체제 선도를 주요 임션으로 정립

- Open Science 인프라 구축 및 R&D 데이터의 관리 유통 기반 구축을 토대로 이를 위 한 컴퓨팅, 데이터,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 운영함

- 이를 토대로 KISTI Open Science 플랫폼과 Science Gateway를 통해 6T 및 신성장 동력 분야의 계산과학 협업연구를 지원하여 각 도메인별 대형 연구성과 창출을 유도 - 국가 Open Science 체제 구축을 위해 예산, 인력양성, 법제도 및 커뮤니티 육성과 공

적기관으로서의 표준화, 인증 등의 기능을 수행

22

< 그림 10 >Open Science 생태계 육성

▢ Open Science Enabler & Data Scientist

◦ 국가 R&D 사업의 IT 융합(Open Science / 계산과학) 전담 Open Science Enabler - 사이버인프라 구축운영, 실험데이터 센터, 계산과학공학 육성, 연구단위의 디지털화 촉

진을 수행

◦ 국가 과학기술 데이터 전담기관의 최고 전문가(Data Scientist)로서 국가 R&D 사업의 전주기에 걸친 ICT 융합 연구 지원

- 국가 DoI 센터, 연구용 응용 SW 개발, Open Science 컨설턴트, 빅데이터 분석의 전 문영역에서 역할 수행

KISTI Open Science 추진 전략

23

< 참고문헌 >

단행본

EU (2016), All European scientific articles to be freely accessible by 2020 OECD (2015), Making Open Science a Reality

Kuhn, T.S., 1962.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신은정 (2015), Open Science(Open Science)에 관한 OECD 논의 동향과 시사점, 동향과 이슈, Vol. 22, STEPI

한선화 외(2011), KISTI 미래발전 방향으로서의 과학데이터 기획 연구 한선화 외(2011), 국가과학데이터 공유 융합체제 구축에 관한 연구 이형진 (2016), 주요국의 초고성능컴퓨터 육성 정책 입법 동향 김봉훈 (2015), 계산과학 융합 국가R&D 동향분석 및 설문조사 장행진 (2008), 사이버 R&D 인프라 구축 활용방안 기획연구 정부통합전산센터 (2012), 2012 정부통합전산센터 백서 EMC (2014), Digital Universe

사이트

https://en.wikipedia.org/wiki/Open_science

https://www.oecd.org/sti/outlook/e-outlook/stipolicyprofiles/interactionsforinnovation/opensc https://aws.amazon.com/ko/blogs/aws/process-earth-science-data-on-aws-with-nasa-nex http://www.sci-gaia.eu/osp/

김종원

Ⅰ. 서론

Ⅱ. 과학기술 연구개발 협업을 위한 공유형 인프라 개념

Ⅲ. 클라우드 중심으로 구축하는 소프트웨어-정의 인프라의 확산

Ⅳ. 클라우드에 기반한 과학기술 자원공유 관련 동향

Ⅴ. 인프라/플랫폼/서비스 계층 구조와 과학기술 분야 자원공유

오픈 과학기술 클라우드를 통한

문서에서 Open Science 정책연구 제3권 제2호 (페이지 24-2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