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사점

문서에서 중 국 농 업 동 향 (페이지 60-65)

중국의 최근 유제품 소비량이 세계 평균의 1/3 수준에 불과하다는 것은 반대로 소비 잠재력이 커 향후 유제품 시장이 크게 확대될 것임을 시사

최근 들어 농촌지역은 유통환경이 개선되면서 액상유제품의 소비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도시지역에서는 액상유제품 소비 위주에서 벗어나 비액상유제품의 소비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중국 유제품 소비전망(2016~2025) 결과 1인당 연간 소비량이 2025년에 약 41kg에 달할 전망

유제품 관련 식품안전사고의 여파로 중국의 유제품 수입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다 국내산 유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는 여전히 회복되지 않아 수입 유제품 시장 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

2008년 멜라민 분유 사건 이후 분유 및 영유아용 조제분유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하

였는데 이는 중국의 신 소비계층으로 부상한 ‘여성, 빠링호우(80后), 지우링호우(90

后)’의 소비패턴 반영

특히 1가구 2자녀 정책 시행으로 향후 영유아 식품시장의 성장잠재력이 크다는 점에서 수입 영유아용 조제분유 시장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

한국산 영유아용 조제분유와 생우유의 대중국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성장 잠재력이 큰 중국 유제품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수출확대 전략을 모색할 필요

중국 유제품 시장의 확대는 우리에게 커다란 기회요인이지만 중국정부가 국내산 유제 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 회복을 위해 식품안전정책을 강화하고 있고, 국내 유제 품산업 보호를 위해 SPS, TBT 등 비관세조치를 강화하는 추세여서 시장 및 정책 모니 터링을 통한 적극적인 대비 필요

한국산 유제품의 대중국 수출이 증가하는 추세여서 고무적이지만 중국의 수입 유제품 시장 점유율은 1.8% 수준(10위)으로 낮고 유럽의 낙농 선진국들과의 치열한 경쟁에 직면

유제품의 경우 중국소비자들의 품질안전 요구수준이 높다는 점을 감안하여 무엇 보다도 품질경쟁력 유지에 최우선 순위를 두고 점진적으로 시장점유율을 확대하는 전략을 수립할 필요

특히 2015년 신 「식품안전법」 시행을 계기로 식품안전성을 제고한다는 명분하에 SPS 및 TBT 조치를 강화하고 있는 추세에 유의하여 관련 정책・제도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한 선제적 대응 필요

최근 한국산 생우유의 대중국 수출이 잠정 중단되었던 사례는 시사하는 바가 크며,

최대 수출품목인 영유아용 조제분유와 관련하여 올해 10월부터 시행될 TBT 조치에

철저한 대비 필요

중국의 관광농업 정책 동향과 시사점 39)

1. 개요

중국 농업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 14개 정부 부처・기관이 공동으로 9월 1일 관광 농업의 발전을 촉구하는 내용의 문건 ‘관광농업 발전에 관한 지도의견(关于大力发展 休闲农业的指导意见)’ 발표

2020년까지의 발전 목표와 주요 추진 과제 및 정책 조치 등을 제시

중국은 2000년대 들어 전국적인 범위에서 관광농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에는 6차산업화와 연계하여 정책적 우선순위 부여

2001년 국가여유국(国家旅游局)에서

‘농촌관광발전 지도규범(农业旅游发展指导

规范)’을 제정하는 한편 농촌관광 시범지역 후보 명단 발표. 2004년과 2005년에 각 각 203개와 156개의 시범지역 선정

2006년 이후 국가여유국과 농업부를 중심으로 관광농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표(표 9 참조). 2010년부터는 ‘관광농업・농촌관광 시범 현(县)’

및 ‘관광농업 시범지역

’ 선정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

최근 농촌지역 1차・2차・3차산업의 융합을 통한 농업의 6차산업화가 주요 농정 화두로 등장한 가운데 이를 실현할 수 있는 방안으로 관광농업 및 농촌관광의 발전을 중시

3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중국사무소에서 작성한 「중국농업 브리프」 2016년 9월호에 수록된 것임.

시기 주요 문건 주요 내용

2006.8

국가여유국

농촌관광 발전 촉진에 관한 지도의견 (关于促进农村旅游发展的指导 意见)

• 관광농업 발전의 의의: ▲삼농문제 해결에 기여, ▲사회주의신농촌건설 촉진,

▲도시・공업부문의 농촌・농업부문 지원, ▲관광업 발전 촉진

• 기본 원칙: ▲사회주의 신농촌건설 전략과 연계, ▲현장의 실제 수요 반영,

▲지속가능 발전, ▲서비스 향상

• 양적 발전 목표(2010년): 매년 농촌관광업 취업자 수 증가 35만 명(간접 취 업자 수 증가 150만 명), 매년 농촌관광업 종사 농민의 소득 증가율 5%, 전국 적으로 농촌관광 특색 현(县) 100개, 향(乡)・진(镇) 1,000개, 촌 10,000개 건설

2011.8 농업부

전국 관광농업 발전 ‘12.5’ 규획 (全国休闲农业发展‘十二五规划)

• 관광농업 발전의 의의: ▲농업의 외연 확대 및 농촌산업구조 조정 촉진,

▲일자리 창출 및 농가소득 증대, ▲사회주의 신농촌건설 촉진, ▲도농 일체화 촉진, ▲관광산업의 발전 촉진

• 기본 원칙: ▲농본주의(농업 기초, 농민 주체, 농촌 배경)에 기초한 발전계 획 수립, ▲지역 실정에 부합하는 발전계획 수립 및 지역적 특색 부각,

▲서비스 향상 및 관리의 규범화, ▲정부 주도와 사회 참여

• 발전 목표(2015년): ▲농촌지역의 1・2・3차 산업을 융합한 신흥산업으로 육성, ▲농민 취업 및 소득 증대 촉진, ▲관광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민생산업으로 육성, ▲생태환경을 보호하는 녹색산업으로 육성, ▲신형 소비형태 발전 및 내수 확대의 지주산업으로 육성

• 주요 추진 과제: ▲산업구조 최적화, 경영규모 확대, ▲발전 모델 혁신, 산업 특색 강화, ▲브랜드 개발 강화, 산업 지위 향상, ▲전문인력 육성, 경영수준 제고, ▲서비스체계 완비, 성장잠재력 제고

• 중점 추진 사업: ▲시범기지 조성 사업, ▲유명브랜드 개발 사업, ▲지원 체계 구축 사업, ▲향토문화 발굴 사업, ▲기초시설 건설 사업

2014.1 1

농업부

관광농업의 지속・건강한 발전 진일 보 촉진에 관한 통지(关于进一步 促进休闲农业持续健康发展的 通知)

• 관광농업 발전의 의의: ▲효율 및 소득 증대 수단, ▲취업공간 확대 및 사회 통합 수단, ▲전통농경문화 계승 및 전통문화 발전 촉진, ▲생태환경 보호 및 아름다운 농촌 건설 수단

• 기본 원칙: ▲농본주의(농업 기초, 농민 주체, 농촌 배경)에 기초하여 과학적 발전계획 수립, ▲지역 실정에 부합하는 발전계획 수립 및 지역적 특색 부각, ▲서비스 향상 및 관리의 규범화, ▲정부 주도와 사회 참여, ▲환경 보호 및 지속가능 발전

• 주요 추진 과제: ▲관광농업의 유형 다변화, 산업클러스트화 촉진, ▲관광 농업 발전 모델 혁신, 전통문화 계승 촉진, ▲관광농업 종사자의 자질 향상, 산업인프라 확충, ▲관리의 규범화, 생태환경보호 촉진, ▲시범사업 확대 및 브랜드 육성

• 발전 보장 조치: ▲정책지원 강화, ▲공공서비스 확대, ▲홍보・선전 강화

2015.8 농업부

농업의 다원적기능 개발 및 관광농업 발전 촉진에 관한 통지

(关于积极开发农业多种功能大力 促进休闲农业发展的通知)

• 관광농업 발전의 의의: ▲농업발전방식의 전환 가속화, 생태문명 건설 추진,

▲농민소득원 확충, 전면적 샤오캉사회 건설, ▲농촌산업구조 업그레이드・

내수 확대, 도농 통합발전, ▲농촌지역 빈곤구제, 2020년 빈곤탈피 목표 달성

• 기본 원칙: ▲농본주의 견지 및 소득증대 촉진, ▲융복합 및 시너지 효과 발현, ▲지역 실정에 부합하는 발전계획 수립 및 지역적 특색 부각,

표 9 중국의 관광농업 발전 촉진 관련 주요 문건

시기 주요 문건 주요 내용

▲서비스 향상 및 관리의 규범화, ▲정부 주도와 사회 참여, ▲환경 보호 및 지속가능 발전

• 주요 추진 과제: ▲관광농업의 유형 다변화, 산업클러스트화 촉진, ▲관광 농업 발전 모델 혁신, 전통문화 계승 촉진, ▲관광산업구조 업그레이드 및 이익공유 확대, ▲관광농업 종사자의 자질 향상, 산업인프라 확충, ▲ 관리의 규범화, 생태환경보호 촉진, ▲시범사업 확대 및 브랜드 육성

• 발전 보장 조치: ▲토지이용 보장, ▲재정지원 및 세금우대, ▲자금융통 방법 확대, ▲공공서비스 확대

자료: 관련 문건을 참고하여 필자 정리

(관광농업 발전 현황) 2014년 관광농업 관련 연간 매출액은 3,713억 위안(이 중 농부산물 판매액은 1,296위안)으로 농업총생산액의 3.6% 수준

관광농업 경영체 수는 269.7천 개이며, 이 중 숙박 및 식당 시설을 갖춘 ‘농가락(农 家乐)’이 211.9천 개로 78.6%, 관광(휴양・체험) 농장이 46.5천 개로 17.2%, 기타 4.2% 차지

관광농업 경영체 종사자 수는 687.4만 명이며, 이 중 농민취업자 수는 556.6만 명으 로 81.0% 차지(관광농업에 연계된 농가 수는 534.8만 호). 연간 관광농업 경영체 방 문객 수는 16.5억 명

전국적으로 관광농업이 가장 발전한 지역은 호북성이며 다음으로 사천성, 호남성, 강서성, 중경시 순

그림 11 중국의 관광농업 경영체 유형별 비중 및 지역별 분포(2014년)

<유형별 비중> <지역별 점유율>

자료: 农业部农产品加工局(乡镇企业局) 主编. 「中国休闲农业2015」

문서에서 중 국 농 업 동 향 (페이지 60-65)

관련 문서